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실전32기 임장지 태양을 적시러 언Jㅔ든Jl 9o하조 스뎅] 4강_투자를 위한 매임과 앞마당 관리

25.08.28

 

 

안녕하세요. 은은하지만, 뜨거운 열정을 품은 투자자 스뎅입니닷!

이번 강의는 월부 선배 2분의 명강의를 들으며 정말 많은걸 

꽁으로(?) 배워갈 수 있어서 감사함 가득이였는데요!

처음 듣는 두분의 튜텨님의 꿀팁을 이렇게 바로 하루만에 가져가도 될런지,,,,

참으로 감사합니다..헤헤 ㅎㅎㅎ

 

 

나알이 튜터님의 강의를 듣고 나서

매물임장이란 이런 것이다! 를 명쾌하게, 단번에 알 수 있었습니다.

이번 강의의 핵심 메시지는 

매물 임장을 가기 전과 후 무엇을 준비하고,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였습니다.

 

 

  1. 임장 전 준비
    • 스케줄을 역산하여 시간 낭비 없이 동선을 짜야 한다.
    • 단지별 데이터를 미리 체크하고, 가격·전세 흐름·최근 매물 변화를 파악해야 한다.
    • 단순히 ‘보러 간다’가 아니라, 사장님에게 질문할 포인트를 정리하고 
      인터뷰를 통해 현장의 분위기와 인사이트를 얻을 준비를 한다.

       

  2. 임장 중/후 행동
    • 단지마다의 분위기를 파악하고, 메모를 통해 기록한다.
    • 사장님과의 대화를 통해 온라인 데이터로는 알 수 없는 “실제 거래 분위기”와 “수요·공급 상황”을 확인한다.
    • 물건을 억지로 내 상황에 끼워 맞추지 않고, 단지 가치를 먼저 평가한 뒤 내가 맞출 수 있는지 판단한다.
    • 수리나 관리가 필요한 매물은 ‘반드시 제대로’ 진행해야 하며, 임시방편식 접근은 피한다.

 

 

즉, 시장에서 끌려다니지 않고 내 기준을 세운 뒤, 
임장을 통해 데이터를 검증·보완하는 과정이 강조된 강의였습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 단순히 발품을 파는 것이 ‘임장’이 아니라는 걸 다시 느꼈습니다.

  • 임장은 준비된 질문과 데이터 기반으로 들어가야 진짜 의미가 있다는 점이 가장 크게 와닿았습니다.
  • 또, 사장님을 만나는 건 단순히 매물을 얻기 위함이 아니라, 
    시장의 방향을 간접적으로 듣고 내 해석을 보완하기 위한 과정이라는 점이 신선했습니다.
  • 무엇보다 중요한 건, 물건을 억지로 나에게 맞추지 않고, 단지의 가치를 먼저 본 뒤 결정하는 태도였습니다.

 

 

결국 임장은 데이터 → 현장 확인 → 사장님 인터뷰 → 정리라는 
일련의 사이클을 거쳐야 ‘투자 준비’로 연결된다는 걸 배웠습니다!

 

 

 

BM list

  • 임장 전 체크리스트 습관화
    • 동선 짜기(스케줄 역산)
    • 단지별 최근 거래가/호가/전세 흐름 정리
    • 사장님께 질문할 포인트 최소 3가지 작성
  • 사장님과의 인터뷰
    • 단순히 “매물 있나요?”가 아니라
      • 최근 매수/매도 분위기?
      • 급매는 어느 정도 수준에 나오는지?
      • 거래가 잘 되는 타입(평형)?
    • 이런 식으로 대화를 끌어내는 훈련
  • 임장 후 기록화(원페이지 정리)
    • 단지별 사진, 분위기, 들은 이야기, 내 생각을 1페이지로 정리해 인사이트 쌓기
    • 물건 자체가 아니라 단지의 흐름과 가치를 중심으로 기록
  • 투자 기준 확립
    • 단지 가치를 먼저 보고, 나를 맞추지 않는 습관
    • 수리가 필요한 매물은 반드시 제대로 할 수 있는 범위에서만 선택

 

 


 

 

두번째 김인턴 튜터님의 강의를 통해 가장 크게 와닿은 부분은 앞마당 관리의 중요성 이었습니다. 

그동안 임보를 쓸 때 단편적으로 매물 조금만 보고 의사결정을 내리려는 습관이 있었는데, 

강의에서는 오히려 투자를 준비하는 과정 자체가 핵심임을 강조했습니다

 

단지의 분위기를 직접 체감하고, 

사장님과 인터뷰하며 현장의 생생한 데이터를 얻는 과정은 

단순한 수치 확인 이상의 가치를 준다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특히 시세 트래킹과 전화 임장을 연결 지어야만 진짜 시장의 호가와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는 말은

앞으로 제가 투자를 접근하는 방식에 큰 기준점이 될 것 같습니다.

 

또 하나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원페이지 정리입니다. 

단순히 ‘정보 수집’에서 멈추지 않고, 가격·전세 흐름·물량 변화·저평가 단지까지 정리한 뒤 

제 생각을 기록하는 것이 결국은 ‘나만의 투자 인사이트’를 쌓아가는 과정이라는 점이 명확해졌습니다. 

 

즉, 결과보다 과정에 집중하는 습관이 장기적으로 성공 확률을 높여준다는 강의의 메시지가 크게 다가왔습니다.

마지막으로, 투자는 시장에 끌려다니는 게 아니라, 내가 기준을 세우고 관리하는 것이라는 부분이 가장 강하게 기억에 남습니다. 

 

시장은 언제나 변동하지만, 

내가 할 일은 꾸준히 앞마당을 관리하면서 내 기준에 맞는 단지를 추려내고 준비하는 것이라는 

태도가 큰 깨달음을 전해주었습니다.

 

 

BM list

 

  • 앞마당 관리 습관화
    • 매주 시간을 내어 앞마당 단지들의 시세 흐름을 확인, 원페이지에 기록
    • 단순히 숫자를 보는 것이 아니라, 
      가격 변동의 원인·지역 내 이슈·전세와 매매의 관계까지 함께 기록해 나만의 해석을 남기기
  • 임장과 데이터의 연결
    • 온라인 데이터만으로 판단하지 않고, 반드시 전화 임장과 현장 확인을 통해 
      실제 호가와 분위기를 비교
    • 사장님을 만나 이야기를 듣는 과정을 적극적으로 시도해 현장 경험을 제 것으로 만들기
  • 투자 시뮬레이션(모의투자)
    • 당장 투자하기 어렵더라도 단지를 선정해 가상의 매수·매도를 가정한 시뮬레이션을 진행
    • 이를 통해 단지 트래킹과 투자 의사결정 연습을 꾸준히 이어가며, 
      실제 기회가 왔을 때 흔들림 없이 행동할 수 있도록 준비
  • 롱런 관점 유지
    • 단기간 성과를 쫓기보다, 장기적으로 시장의 사이클(상승·하락)을 모두 경험하며 
      묵묵히 데이터를 쌓는 과정에 집중
    • ‘앞마당 관리 = 투자 준비’라는 생각을 놓치지 않고, 평소 습관으로 만들기

 


댓글


나알이
25. 08. 28. 17:25

스뎅님 도움이 되었다니 기쁩니다 은은하지만 뜨거운 열정 멋지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