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실준반 70기 11억까지 4년이면 충분하조 밥언제먹어요] 4주차 강의후기: "될 때까지 할 것이므로 반드시 된다"

  • 25.07.28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1. 강의에서 남길 내용

 

■ 1차시

  • <투자 마인드>
    • 마음에 안 들어X, 떨어질 것 기다려야지X, 이전보다 떨어진 가격이면 산다O
    • 급지 연연X, 저평가된 것 사서 수익 보기!
  • 임보는 보조수단, 자료에 연연X. 단지 대 단지로 비교하기!
  • 단지 분석이 가장 중요
    • 단지 가치(내가 보고 느낀 생각)를 알기 위함
    • 시세 등 기억 못하면 의미 X
  • 단지 분석 범위: 투자금 맞는 단지 & 좋아하는 생활권 단지 (여력이 되면 다 하기)
  • 반마당 보완
    • 다른 지역 임장하며 틈틈이 보완, 투자 목전에 두고 투자금 범위 단지 가치 모르겠으면 다시 가보기
    • 계속 보완하기, "투자에 완벽은 없다”
  • 스스로에 대한 의심의 말X, 자신감 갖기. “투자는 자신감의 문제X, 반드시 이루고 싶은 목표O”
  • 현 시장 → 진짜 내가 가진 (감당 가능한 선의) 투자금으로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선택하기
  • 임장은 융통성있게 하기
    • 일정 조정 가능(효과적으로 임장하기)  ex.분단임 빨리 마치고 매임 빨리 시작하기
    • 압지 생각하며 분단임, ‘걷기’만 하면 안 됨
  • 스스로 확신이 없으면 행동이 안 됨. 지역/단지의 입지가치를 알기 → ‘매수-보유-매도’ 결정을 스스로 내릴 수 있음
  • “모든 것은 쌓인다”

     

■ 2차시

  • ‘생활권 순위’보다 중요한건 “2~3순위 생활권 선호단지가 투자금 범위 들어오면 투자할 것인가?”
  • 보는 단지에 조건 맞는 매물(세낀 매물)이 없다 => 비슷한 수익 낼 수 있는 다른 단지 보기 (꽃히지X)
  • 단지 분석/임장을 통해 단지의 가치를 확인한다! “단지분석=투자 범위를 좁히는 것
  • 중심지와 멀어도 좋아하는 단지: (1) 신축  (2) 대단지  (3) 학교 가까움
  • 갭만 보면 저평가인지 알 수 X
    • (1) 매매가 기준 비교평가: [지역 내] 매매가 기준 저평가 비교 → [지역 간] 비교평가
    • (2) 투자금 기준 비교평가: 투자금 기준 정렬, 앞마당 내 투자 가능 단지와 비교
  • 투자금 +5천까지 보기(매임) ← 대출 껴서X 깎아서O

 

■ 3차시

  • 프로세스

    (1) 단임: 단지가치→투자범위(선호도)  (2) 저평가 물건 선별(가격대)  (3) 투자금 맞는 것 선별  => 2&3교집합 매임

  • 네이버부동산 매물 中 매매가 싼 것부터, 조건 좋은 것(세낀, 전세 협조)부터 예약
  • 모든 것은 쌓인다 (열정적인 사장님 알아두기)
  • 매임을 통해 가격 / 상태 / 조건 파악
  • 단지 물건 1개 있으면 사장님께 다른 단지 물건 갖고 계시는지 묻기
  • 전임을 통해 일 잘하는(정보↑) 부사님 선별하기
  • “내 편인 사장님” 중요!
  • 사장님께 질문
    • 단지 내 정보 (어떤 단지가 더 좋은지는 부동산마다 다르게 얘기함)
    • 가격, 거래 상황 (급매인지는 내가 스스로 파악 - 실거래가 확인, 최근 거래 묻기)
    • 상태, 조건
  • 매임 매 月 2주씩 하려면 분/단임을 한 주에 끝내야 함
  • 매임을 통해 확인 : 기초 정보(동, 호수, 매매 전세가, 향) / 수리 상태 / 거주 조건(전월세/주인/공실) → 수리 상태는 내가 스스로 잘 파악하기 (나머지는 사장님께 확인)
  • 하자 있으면 사장님 불러 확인시키기 (추후 협상 여지)
  • 문 앞에서 반드시 점유자 정보, 세입자라면 만기 날짜 확인
  • (각 구역별 확인 요소는 필기 확인)

 

■ 4차시

  • 비교평가는 3개까지만 (단지에서 3개 넘게 매임했다면, 가격/조건 안 맞는 것 쳐내기)
  • 매임 후 비교평가 프로세스 : 가격 싼지 확인 - 투자금 확인 - 조건/상태 확인 - 감당가능한지(리스크) 확인
  • 최악의 선택은 고민하다가 투자하지 않는 것 / 최고의 선택은 ‘원칙’에 맞는 투자를 하는 것
  • 마지막에 저환수원리 체크. 하나라도 아쉬우면 (특히 리스크) 선택하지 않는 것도 O
  • 내 앞마당에서 1등 뽑기
    • (1) 투자금 고정해 비교 - 단지 가치 모르면 헷갈림(절대가 달라서)
    • (2) 절대가 고정해 비교 - 지역간 비교 유용. 입지 더 나은 것 선택
  • 생활권 우선순위가 없다면 비교평가가 불가능함
  • 확신이 없더라도 이번 달 앞마당에서 투자 물건 결정하는 연습하기 (모든 것은 쌓인다)
  • 5천~9천 종잣돈 → 지방과 수도권 비교해도 좋고, 하나 정해 밀고나가도 좋음 (우선순위는 지방)
  • "애매한 인풋보다 확실한 인풋" → 할 때 집중해서 해 보는 것(투자 앞당기는 비결)
  • 투자까지 이어지지 않고 결과가 나올까? 시간만 쓰는 것 아닐까? 벽에 부딪힐때 ‘투자경험담’ 읽기
  • 내가 원하는 때에, 내가 원하는 사람과, 내가 원하는 일을,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자유 => “벽은 넘어가면 계단이 된다

 

 

 

 

 2. 적용할 점

 

  • 부족한 단지분석 보완 : 선호생활권 투자범위 단지 전부 + 투자금 맞는 단지
  • 매매가 기준 비교평가 후 투자금 기준 비교평가하기 (갭에 눈 멀지 않기)
  • 매임 시 대충대충X 하나하나 꼼꼼히 확인
  • 분/단임 빠르게 마무리하고 매임/비교평가에 집중하기
  • 조급하지 않기, 원칙에 맞는 투자하기
  • 반드시 결론까지, 투자 후보단지까지 뽑기 (확신이 없더라도)

 


댓글


그날을향해
25. 07. 28. 12:34

공부하러 왔습니다!! 자모 멘토님 강의 흡수해서 결론까지 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