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투자관점의 변화
수강 후 :
저평가를 단순히 싸다는 개념이 아닌 전고점 대비 하락 여부 + 단지별 우위 요소로 분석할 수 있게 됨.
환금성을 단순 매매 가능성에서 끝내지 않고, 세대수.입지.평수.생활권 선호도까지 종합적으로 따져보는 눈을 가짐.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을 체감 → 전세자금대출 규제, 세입자 승계, 잔금 리스크까지 고려한 투자 판단을 할 수 있게 됨.
2. 임장 변화
수강 후 :
생활권 핵심 가치(교통/학군/연식 등)를 먼저 나누고 → 단지별 가치(입지·상품가치)를 적어보고 → 가격 비교까지 연결하는 체계적 프로세스를 갖춤.
분임/단임/심화 임장 개념을 알게 되어 단순 방문이 아니라 후보 단지 선별, 가치비교, 투자 우선순위 선정까지 연결.
현장에서 확인할 질문 리스트(매매가·전세가·수리 상태·사연 파악)를 준비해 부동산과 실시간으로 대화하고 비교평가하는 임장 습관이 생겨야함….
단순 “눈으로 보기”에서 벗어나 시장 분위기, 경쟁자, 매수/매도 심리까지 체감하면서 투자 판단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함..
3. 임보 변화
수강 후 :
임장보고서(임보) 작성 → 단순 기록이 아닌, 투자 후보 단지를 그룹핑하고 “계속 복기할 3개 단지”를 정하는 실전 훈련으로 활용.
비교평가 → 직감이 아니라 One-page 양식(가치 → 가격 → 개인 상황 적용)을 통해 의사결정 근거를 명확히 세우는 습관 형성.
시세 트래킹과 전화임장까지 병행하여, 단순히 배우는 데서 끝내지 않고 실제 투자자의 루틴을 적용해보자!!
5강을 듣기 전에는 단지와 시장을 바라보는 기준이 막연했고, 임장은 겉면만 봤었다. 하지만 수강 후에는 저평가·환금성·수익성·리스크라는 네 가지 틀 안에서 단지를 체계적으로 비교하고, 생활권 핵심 가치와 단지별 특징을 분석하며, 복기와 임보 작성을 통해 시장의 흐름을 내 투자에 연결하는 습관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무엇보다 직감이 아니라 근거 있는 비교평가로 우선순위를 세우는 투자자의 눈을 키울 수 있게 되지 않았나 생각해 봅니다.
계속 복기하며 까먹지 않고 다음달에 꼭 적용해보면서 발전해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매물임장을 할 때 계속해서 1등 생각
1등을 정하는 기준
동, 향, 층, 방 / 화장실 수에 따른 가격 적합성
인테리어 수리
거주자의 상황, 협상 여부 등 총체적으로 따져서 1등을 정함
대형은 임대사업자 등록할 때 어려울 수 있다.
다주택자를 생각한다면 대형은 생각해 봐야한다.
꼭 매매 전세 모의 계약서 작성하기!!
댓글
멈추지말고달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