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나눔방

부가가치세 기한 후 신고하면 가산세와 감면액 계산은 얼마일까?

  • 25.07.29
  • 부가세 신고 기한을 놓쳐도 '기한 후 신고'를 하면 가산세를 최대 50%까지 줄일 수 있어요.
  • 홈택스에서 자진납부 방식으로 직접 신고 가능하며, 신고 시점에 따라 감면율이 달라집니다.
  • 매출이 없어도 개인사업자라면 무조건 신고해야 불이익을 피할 수 있어요.

 

목차

  1. 부가세 기한 후 신고기간과 종류
  2. 홈택스로 부가세 기한후 신고·납부하는 방법
  3. 부가세 기한후 신고 가산세 계산, 얼마나 나올까?
  4. 개인사업자 부가세 신고기간

부가세 기한 후 신고기간과 종류

 

부가세 기한후 신고

 

직장인은 연말정산이 자동으로 되지만,

개인사업자에게 부가세 신고는 스스로 챙겨야 하는 큰 숙제입니다. 

 

그런데 혹시 7월 25일, 1월 25일 부가세 신고 기한을 지나치셨다면?

다행히 방법이 있습니다.


기한 후 신고를 통해 가산세를 줄이고, 불이익을 최소화할 수 있어요. 
단, 감면율은 시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신고는 빠를수록 유리합니다.

 

무신고 가산세 감면율표

신고 시점무신고가산세 감면율
1개월 이내50% 감면
1~3개월30% 감면
3~6개월20% 감면

 

최대한 빠르게 놓쳤던 부가세를 신고한다는 것을

앞서 이야기한 “기한 후 신고”라고 하는데요.

이 때, 다른 “수정신고”나 “경정청구”와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많아

이 3가지 용어를 비교해보았어요.


기한 후 신고와 수정신고, 경정청구는 각각 무엇이 다른지 함께 볼까요?

 

 

기한 후 신고 vs 수정신고 vs 경정청구 비교

 

부가세 기한후 신고
구분설명
기한 후 신고신고기한이 지난 뒤 처음 신고하는 것. 가산세 감면 가능
수정신고이미 한 신고 내용을 자진 정정하는 것
경정청구환급 또는 정정을 요구하는 납세자 요청형 신고

 

 

홈택스로 부가세 기한후 신고·납부하는 방법

 

부가세 기한후 신고

 

홈택스에서도 기한 후 신고가 가능합니다.

다만 일반 신고와 달리, 직접 세액을 입력해야 합니다.

 

부과세 납부기관 경과 시 자진납부 방법

 

  1. 홈택스 접속 → [신고/납부] 클릭
  2. [세금신고 > 부가가치세] 선택 → 과세유형 선택
  3. [기한 후 신고] 클릭 후 과세기간, 사업자 정보 확인
  4. 납부할 세액 입력 (가산세 포함)
  5. ‘저장 후 다음’으로 이동하여 신고서 작성 후 제출

 

 

가산세 계산 예시는?

📌 가산세 계산은 아래 예시를 참고하세요.

항목금액
납부세액1,000,000원
무신고가산세 (20%)200,000원
납부지연가산세 (60일)약 13,200원
총 납부액1,213,200원

 

 

부가세 기한후 신고 시 가산세 계산, 얼마나 나올까?

 

부가세 기한후 신고

 

기한을 넘긴 상태에서 신고하면 무신고가산세(20%), 납부까지 늦으면  납부지연가산세(0.022% x 일수)*까지 부과됩니다.

구분내용
무신고가산세납부세액의 20% (단, 기한 후 신고 시 최대 50% 감면 가능)
납부지연가산세(납부세액 × 0.022%) × 지연일수

👉 예: 100만원 세액을 60일 늦게 신고한 경우
→ 무신고가산세 20만 원 + 납부지연 1.3만 원 = 총 21.3만 원 가산세 발생

 

부가세 신고 안 했을 때 vs 늦게 신고했을 때

상황발생 가산세
신고도 안 하고 납부도 안 한 경우무신고 + 납부지연
신고는 했지만 납부만 늦은 경우납부지연만 발생

 

 

개인사업자 부가세 신고기간

 

“개인사업자도 부가세를 꼭 신고해야 하나요?”

라는 질문이 있는데요.

 

네, 꼭 해야 합니다.

매출이 없어도 신고는 ‘무조건’ 해야 합니다.

안 하면 무신고 가산세 + 불성실 신고자 등록까지 될 수 있어요.

 

개인사업자의 부가세 신고 기간은 역시

일반 부가세 신고 기간과 마찬가지로

  • 1기
    • 예정신고 : 4/1~4/25
    • 확정신고 : 7/1~7/25
  • 2기
    • 예정신고 : 10/1~10/25
    • 확정신고 : 26년 1/1~1/25

입니다.

 

 

간이과세자, 일반과세자도 부가세 신고 필수!

 

간이과세자든 일반과세자든 매출이 ‘0’이어도 반드시 부가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또한, 아래 항목도 제출하지 않으면 각각 가산세가 붙습니다.

미제출 항목가산세율
세금계산서합계표 미제출공급가액의 0.5%
현금매출명세서 미제출/부실기재미제출 금액의 1%

 

부가세 기한후 신고

 

 

 

부가세 신고는 한 번 놓치면 단순히 신고 한 번 못 한 게 아니라, 

가산세라는 불필요한 지출로 이어집니다. 

하지만 놓쳤더라도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기한 후 신고 제도는 생각보다 유연하게 열려 있고, 

가산세 감면도 받을 수 있는 길이 있습니다.

 

중요한 건 지금부터입니다.


조금 늦었더라도 바로 홈택스를 열고, 납부 세액부터 확인해보세요.
그 한 걸음이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앞으로의 사업 흐름을 더 단단히 만드는 시작이 될 거예요.

 

 

 

사진출처: 한국경제, 토요경제, 정책브리핑, 뉴스투데이, 데일리 한국


댓글


월부Editor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