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예로나 입니다.
무주택으로 지내오다가 아이가 생기면서 내집마련의 필요성을 느끼고 올해 월부에서 내집마련 기초반, 재테크 기초반, 열반스쿨 기초반을 듣고 드디어 실거주를 위한 첫 집 매매를 앞두고 있습니다.
매매가 처음이다보니 이런저런 궁금한 점이 많아 질문드려요.
서울 은평 30평대 구축, 수리 안된 기본형 “1층” 30평대 아파트 매매 예정
- 매물특징 : 300세대, '94년 아파트, 용적률 350%, 건폐율 : 25%
- 전고점 : 7.3억 / 실거래가 : 5.4억 / 전세가 : 4억 (전세가율 74%)
- 강남 : 68분 / 광화문 : 51분 / 여의도 : 44분
매물코칭을 받아볼까도 했지만 같은 금액대면 분명 다른 지역 아파트를 추천해주실것 같아서.. ㅎㅎ
단점이 많은 아파트지만, 현재 자금 상황과 아이가 아픈 상황이라 세브란스 병원과 많이 멀어지지 않아야해서 고른 아파트 이거든요. 아이들이 어려서 1층에 사는 것도 사실 괜찮습니다. (강의에서는 저층 살거면 2~3층보다는 차라리 1층을 사라고 하셨어서..)
그래서 궁금한 점은,
매매를 위한 부대비용을 계산해보려고 하는데요.
중개수수료, 취등록세, 법무사비용(등기), 포장이사비 외에 더 드는 비용이 있을까요?
(인테리어비, 가전, 가구 구매비 등은 제외하구요)
주택 명의를 부부 공동명의로 하는 것과 1명의 개인명의로 하는 것의 장단점이 있을까요?
그리고 부부 중 한명은 신용도가 좋은 편이고(960점), 다른 한명은 개인회생 이력이 있고(현재는 종료) 신용도가 낮은 편인데(600점대) 신생아특례 대출을 받을 떄에 상관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명의는 공동명의여도, 대출 실행은 부부 중 1명이 하는거죠?
첫 매매라 너무 떨리고, 큰 금액으로 거래하는거라 걱정되는 마음에 질문이 많아졌습니다.
그래도 월부에서 강의를 들으면서 집을 선택할 때에 어떤 것을 봐야하는지 많이 도움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거래시에도 계약서에 어떤 항목들을 넣어야하는지도요.
강사님들께 너무 감사드립니다!
댓글
BEST | 예로나님 안녕하세요~ 실거주를 위한 내 집 마련 고민중이시군요.. 처음이시다보니 고민이 많이 되실 것 같습니다. 1. 아무래도 중층의 선호도가 높기때문에 나중에 매도나 자산재배치 등을 생각하신다면 선택의 자유도 측면에서 1층보다는 중층이 나을것 같습니다. 벽지, 바닥 친환경 자재사용할 경우 금액을 알지 못해서 정확하진 않지만 일반적으로 샷시를 제외한다면 30평대 아파트 3~4천대로 깨끗하게 올수리 가능합니다. 2. 취등록세, 중개수수료, 법무사비용, 이사비 외에 선수관리비, 복비 정도가 있을 것 같습니다. 3. 법무사비용은 법무통이나 사장님 소개를 통해 잘 찾아보시면 30만원 전후로 가능합니다. 셀프등기도 많이 어렵지는 않지만 처음하시면 꼬박 하루정도의 시간이 걸리긴합니다. 4. 이전에 경매이력등이 말소처리되어 빨간줄로 삭제되어있다면 큰 문제는 없다고 보실 수 있습니다. 5. 보통의 경우 나중에 매도할 때 양도세 과표구간이 달라지기때문에 공동명의가 더 유리합니다.. 회생이력에 관련있는 금융기관에서는 대출이 잘 안될 수 있기때문에 해당부분은 은행이나 대출상담사 통해서 상담 받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6. 현재 신생아특례대출은 DSR 적용이 아니기에 예로나님께서 말씀하신거처럼 마이너스통장을 만든 후에 신생아특례대출을 받는게 순서적으로 맞긴하나, DSR 적용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기도하고 은행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부분도 있을수 있기때문에 해당부분 역시 은행이나 대출상담사 통해서 상담받아보시는게 좋을 것 같고, 많은 대출을 고려하고 계신만큼 상환금액과 저축액 등 영끌이 되지 않도록 꼼꼼하게 검토하신 후에 진행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시간이 괜찮으시다면 부마니님께서 말씀해주신 것처럼 투자코칭 받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전하고 좋은 선택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화이팅입니다!
