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이 많다 = 매수기회와 리스트 有 = 공급의 질과 양 체크 = 입주물량 + 전세 소진 상황 확인
비교평가 = 사람들의 수요와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좋은 물건에 투자하게 하는 행위
비교평가의 기본 순서 = 가치있는 단지를 저평가 된 가격에 감당 가능한 투자금을 들여 매수한다.
서울 수도권의 가치 = 입지(교통,직장,환경,학군), 상품성(연식, 대단지, 브랜드)
저평가 판단 = 매매가 (투자금X)
가격이 비슷하다면 가치가 더 좋은 것 / 가치가 비슷하다면 더 싼것 = 저평가
가치, 가격 비슷할때 보는 보조지표 = 전고점(높을수록), 상승폭(클수록), 회복폭(작을수록), 전세가(우상향)
전세가가 매매가를 추월할 수 있는 단지(=내가 산 가격보다 전세가가 높다) 10년 전세가 상승=투자금을 2배넘는 단지 >>> 수익률 무한
비슷한 가격 상위 생활권 20평대 vs 하위 생활권 30평대 상위 생활권 20평대 = 땅의 가치가 높기 때문에 장기보유 관점에서 좋음 하위 생활권 30평대 = 전세가 높을 가능성 있음. 가성비 투자.
공급이 많은 지역 = 전세가 하락, 매매가 눌림 = 일시적 현상 = 싼만큼 투자금이 많이 든다 = 공급 해소 되면 전세가 언젠가 돌아온다 =투자금 회수 가능
공급장에 기회를 잡으려면 단지 전세, 시세 트레킹 하기 (전고점대비 금액, 전세가율, 매전가, 전세개수)
전세물량이 줄어들고 전세가 하락이 멈추는 시점 = 투자적기 (전세 많은 단지 소진 물량 확인)
◆오프라인 강의는 처음이었는데 매니저님이 처음부터 끝까지 밝게 인사해주시고 진행해주셔서 좋았습니다.
다같이 몰이해서 들으니 시간 가는 줄 몰랐습니다.
마지막 질문시간도 다른 사람들의 질문과 강사님의 생각을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임보 작성이 어려웠는데 어제 라이브에서도 그렇고 예쁘게 만드는거 보다 투자로 이어지게 하는게 중요하다고 하셔서 부담감을 내려 놓게 되었습니다. ◆현재 임장지 신축, 준신축, 구축 3개씩 총 9개 비교평가 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