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0월 돈버는 독서모임 - 돈의 얼굴
독서멘토, 독서리더

책제목 : 아주작은습관의힘
저자 및 출판사 : 제임스 클리어, 비즈니스북스
읽은 날짜 : 2025. 8. 1 ~ 8. 31.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작은습관, 정체성, 반복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10점)
✅본것
part1 아주 작은 습관이 만드는 극적인 변화
평범한 선수들은 어떻게 최고의 선수가 되었을까
영국 사이클은 1908년 이후
올림픽에서 금메달 한개 땄을뿐
가장 큰 대회인 투르 드 프랑스에서는
110년동안 한번도 우승하지 못함.
영국 사이클협회 조직위원회에서는
데이브 브레일스퍼드를 새 감독으로 영입하는데,
2007~ 2017년까지 10년동안
영국 사이클 선수들은 세계선수권대회에서 178개의 메달을,
올림픽과 패럴림픽에서 66개의 금메달을,
투르 드 프랑스 대회에서 다섯번의 우승을 따냄.
무슨일이 일어난 걸까?
브레일스퍼드 감독은 선수들에게
“당신이 사이클을 탈 때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다 잘게 쪼개서 생각해보고
딱 1퍼센트만 개선해보라.
그것들이 모이면
상당한 발전이 이뤄질것이다” 라고 하면서
아주작은것을 바꾸기 시작함.
1퍼센트의 성장은 눈에 띄지 않는다.
가끔은 전혀 알아차리지 못할때도 있다.
하지만 이는 무척이나 의미있는 일이다.
습관은 복리로 작용한다.
돈이 복리로 불어나듯이 습관도 반복되면서
그 결과가 곱절로 불어난다.
그러나 매일 이것을 느끼고
감사하기엔 어려울 수 있다.
우리는 작은변화들을 무시한다.
그 순간에는 그리 중요하게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일상의 습관들이 아주 조금만 바뀌어도
우리의 인생은 전혀 다른 곳으로 나아갈 수 있다.
성공은 일상적인 습관의 결과다.
우리의 삶은 한순간의 변화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습관 역시 대부분 중대한 한계점에 도달해서
새로운 성과를 보이기 전까지는
아무 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과정 초기와 중기에는 이른바 ‘낙담의 골짜기’ 가 존재힌다.
뭔가 해낼수 있다고 느껴지지 않고,
계속해서 과정들이 축적되고 있음에도
결과는 아직 저 멀리에 있다.
변화는 극히 작고, 눈에 보이는 결과는 없으니
쉽게 그만두는 것이다.
하지만 의미있는 차이를 만들어내고 싶다면
정체기, 그러니까 여기서 ‘잠재력 잠복기’라고
부르는 기간을 돌파할 때까지 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열심히 하는데 성과가 없다고 불평하는건
온도가 영하4도에서 영하1도가지 올라가는 동안
왜 얼음이 녹지 않느냐고 불평하는것과 같다.
노력은 결코 헛되지 않다.
쌓이고 있다. 모든 일은 0도가 되어야 일어난다.
무엇이든 숙련되기까지는 인내심이 필요하다.
목표는 늘 거기에 있다.
결과에 차이가 생긴건 지속적으로
작은 개선들을 만들어내는 시스템을 시행한것.
목표설정의 목적은 게임에서 이기는 것이다.
반면 시스템 구축의 목적은 게임을 계속해 나가는 것이다.
장기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목표 설정보다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성취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개선하고 발전해나가는
순환고리를 만드는 것이다.
즉, ‘과정’에 전념하는 것이 발전을 ‘결정’한다.
목표를 높이지 마라.
시스템의 수준을 어렵지 않게 낮춰라.
단순히 과거의 습관들이 아니라 아주 작은 습관의 힘을 강조하고 싶다.
아주 작은 습관도 모여 놀라운 결과를 이뤄낸다.
정체성, 사람을 움직이는 가장 큰 비밀
많은 사람이 자신이 얻고자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 습관을 변화시키려고 한다.
그러나 이런 태도는
결과가 중심의 습관을 형성한다.
그러나 지속하기 위해서는
정체성 중심의 습관을 세워야 한다.
이는 내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에
집중하는데서 시작한다.
근본적인 믿음이 변화하지 않는다면
습관을 바꾸기란 무척이나 어렵다.
새로운 목표와 계획을 세웠지만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변화하지 않았다면 말이다.
무엇이든 쉽게, 재밌게, 단순하게
습관을 형성하는 네 단계
신호→ 열망→ 반응 → 보상
네 단계중 하나라도 충족시키지 못하면
습관이 되지 않는다.
신호를 제거하면 습관의 단계로 들어가지 않는다.
열망이 감소하면 동기가 부여되지 않는다.
반응이 어려우면 그 행동을 할 수가 없다.
보상이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면
나중에 그 일을 다시 할 이유가 없다.
좋은 습관을 만드는 행동변화의 법칙
첫번째 법칙, 분명하게 만들어라.
두번재 법칙, 매력적으로 만들어라.
세번째 법칙, 하기 쉽게 만들어라.
네번째 법칙, 만족스럽게 만들어라.
나쁜 습관을 버리는법
첫번째 법칙, 보이지 않게 만들어라.
