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초심으로 돌아가서 제가 제대로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처음 임보를 쓸 때는 입지분석 파트에 힘을 쏟다가 결론파트는 제대로 마무리를 못 하는 경우가 많았거든요. 임보 갯수가 늘어날수록 입지분석은 셋팅된 장표에 그 지역에 맞게 수정만 하고 단지분석과 결론파트에 집중하게 되더라고요.
지방위주로 임장을 하다보니 수도권 입지 분석 할 때 약간 혼동이 왔습니다. 지방은 환경과 연식이 중요한데 수도권은 교통이 중요하니까 입지분석 장표 순서를 바꿔야 했거든요. 그런데 그 바꾸는 게 쉽지 않더라고요.
기본부터 다시 정리해 보자!!라는 마음으로 유디님 강의를 들었습니다. 마침 서울에 있는 지역으로 설명해 주시니 더 좋더라고요. 인구 직장 소득같은 매년 업데이트 해야 하는 자료들은 솔직히 월부 자료 레버리지 많이 했거든요 (월부에 능력자분들 많으시잖아효 ㅋㅋ) 무지성으로다가 복붙 했는데 왜 그 장표가 필요한지 어떻게 가공해야 하는지 세세하게 알려주셔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강의 듣고 바로 즐겨찾기 했습니다. 특히 인구수를 보면서 감소하는 이유까지 찾아보면 그 지역에 대해 더 깊게 알 수 있을 거 같더라고요. 지금 임장지에 바로 적용해 봤습니다. 특정 기간에 인구수가 증가하는 동이 있어서 검색해 보니 약 3000세대의 입주가 있었더라고요. 신축이 들어오면 인구수가 늘어나는 건 당연한건데 또 이렇게 자료를 찾아보면서 수치화 하니까 나름 뿌듯하기도 하고 인사이트도 깊어진 거 같고 ㅋㅋ 기분탓인가요
분위기 임장 때도 무조건 많이 지그재그로 걷자 라는 주의인데 상권에서 왔던 길을 잠시 멈추고 돌아본다는 유디님 말씀 듣고 저도 다음엔 꼭 저렇게 해야지 라고 생각했습니다.
댓글
럭키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