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버는 독서모임

[8월 돈독모 후기_독성공] 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 (with 허씨허씨튜터님)

25.08.23

시간이 이렇게 빨리 흘러간지도 모를 정도로, 너무나도 재미있었고 가치있었던 8월 돈독모였다.

 

우선 허씨허씨 튜터님이 너무 웃기셔서 정말 많이 웃으면서 모임을 진행 했다. 확실히 재미있으니 집중도 잘 되고, 마음이 쉽게 열려 그런지 온라인인지도 모를만큼 푹 빠져 모임활동 했던 것 같다.

 

먼저 이번 모임의 책이 쉬운 책은 아니었었다.

유명한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의 두번째 버전이였다.

사실 첫번째 책과 비슷한부분이 꽤 있긴 했지만, 확실히 더 깊은 부분을 다루고 있었다.

부자가 되기 위해 사분면을 이동하는 순서, 부채활용법, 세금활용법, 부자가 되기위한 경험담 등은 1편에서의 심화 과정의 내용이였다.

 

조원분들께서도, ‘부채는 양날의 검이다’ ‘사업자 세금을 비용으로 처리하기’ ‘사분면 이동할때 필요한 부채활용법’ ‘유령소득’ 등 새로운 내용들이 신선하고 인상깊었다고 하셨다.

 

튜터님께서도 세금없는 전세상승분의 경험담을 말씀해주시며, 이 책이 어렵지만 우리가 열반기초에서 배운 Not A But B 할 수 있는 좋은 책 이라고 정리 해주셔서 찐하게 와닿았다. 부자가 되려면 역시 배워야하고, 생각이 바뀌어야 한다는걸 다시한번 배울 수 있었다.

 

첫번째 논의 주제는 재테크 시작 경험담과 배운점들을 나눠보았다.

 

‘모든 투자는 좋은자산을 싸게 사고 버티는거’

‘힘들지만 결국 남는건 좋은기억과 등기뿐’

‘가족의 반대에는 말로 설득하려하지말고, 열심히 하는 모습 행동으로 보여주기’

 

얘기 나누면서 조원분들의 소중한 간접경험들 많이 얻어갈 수 있었다.

 

두번째는 투자나 재테크 할때 필요한 지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목표를 먼저세우고, 그다음 배우고 실행한다. 실패하면 다시 복기를 하고 목표세우고 배우고 행동 복기 반복!! 이게 성공으로 가는 길인것 같다.

혼자서 참 열심히 하다가 어느순간 해이해지면서 길을 잃을때가 있다. 곰곰히 생각해보면 목표가 흐릿해질때가 참 많더라. 항상 이 네가지를 생각하면서 살아야겠다라는 다짐을 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플랜B(목표를 위한 준비계획)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개인적으로, 성공하고 싶다는 마음만 크고 정확하게 구체적으로 뭘 해야될지 정하기가 참 어려웠다.

튜터님께서는 월부환경에서 미리미리 공부해서, 실제로 기회가 왔을때 그 공부한것들이 도움이되어 투자를 성공한적이 많다고 하셨다. 근저당, 가압류, 경매 걸려있는 물건들을 평상시 꾸준히 공부해왔던 실력으로 다 풀어서 투자를 하신 경험담은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들면서 강한 동기부여가 되었다. 

나도 지금 정확히 뭘해야할지 정하기 어렵지만, 일단 지금 하고 있는 투자공부는 모든걸 다 습득한다는 마인드로 열심히 해보려고 한다. 그리고 내년 2월전에 꼭 투자or내집마련을 하는걸로 계획을 잡았다. 투자후에도 앞으로도 공부한것들이 다음 투자, 그다음 투자에 다 도움이 될거란 확신을 가질 수 있었던 시간이였다.

 

다른 조원분께서 말씀하신 부동산관련 뉴스도 지금 하고있지만 놓칠때가 많다. 꾸준히 다시 해보고, 어제의 게시글도 열심히 따라 해봐야겠다.


성공하기 위해서는 성공한 사람을 멘토로 삼고 따라하는게 제일 쉬운 공략집이라고 한다.

오늘 3시간 넘게 독서모임을 이끌어주시는 튜터님을 보면서 많이 웃기도 했지만 참 많은걸 배웠다. 

확실한 목표가 있으셨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열심히 달려나가시고 있는 모습이 참 멋있었다. 목표를 세우고 이제 시작한 입장에서 롤모델로 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심지어, 육아중이신 상황도 멀지않은 나의 모습같아 참 적절한 롤모델을 이렇게 돈독모에서 만난거 같아 감사했다.

 

나도 목표를 확실하게 세우고, 열심히 살면서 공부하고 투자하고 복기하며 결국엔 성공하는, 멋진 삶을 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 불금, 같이 독서모임하며 보내주신 허씨허씨튜터님, 지안재님, 만두리님, 햇살의흔적님, 딸기라씨님 너무감사하고 응원하겠습니다~!!


댓글


독성공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