예로나님 안녕하세요 부마니입니다. 실거주로 보시는군요 처음이라 많은 어려움이 있을것 같습니다. 1. 1층은 나중에 환금성측면에서 팔기 어렵도 그만큼 싸게 사야하는게 있습니다 5~6천이라면 저라면 좀더 더 좋은 층을 수리된 중층을 찾아보고 선택 할 것 같긴합니다. 하지만 실거주라면 예로나님의 선택에 맞게 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34평 수리하려면 3-4천정도면 아마 가성비 수리로 깔끔하게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더 좋은 것을 선택한다면 수리비가 더 많이 들것으로 보입니다. 2. 부대비용으로 예로나님께서 이야기 하신것이 대부분이고 추가로 청소비용정도 들 것 같습니다 3. 셀프등기는 제가 경험해보지 않았지만 다른 분들 경험을 들었을때 전문가에게 맏기는게 낫다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숨고나 부동산 중개사분들께 문의해서 등기비용을 싸게 한다면 싸게는 20만원에서 30만원정도 들거라고 예상됩니다 4. 경매이력이 있어도 말소처리만 되어 있다면 그리고 근저당이 잡혀있지 않다면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5. 만약 투자로 주택수를 늘리지 않는다면 보유세와 양도세에서는 단독명의보다는 공동명의가 좋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각자의 상활에 따라 다른것 같고 대출은 은행에 문의해야 정확하게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6. 대출은 은행에서 알아봐야 정확하지만 마이너스통장을 먼저 일으키기보다는 신생아특례대출을 먼저 일으키는게 먼저 일곳 같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말씀드리자묜 투자코칭을 먼저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좋은 선택 되시길 빌겠습니다!!
예로나님, 안녕하세요. 실거주 집 매수를 앞두고 고민이 많으시군요! 우선 내집마련하시려 계속 알아보시고 노력하시는 모습 너무 멋지십니다! 1. 1층의 경우 단지마다 다르지만 중층과의 가격차이가 많이 나는 단지가 있습니다. 단지별로 차이가 있지만 현재 5천차이가 싼 게 맞는지, 원래 그 가격인지 파악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층의 경우 환금성 측면에서 조금 아쉬운 점이 많습니다. 말씀하신 내용 중 깔끔한 수준으로(욕심내지 않고) 인테리어 수리를 진행할 시 3~4천이면 충분히 깔끔한 화이트톤 수리가 가능합니다. 2. 부대비용으로는 말씀하신 중개수수료, 취득세, 등기비용(법무사), 선수관리비 등이 있습니다. 선수관리비나 장기수선충당금 등은 고액은 아니며, 계약 및 잔금 시 부동산사장님께서 안내해주십니다! 3. 셀프 등기도 요즘 블로그나 SNS에 많이 나와있고 각종 필요 서류들도 그리 어렵지 않아 충분히 가능하시지만, 잔금 및 이사 중 셀프 등기까지 하시려면 이삿날 정신이 없으실 것 같습니다. 법무통이나 부동산사장님 추천으로 30만원선이면 적당한 법무사 비용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법무사님께 맞기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4. 경매 이력이나 갑구의 경우 법무사님께서 처리를 해주시는 부분도 있지만, 말소되어 있다몬 큰 문제는 없습니다. 5. 과세표준으로 인해 세금 측정 시 공동명의가 유리합니다. 6. 현재 신생아특례대출은 DSR 적용이 아닌, DTI 적용이므로 신용대출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신용대출(마이너스 통장) 승인 이후 신생아특례대출을 받으셔도 무방하오나, 자세한 건 대출상담사분과 상담하시는게 명확하실 것 같습니다! 답변이 되셨을지 모르겠습니다ㅜㅜ 아무쪼록 안전하고 좋은 내집마련 성사되시길 바라겠습니다! 혹시 너무 어려운 상황이 있으시다면 월급쟁이부자들 멘토님들에게 투자코칭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