아파트단지 찾고 비교 평가 할때 복잡한거 같아요.
1년전에 월부에서 공부했을때는 아파트 단지분석 할때
생활권설정 순위를 먼저 정하고 많은 데이터를 분석하고 (경제수준,미분양 물량,호재,RR 등) 봐야하는 것 들이 많더라고요.
2. 실거주개념의 아파트 찾는법/
투자개념의아파트 아파트 찾는법
무엇이다른가요? 두개가 비슷하면서도 다른데
큰 차이점을모르겠어요.
3. 단지비교 할때 가까운 위치에 아파트가 두개 있는데
A아파트는 연식이 오래된 구축에 지하철도 도보로
가능 거리고 초등학교도 2분거리에 있는데 23평형
선호하지 않는 타입과 매물들이 많은 아파트.
B아파트는 신축에 평수도 25평 지하철은 마을버스
이용 5분거리 초등학교 8분도보 매물과 전세가 많지
않은 아파트.
이 두아파트는무엇을 보고 결정해야하나요?
무조건 교통과 주변환경을 보면 A아파트를 선택해야
할 것 같은데 아파트 자체를 보면 B를 선택해야 할 것
같아요.
댓글
사과님 안녕하세요. 1. 요약된 방법으로도 좋은 아파트를 찾으실 수는 있습니다만, 알고 계신 더 다양한 정보를 토대로 판단하면 좋은 단지를 찾을 확률은 더 높일 수 있습니다. 2. 거의 비슷합니다. 다만 가족분들이 원하는 니즈와 본인 직장과의 거리 등이 내집마련에서는 더 중요합니다. 3. 수도권 아파트는 연식보다도 땅의 힘이 더 중요합니다. 환경과 위치, 교통이 더 나은 단지가 장기적으로 더 좋을 수 있습니다. 다만 b 아파트는 실거주자들이 선택해도 괜찮지 않을까 생각도 듭니다. 정답은 없고 각자의 니즈와 상황에 맞게 선택하시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