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서투기 27기 2채해서 5억 이상 벌었조 창의적인 노래]비교평가의 핵심 가치-가격-투자금-리스크/비교평가 하는법

25.08.15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1. 비교평가의 핵심은 순서 : 가치 > 가격 > 투자금 > 리스트
    (가치>가격 : 저평가)
  2. 선택의 근거를 알고 > 선택을 하고 >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알고 > 좋은 자산을 모아나간다.
  3. 10년 이상 장기 적으로 볼땐 상급지가 좋음.
    전고점을 넘지 않은 저평가 단지를 중장기(5년) 보유 하고 나온 돈으로 상급지로 갈아타거나 추가투자 하는 방법도 있음(집으로 집을 산다)
  4. 돈이 있다면 바로 상급지를 사는 것도 좋지만 갈아타기로도 가능.
  5. 충분히 가치가 있는 단지라면 저평가 되있는 구간의 후순위 단지를 매수해도 목표를 이루는데 충분하다.
  6. 균질한 신축 택지  뉴타운 = 아파트가 몰려있는 택지의 힘 = 상권, 환경, 사람을 바꾼다. = 실수요 높다.
  7. 상급지와 인접한 지역은 상급지의 영향을 받는다. 가격이 높게 형성됨.
  8. 업무지구가 가깝고 출퇴근 하는 사람이 많은 지역은 실수요가 꾸준히 있기 때문에 전세가가 받혀준다.
    투자금 회수 하기 좋고 운용도 편리
  9. 미리 사람들이 좋아하는 아파트를 알아두고 투자 선점해야 성공할 수 있다.
  10. 지역내 선호도가 다르기 때문에 선호도를 알아야 더 버는 투자를 할 수 있다.
  11. 산, 하천, 고속도로 로 인해 생활권 단절이 심하다 = 균질성이 떨어진다.
  12. 인구多, 세대당 인구수 多 = 가족단위 많고 선호도 높다. 살기 좋다.
  13. 인구多, 세대당 인구수 小 = 1~2인 가구가 많고, 빌라, 저층 주거지일 가능성 높음. 균질성 떨어짐.
  14. 교통 = 직장까지 빨리갈 수 있는가?
  15. 비역세권 = 교통이 안좋은 곳 = 연식이 중요하다.
  16. 환경 = 연식+균질성+상권+자연(한강뷰, 공원)
  17. 초등학교 6년 =6년의 전세수요 = 안정적 = 전세운용하기 좋다.
  18. 공급이 많다 = 매수기회와 리스트 有 = 공급의 질과 양 체크 = 입주물량 + 전세 소진 상황 확인
  19. 비교평가 = 사람들의 수요와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좋은 물건에 투자하게 하는 행위
  20. 비교평가의 기본 순서 = 가치있는 단지를 저평가 된 가격에 감당 가능한 투자금을 들여 매수한다.
  21. 서울 수도권의 가치 = 입지(교통,직장,환경,학군), 상품성(연식, 대단지, 브랜드)
  22. 저평가 판단 = 매매가 (투자금X)
  23. 가격이 비슷하다면 가치가 더 좋은 것 / 가치가 비슷하다면 더 싼것 = 저평가
  24. 가치, 가격 비슷할때 보는 보조지표 = 전고점(높을수록), 상승폭(클수록), 회복폭(작을수록), 전세가(우상향)
  25. 전세가가 매매가를 추월할 수 있는 단지(=내가 산 가격보다 전세가가 높다)
    10년 전세가 상승=투자금을 2배넘는 단지
    >>> 수익률 무한
  26. 비슷한 가격 상위 생활권 20평대 vs 하위 생활권 30평대
    상위 생활권 20평대 = 땅의 가치가 높기 때문에 장기보유 관점에서 좋음
    하위 생활권 30평대 = 전세가 높을 가능성 있음. 가성비 투자.
  27. 공급이 많은 지역 = 전세가 하락, 매매가 눌림 = 일시적 현상 = 싼만큼 투자금이 많이 든다 
    = 공급 해소 되면 전세가 언젠가 돌아온다 =투자금 회수 가능
  28. 공급장에 기회를 잡으려면 단지 전세, 시세 트레킹 하기
    (전고점대비 금액, 전세가율, 매전가, 전세개수)
  29. 전세물량이 줄어들고 전세가 하락이 멈추는 시점 = 투자적기 (전세 많은 단지 소진 물량 확인)

 

 

◆오프라인 강의는 처음이었는데 매니저님이 처음부터 끝까지 밝게 인사해주시고 진행해주셔서 좋았습니다.

다같이 몰이해서 들으니 시간 가는 줄 몰랐습니다.

마지막 질문시간도 다른 사람들의 질문과 강사님의 생각을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임보 작성이 어려웠는데 어제 라이브에서도 그렇고 예쁘게 만드는거 보다 투자로 이어지게 하는게 중요하다고 하셔서 부담감을 내려 놓게 되었습니다. 
◆현재 임장지 신축, 준신축, 구축 3개씩 총 9개 비교평가 해보기


댓글


창의적인노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