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S밀리입니다.
운 좋게 실전반도 세 번째인지라 처음으로 욕심이 났던 거 같습니다.
평소보다 더, 할 수 있는 것보다 더 하려고 했던 지난 2주였습니다.
역시 사임 제출 후 튜터링 데이까지 끝난 지금 몸과 마음은 바닥나려고 합니다.
업무와 사임을 핑계로 가장 중요한 일인 강의 듣기, 용맘 튜터님의 2강을 미뤄왔던 것도 사실입니다.
죄송합니다 튜터님,,하지만 처음으로 미룬 게 잘한 일이었나? 싶은 생각이 듭니다.
마지막 튜터님께서 해주신 진심어린 말씀이 바닥나려고 했던 저의 몸과 마음을 다시 다잡을 수 있도록 해주셨습니다.
특강에서 처음 뵙고, 이번 실전반에서 두 번째로 뵈었지만 튜터님의 지나온 투자 인생에 압도되고, 자극 받고, 동기부여 되고, 용기를 얻습니다.
절대 쉽지 않은 길을 묵묵히 걸어오시며 어떤 노력을 들이셨을지,,
이 길의 끝에 나는 어떤 모습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 등등 많은 생각과 감정이 교차하는 시간이었습니다.
튜터님 꼭 뵙고 싶습니다! 온라인상이지만 오늘도 역시나 저에게 용기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 강의는 월부의 전세 레버리지 투자의 핵심 내용을 다룬 부분이었습니다.
제가 지금껏 하고 있던 임장과 임보를 되돌아 볼 수 있었습니다.
“습관적으로 해오던 것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합니다.”
그냥 하면 되는 게 아니라 제대로 해야 하는데 어느 순간부터는 몸에 익은 대로 그냥 했던 거 같습니다.
제대로 임장하고 제대로 비교평가 하여 속도는 느릴지언정 제대로 된 길을 밟아 나가는 투자자가 되겠습니다.
분위기 임장
분위기 임장의 목적은 생활권 우선순위를 남기기 위함이라고만 생각했습니다.
분위기 임장만 잘해도 좋은 단지, 매물 임장 할 단지까지 뽑을 수 있는지 몰랐습니다.
늘 한 발 더 나아가야 하는데 아직은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지역의 핵심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더 뾰족하게, 더 디테일하게 들어가 임장해야겠습니다.
어떻게?
그 지역이 가지고 있는 것과 그 지역이 가지지 못한 것까지 보겠습니다.
가진 것과 없는 것을 모두 파악하여 생활권 정리를 남긴다면 해당 생활권의 수요가 무엇일지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게 습관화 되면 분위기 임장만 하더라도 각 생활권 별로 어떤 단지를 사람들이 좋아할지, 어떤 단지를 매임해야 할지까지 나올 수 있습니다.
어차피 들이는 시간, 임장할 때 무의식적으로 걷지 않고 의식적으로 있는 것과 없는 것을 파악하겠습니다.
단지 임장
단지 임장도 마찬가지로 수요 파악입니다.
각 생활권의 각 단지별로 어떤 이유로 사람들의 수요를 잡아 당기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그 파악이 제대로 되어야만 수요가 있는 단지를 선별하고 내 투자 후보단지는 무엇인지 골라낼 수 있습니다.
단지 임장 시엔 각 단지의 특징만 파악하고 오려고 했던 것 같습니다.
단지 임장 또한 매수하는 입장에서, 늘 수요자의 관점에서 생각해야겠습니다. 해당 단지의 어떤 특징이 정작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증으로 시작하여 판단으로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너무 큰 단점이 보이더라도, 선입견을 버리고 그럼에도 그 단지의 수요는 대체 무엇일지 생각하겠습니다.
어차피 들이는 시간, 단지 임장 또한 무의식적으로 봐야할 것만 보고 오는 게 아닌, 한 발 더 나아가 수요자 입장까지 연결시켜보겠습니다.
매물 임장
'당장 투자할 게 아닌데 매물 임장을 왜 해야 할까?' 라는 의문을 가졌던 시기도 있습니다.
매물 임장을 하는 이유는 내가 알아낸 단지 선호도가 맞는지 최종 확인하기 위함입니다.
나아가 당장 투자할 수 없더라도 앞으로의 투자후보 단지를 남기기 위함입니다.
“매임 전 질문할 것들을 정리해서 가야 돼요. 안 그러면 까먹고 그냥 옵니다.”
매임 또한 제대로 해야 하는데, 제대로 하려면 준비를 해서 가야 합니다.
호가, 조정 여부, 협상, 매도 사유, 전세, 지역 내 선호도 등 가장 정확하고 많은 정보를 알아낼 수 있는 매물 임장입니다.
이번 주 매임 시 평소보다 더 준비해 가서 분위기, 매물 조건, 매도자 상황, 선호도 등 제대로 파악해 보겠습니다.
그 외에도 시세지도/그룹핑, 복기, 비교평가까지 정말 많은 내용을 다뤄주셨습니다.
오늘 강의 후기는 BACK TO BASIC 해서 제대로 임장하는 법부터 정리해 보았습니다.
저에게 남은 핵심은 이왕 하는 거 잘하기 위해, 잘하기 위해 ‘제대로’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제대로 몸에 익히기 전까지 이번 교안 및 노트를 임장하러 갈 때마다 보려고 합니다.
어느덧 실전반 3주차.
지금은 힘들 때가 아니라 좀 더 제대로 해야 할 시기인 것 같습니다.
용맘 튜터님 다시 한번 일깨워 주시고, 용기까지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댓글
S밀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