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신경 쓸 필요가 없는 일에 지나치게 신경 쓰느라 몸부림을 치며 살아간다. 당신은 언젠가 죽는다. 그리고 오늘과 그날 사이의 짧은 기간 동안, 당신이 쓸 수 있는 신경은 얼마 안 된다.
사람은 진짜로 가치 있는 것에만 신경 쓰는 법을 배울 때 성숙해진다.
“문제 없는 삶을 꿈꾸지 마.
그런 건 없어.
그 대신 좋은 문제로 가득한 삶을 꿈꾸도록 해”
행복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서 나온다. 여기서 핵심은 ‘해결’이다.
문제를 피하거나 아무런 문제가 없는 척하면 불행해진다. 해결 못 할 문제가 있다고 생각해도 역시 불행해진다. 중요한 건 처음부터 문제 밖에 자리하는 게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는 거다.
➡️ 인생은 문제의 연속이다. 그걸 해결해가면서 행복을 느끼는 것이다. 문제 때문에 너무 낙담할 필요도, 좌절할 필요도 없다. 해결하면 된다!💡
머릿속에 담고 있는 자아상을 버리면, 자유롭게 행동하고 실패하며 성장할 수 있다. ‘난 인간관계에 서툰 것 같아’라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 그 순간 당신의 에너지를 갉아먹던 수많은 관계에서 자유로워질 수 잇다. 사회적인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당신의 정체성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거두절미하고 말하자면, 당신의 문제는 특별하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놓아버리면, 크나큰 자유를 맛볼 수 있다.
➡️ 나 자신에 대한 자아상을 규정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의 나를 받아들이면 자유로워진다.
외부 환경이 어떠하건 간에 내 삶에서 일어나는 일은 모두 내 책임이다. 우리한테 일어나는 일을 우리가 전부 통제할 수는 없다. 하지만 그 사건을 어떻게 해석하느냐, 그리고 거기에 어떻게 대응하냐는 언제나 우리 마음에 달려있다.
삶에 더 큰 책임감을 가질수록, 삶에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내 문제는 내가 책임지겠다는 자세가 문제 해결의 첫 걸음이다.
어떤 분야에서 진짜로 성공하려면, 실패를 기꺼이 감수해야 한다. 실패하지 않겠다는 건 성공하지 않겠다는 거나 마찬가지다.
고통이 과정의 일부라는 점을 명심하라. 그걸 깨닫는 게 중요하다.
✅ 명상하며 마음 그릇 키우기. ‘모든 것은 다 내가 받아들이기 나름이다.’ 계속 상기시키기.
(p.121) 삶에 더 큰 책임감을 가질수록, 삶에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p.51) 행복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서 나온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