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가치-가격-투자금-리스크
현재 앞마당이 아닌 A,B을 풀어주시며 현재 임장지에도 적용할 수 있는 부분들이라 너무 감사합니다.
인구를 보며 어디를 사람들이 좋아하는지? 어디가 균질한지 파악
그냥 마냥 인구가 높구나 세대당 인구수가 높구나,, 그래도 역세권이 더 좋겠지 라는 생각이 아닌 그 지역내에서 어디에 사람이 많이 살며, 어디가 균질해 선호하는지를 봐야겠다고 생각해야겠습니다.
살고 싶은 환경인가? (연식+균질성+상권+자연) / 여기를 선택하는 사람들의 우선순위가 무엇인지?
그냥 환경 상권이 좋으면 좋지가 아닌 살고 싶은 환경은 맛집이 많고 그런 상권보다는 아파트가 모여 균질한 택지를 이루고 처음 느낌이 오 좋다~ 라는 생각이 드는 곳이 환경이 좋다는 것을 알 수있었습니다.
학군의 요소는 아이를 키우기 좋은 환경인가? 초+중+고를 한번에 보낼 수 있는가?
학군지가 아니더라도 아이들을 키우기 좋은 환경에 학군이 있다고 생각하고, 그 중에서도 부모들은 좋은 학군지가 아닌 그 지역에 살기 좋은 (아이들이) ,한번에 보낼 수 있는 곳을 선호하는 구나 라고 알 수있었습니다.
공급이 단순히 많다 가 아닌 어디에 많은지, 전세 소진상황을 고려하기
공급은 전세(리스크)를 위해 알아야 한다, 마냥 그 지역에 공급이 인구수대비 많다 가 아닌 어디쪽에 공급이 있고 재건축,재개발 등 공급이 있어 내가 투자를 고려하거나 투자한 단지에 대해 리스크를 파악 할 수있다.
비교평가를 배우며 항상 어려웠던 단지vs단지의 가치파악과 가격으로 인한 확인+보조지표를 이용해 앞마당내에 적용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공급은 전세가와 매매가가 눌려있는 기회로 항상 봐야겠다고 생각했으며, 시세트레킹을 하면서 전세도 같이 봐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배울 점도 많고,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마인드까지 받아가는 프메퍼님의 강의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