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계 : 지출 종류별로 목표 금액 정하기 (흐름도/ 목표 금액 설정)
1.강의에서 언급한 지출 종류 중 나에게 필요한 지출 항목을 설정하기
( ex. 생활비, 활동비, 주거비, 자녀교육비, 비정기, 자산통장)
-저의 경우 활동비(용돈), 생활비(공과금,보험,정기구독) , 주거비(월세), 교육비+비정기(강의료,교육비), 자산통장으로 나눴습니다.
2.지출 종류별로 ‘지금은 대략 얼마 정도 쓸 것이다’ 대략 작성해보기 (강의내용 토대로 정함)
-저는 8월부터 급여가 줄어드는 관계로 타이트하게 지출 내역을 정하였습니다.
용돈(40만), 생활비(50만), 주거비(100만), 교육비+비정기(30만)으로 관리해 나갈 예정입니다.
*어머니 케어부분이 있어서 아파트로 이사가면서 주거비가 대폭 상승하였지만 어쩔수 없는 부분이라 나머지를 줄였습니다.
2단계 : 각 항목별 통장 계좌를 정하고 연결할 체크카드 발급하기
1. 용도별로 나눈 카드 인증샷 (모바일 통장쪼개기 인증샷도 좋아요!)
-저는 제작년 열기 수업때 신용카드를 모두 잘랐습니다. 현재 부득이 하게 1호기 취득세 할부를 하면서 만든 신용카드는 취득세 할부에만 사용하였습니다. 기존 신용카드 자른 사진은 없습니다.
(하이패스, 교통카드 모두 현금 선불 사용중 입니다)
2. 통장 쪼개기 하며 느낀 점
-저는 그동안 지출 통제 보다는 수입을 더 늘리자 라는 생각으로 살아왔습니다. 이번에 어머니께서 암수술을 받으시면서 부득이하게 케어가 필요하면서 재택근무로 업무를 변경하자 수입이 줄어들을수 밖에 없었고 이번 재테기 수업을 통해 무조건 [지출을 통제해야한다] 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자동이체나 결제 부분도 해당 지출에 맞게 지정해 두고나니 진짜 실행만 남았구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금요일마다 체크 하라고 하셨으므로 매주 금요일마다 일주일치도 꼬박꼬박 지출내역 확인 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끼는 내가 되자! 거기서부터 투자는 출발인 것 같습니다.
(더불어 소득이 크게 줄어든 만큼 다시 재택근무로 소득을 늘릴 수 있는 방법도 모색 할 예정입니다.)
3. 내가 주의해야 할 지출 항목 한 가지
-저의 스트레스 해소 포인트중 하나는 예쁜 카페에가서 맛있는 커피 한잔을 마시는 것입니다. 요즘 물가도 많이 올라서 빵1개에 커피 1개를 시키면 한사람당 1만원이 훌쩍 넘어버립니다. 이부분 통제에 유의하겠습니다 ㅠㅠ (아얘 끊는 것은 어려우니 횟수를 절반으로 줄여보겠습니다.)
댓글
예쁜 카페에서 마시는 커피 한잔은 나에게 주는 선물입니다!! 5만원 한도 내에서 선물하셔요~ ㅎㅎ 하이패스, 교통카드까지 현금 선불로 이용중이시라니 누구보다 지출 잘 통제할 것 같아요!! 아자아자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