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반드시 적재적소에만 투자할 적투입니다~!
6.27 대책 이후, 시장에서는
“이제 부동산 투자는 끝났다”는
말이 자주 들려옵니다.
주담대 제한, 2주택 대출 차단,
그리고 전세 대출 규제까지 겹치며
기존에 해왔던 투자 방식이
사실상 막힌 것처럼 보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현장에서 직접 발로 뛰어본 결과,
그 안에는 의외의 기회들이
숨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그 변화된 현장의 흐름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매수자는 줄었고, 매도자는 유연해졌다
6.27 대책 이후 가장 먼저 체감된 건 투자자의 감소입니다.
조건부 전세 대출의 강한 규제로 인해
시장에 들어오려는 사람들이 확연히 줄었고,
그로 인해 매수 경쟁은 사실상 거의 사라진 수준입니다.
하지만 반대로, 매도자 입장에서는
그만큼 팔기 어려워졌다는 현실을
느껴질 정도로 체감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깎아달라는 말에
단호하게 선을 그었던 매도자들이,
지금은 먼저 가격 협상을 제안하고
세입자 전세대출 실행까지
협조하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금은 오히려 매도자 입장에서
‘의지를 가진 매수자’를
기다려야 하는 시장이 되었습니다.
그만큼 수도권 내 일부 시장에서는
매도자가가 원하는 조건을
맞춰주려는 유연한 태도가
자연스럽게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즉, 조건은 까다롭지만
실제 매수를 진행하는 사람에게는
훨씬 유리한 구조가 생긴 셈입니다.
전세는 귀해졌고, 세입자는 협조한다
투자자들이 줄면서 생긴 또 하나의 흐름은
전세 물건의 공급 부족입니다.
기존에는 신규 투자자들이
매수 후 전세를 놓는 구조가 흔했지만,
지금은 그런 신규 전세 매물 자체가 확 줄어들었습니다.
거기에다가 조건부 전세대출 규제로 인해
일반적인 전세금 활용도 어려워졌습니다.
하지만 전세 수요는 여전히 존재합니다.
당장 거주할 집을 찾아야 하는 실수요자들은
줄어든 전세 물량의 공급 안에서
더 적극적으로 움직일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현장에서는 예전보다 임차인 쪽에서도
훨씬 더 유연해진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결국 이러한 시장 상황에서도
전세 물건이 귀해지다 보니
전세가는 일정 수준 이상 맞출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매매가 낮아진 상황과 결합하면
투자금을 줄이면서 수익구조가
개선될 수 있는 기회가 되는 것입니다.
상황은 복잡하지만, 기회는 그 안에 숨어 있다
이번 6.27 대책에 대해서는
단순히 “대출이 막혔다”는 것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잔금 구조, 대출 실행 가능성, 세입자 조건 등
하나하나 따지고 맞춰야 하는 항목들이 많아졌고,
그만큼 투자 진입 장벽이 높아진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 장벽이 바로 기회를
만든다는 점에 주목해야 합니다.
누군가는 조건이 복잡하다고 돌아서지만,
실제로는 현장에서 느낀 바로는
매도자와 적극적으로 협의하고,
세입자와 조율하며 풀어낼 수 있는
시장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황과 분위기는
현장에 나가 직접 부딪혀본 사람만이
감지할 수 있는 시그널입니다.
복잡한 구조 속에서
조율 가능한 실마리를 찾아내는 것,
그게 바로 지금 이 시기에
투자자가 가져야할 마음가짐이라고 생각합니다.
6.27 대책 이후 시장은 분명 더 복잡해졌고,
쉽게 들어가기엔 부담스러운 구조가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그 복잡함을 넘어서는 사람에게는
분명히 열려 있는 기회들도 존재합니다.
지금 시장을 단순히 '위기'로만 볼 것인지,
아니면 '기회가 숨어 있는 구조'로 받아들일 것인지는
이 시기, 어떻게 움직일지는
결국 우리들의 판단에 달려 있습니다.
앞으로도 적재적소에 필요한 이야기들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