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
부자는 돈을 위하여 일을하지 않는다. 부자든 가난한 사람이든 돈이 필요한데 이 문구의 의미가 무엇일까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내가 돈을 벌기 위해 일한 댓가로 받은 급여만 추구하며 살게 되면, 화폐의 가치 하락, 가장 높은 비율의 세금, 그리고 근로 시간동안만 수입이 발생하기 때문에 유한한 수입만 존재하게 됩니다. 이로 인하여 부자들은 ‘급여’ 보다는 ‘자산’을 늘리는데 집중한다는 것입니다.
평생 좋은 직장에서 성실하게 생활하는게 미덕이라는 신념으로 살아온 나에게 신선한 충격인 사고방식이었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강의를 통해 접했던 진짜 투자자들의 사고 방식과 저자가 강조하는 자산을 쌓으란 의견이 오버랩되며, 저의 사고방식을 바꾸어야 한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었습니다. Not A But B에서 무엇이 다른 점인지 또 하나 알게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부채는 비과세이다.” 라는 부분이 이해하기가 어렵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충격적인 사고방식이었습니다. 내가 보유하는 현금 자체가 이미 세금이 부과된 금액이었고, 부채는 세금이 매겨지지 않았기때문에 비과세라는 점에서 이자발생에 대한 비용을 넘어서서 더 큰 이득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내가 자산을 취득할때 전액 현금으로 취득하는 것보다 부채를 활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E 사분면에 속해있고, 뼛속까지 근로자의 마인드로 살아온 나인데 책을 읽으면서도 부자들의 사고가 어떤지 머리로는 이해하려고 했으나 체득이 되지 않았기에 부자 마인드로 살아가기 위하여 꾸준히 독서를 통해 마인드관리를 해야겠다고 다짐합니다.
근로소득자로 살아가고 있지만, 자산가로 이동하기 위하여 현재의 소득을 어떻게 자산으로 쌓아갈지 고민스럽습니다. 그런 관점에서, 부동산, 주식 투자에 대한 목적이 시세차익 추구보다는 자산자체를 늘려가는 방향으로 행동해야겠다고 마음에 새겨봅니다.
댓글
리치제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