두번째 법칙, 매력적이지 않게 만들어라.
세번째 법칙, 하기 어렵게 만들어라.
네번째 법칙, 불만족스럽게 만들어라
part2 첫번째법칙, 분명해야 달라진다.
인생은 생각하는 만큼 바뀐다
행동변화는 늘 인식에서 시작된다.
큰 소리로 말하거나
습관점수표를 작성하는 것 같은 전략은
자신의 습관을 알게 해준다.
그리고 어떤 신호가 그것을 불러일으키는지
집중하게 되어 우리에게 이득이 되는 반응을 할 수 있게 도와준다.
아주 구체적으로 쪼개고 붙여라
가장 일반적이 신호 두가지는 시간과 장소이다.
시간과 장소에 새로운 습관을 끼워 넣으려면
실행의도 전략을 사용하라.
실행 의도 공식은 나는 언제 어디에서 어떤 행동을 할 것이다.
습관쌓기는 현재의 습관에 새로운 습관을 짝짓는 전략임.
습관쌓기 공식은 현재의 습관을 하고나서 새로운 습관을 할 것이다.
환경이 행동을 결정한다.
새로운 환경에서 새로운 습관을 만들기 쉽다.
거의 신호들과 맞서 싸우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나쁜 습관 피하기 기술
나쁜 습관을 버리고 싶다면 보이지 않게 하라.
나쁜 습관을 제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그것을 유발하는 신호에 노출되는 일을 줄이는 것이다.
part3 두번째법칙, 매력적이어야 달라진다.
왜 어떤 습관은 더 하고 싶을까
기회가 매력적일수록 습관이 형성되기 쉽다.
습관은 도파민이 주도하는 피드백 순환 작용이다.
도파민이 분비되면 어떤 행동을 하겠다는 동기도 생겨난다.
우리를 행동하게 만드는 것은
보상의 성취가 아니라 보상에 대한 예측이다.
예측이 커질수록 도파민도 더욱 많이 분비된다.
왜 주위사람에 따라 내 습관이 변할까
우리는 세 집단의 습관을 모방함
우리는 가까운 사람일수록 그 사람의 습관을 모방하기 쉬움.
더 나은 습관을 세우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중 하나는
자신이 원하는 행동이 일반화된 집단에 들어가는 것임.
어떤 습관을 들이고 싶다면 그런 습관을 지닌 사람들 사이에 있어라.
그러면 함께 성장할 것이다.
part4 세번째법칙, 쉬워야 달라진다
1만시간의 법칙은 틀렸다.
습관은 시간이 아니라 횟수에 기반해 형성됨.
횟수가 중요함.
습관이 자동화되려면 얼마나 오래하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자주 반복하냐가 중요한다.
웬만하면 쉽게 갑시다
중요한 행동을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마련하라.
책 읽는 습관을 들이려며 여기저기 책이 보는곳에 갖다 놓자.
part5 네번째법칙, 만족스러워야 달라진다
습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성공했다는 느낌을 필수적으로 받아야 함.
습관추적은 행동 변화의 다양한 법칙들을
더욱 강화해서 강력한 효과를 발휘한다.
동시에 행동을 분명하고 매력적이고 만족스럽게 만들어준다.
습관추적은 우리에게 행동을 일깨우는
시각적 신호를 만들어내고
자신의 발전을 눈으로 보고 이를 되돌리고 싶지 않다는 내적 동기를 일으키며
성공적으로 습관을 수행하고 기록하는
순간순간 만족감을 느끼게 해준다.
part6 최고의 습관은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자신에게 맞는 습관을 선택해야
그 것을 쌓는 과정이 쉬워진다.
습관이 일상이 되면
흥미와 만족감이 줄어들고 지루해진다.
누구나 어떤일에 대한 동기를 느꼈을때 그 일을 할 수 있다.
차이를 만들어내는건
그 일이 흥미롭지 않을때도 계속 해 나가는 능력이다.
습관의 긍적적인 측면은 일부러 생각하지 않고
어떤 일을 할 수 있게 해 준다.
부정적인 측면은 작은 실수들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게 된다.
숙고와 복기는 자신의 성과를 의식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해주는 과정이다.
✅깨달은것
성공을 하기 위해서는
눈에 보이는 가식적인 결과보다
아주 작은 습관이 중요함.
아주 작은 습관은 눈에 보이지 않고,
당장의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지루할 수 있지만
이 습관들이 쌓이다 보면 큰 성과를 낼 수 있다.
습관은 흥미롭지 않을때 지속적으로 할 수 있어야 성공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습관은 분명해야 하고,
매력적이어야 하고,
쉬워야 하고
만족스러워야 한다.
내가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는지
정체성을 깨달아야 하고,
무엇이든 단순하고, 쉽게 계획하자.
그리고 환경안에서 좋은 영향을 받을수 있도록 하자.
✅적용할점
매일의 목실감으로 시스템 구축하자.
매일 작은 루틴을 달성함으로서 나에게 만족감을 주자.
습관을 길들이기 위해
많은 시간을 쓰기 보다
매일의 횟수를 반복하자.
월부 환경안에서 좋은 동료들,
좋은 멘토를 만나고
좋은 영향력을 받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