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9(화)] 기사 정리
- 😜 헤드라인별 기사 요약 및 생각 정리
- 모건스탠리 "S&P500 12개월내 7,200포인트"로 상향
- 모건 스탠리는 S&P500 12개월 목표치를 7,200포인트로 상향했다. (현재 6,400 돌파하였음) 이는 미국 기업들이 이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더 탄력적인 수입과 현금 흐름을 갖고 있음에 이같이 올렸다고 한다. 또한 모건 스탠리는 올해말 금리 인하 가능성과, AI 가속화로 인한 영업 레버리지가 이익 확대률 증가, 또한 관세로 인한 하락은 오겠지만 그 수준이 미미할 것이다 라는 의견이 있다. 그의 메세지 중 중요한 것은 하락치가 미미할 것을 예상하고 하락 시 매수하는 전략을 권했다.
- 트럼프 "전세계 기본 관세 15%~20%범위"
- 트럼프 대통령은 계속 관세를 언급하고 있다. 현재 전세계 기본 관세는 15~20%를 유지한다고 하였음. 현재 EU와 일본은 15% 관세를 협상하였으나, (최종은 아닌 것 같음 아직) 철강, 알루미늄, 반도체, 의약품 등 중요한 것에 대해서는 개별 항목 관세를 유지하는 듯함.
- EU 여론 "미국과 협상 불균형" 비판
- EU의 여론에는 미국과 협상이 너무 불균형하다 비평하고 있음. 어제 관련해서 내용을 정리하였지만 한번 더 복습하는 개념으로 작성해보자면, EU는 미국에 3년 간 2,500억 달러 에너지를 수입할 것이다라 뜻하였다. 하지만 EU측과 미국측이 협상 내용을 다르게 생각하고 있는데 (철강, 알루미늄, 반도체, 의약품) 스코틀랜드에서 최종 협상을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한국도 미국 상무장관과 협상을 하던 중 미국의 스코틀랜드 일정에 따라 같이 따라가서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지만, 보복보단 최대한 좋게 협상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한 두개국이 협상을 완료하기 시작하면 안 한 국가들이 부담이 되는데, 한국은 스코틀랜드까지 찾아간것으로 보인다. 정확히 확인해보니 상무장관과 협상 중 일정으로 인해 스코틀랜드를 따라간 것으로 보임.
- 러트닉 美 상무부 장관 "2주내 반도체 조사 결과 나와" [영상]
- 현재 구리, 반도체, 의약품에 대해 조사를 하고 있고 반도체 관세 관련은 2주 내 조사 결과가 나와 관세가 부과될 것으로 보인다. 관세 확인 후 반도체 기업들이 어디에 공장이 있는지에 따라 미국 내 기업들도 영향을 받을 지 나올 것 같다.
- 엔비디아 같은 경우 설계만 하고 제조는 외주에 맡기기에, 관세 타격을 입을 수 밖에 없다.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