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

사실 지금껏 살아오면서 ‘돈’에 대해 큰 관심도 없었고, ‘부자’에 대해서도 크게 관심이 없었다. 

다른 세계의 사람들이라 생각했던 것 같다. 나와는 상관 없는 길이라 생각하고, 열심히 직장 생활을 했었다. 

열반 기초 강의를 들으면서, 

  • EBS 자본주의에 대해서 보며, 아직 정확히 이해는 되지 않지만 자본주의라는 것에 대해 알 수 있었다.
  • 부자들이 어떻게 큰 부를 얻었는지, 내 주변의 부자는 누구인지, 그들에게 멘토가 있었다는 것
  • 부자와 나의 ‘차이점'을 ‘공통점’으로 만들기 위해서 계속,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 인생에 있어서 10년이라는 시간은 강산을 바꿀 수 있는 시간이다. 아직 늦지 않았다. 충분히 할 수 있다.
  • 내가 사업, 부동산, 증여 중 무엇으로 승부를 봐야할 건지 결정했다. 정답이 나와 있었다.
  • 이건 나의 인생관과 일맥상통해서 기뻤다. (내가 평소와 똑같이 했던 걸 하면서 남들과 다른 결과가 나올 것 같은가? 그런건 없다. 나의 마인드와 동일해서, 역시 나의 가치관과 내가 일을 대하는 태도가 잘못되지 않았다고 느낌)
  • 나는 자본주의가 아닌, 근로주의에 살고 있었다. (내 소득이 나의 노동으로만 해서 이루어지는 것)
  • 50대부터 행복한 사람 : 평사원인데 경제 있는 사람 > 높은 직위 그러나 자본소득이 없는 사람
  • 투자할 때 “원금보존”이 정말 중요하다. 연10%-20% 수익률을 낼 수 있는 투자를 알아야 함 
  • 50대이후는 현금흐름이 중요, 40대까지는 자산을 빨리 불려나가야 함

    -부자들의 로드맵을 따라하자. 

     

  • 분명한 목표-현금흐름(1년 투자금 잘모으기)-저평가 매입-장기보유-시스템 다량보유
  • 현실이 바쁘다고, 현실 문제만 매일 해결하고 살면 현실에서만 머물게 된다, 목표지점을 보고 힘들어도 나아가야 한다.
  • 목표설정-경로설정(전략)-100일습관계획(독강임투)-실행복기-환경에 들어가라(월부)
  • 경제적 자유로 가는 전략 

1단계 : 목표설정, 종자돈모으기, 시간관리, 공부, 부자들 마인드

2단계 : 캐시카우(월급+투자), 매년 1채씩 

3단계 : 시스템 확장(10채 이상)

4단계 : 부채 상환, 자산 리모델링 

5단계 : 경제적 자유(똘똘한 5채)

  1. 제대로 투자하려면 내집마련은 나중에 하는게 맞다. → 지금 내 생황에서 내집마련 실거주에 거주하고 있는데, 이럴경우에는 어떤식으로 해야 좋을지 아직이 확신이 서질 않음.
  2. 일단 100일까지만 해보자! 일단! 그럼 답이 나올것이다!
  3. 책, 강의, 인맥, 임장, 세금 관련해서는 지출해야함( 소비와 투자를 구분하라!) 그러나 세금에 대해서는 꼭 알아야함. 처음에 잘해놓아야 나중에 어렵지 않다. 기회가 되면 세금 강의는 꼭 들어놓아라.
  4. 소득의 50%이내만 지출하자. 그러면 망할 일이 없다.
  5. 투자란? 돈이 일하게 하는 것.
  6. 좋은 투자란? 잃지 않아야함, 원금 대비 수익이 잘 나와야함, 자본소득을 근로소득 3배 이상으로 만드는 것.
  7. 투자자는 부동산 악재, 불황일 때 매수하고, 호재, 호황일 때 매도한다. (일반사람과 반대로 가야함) 
  8. 고수의 투자원칙

    -허리 이하에서 사면 원금 보존됨, 하락장에 매도해서 고점 찍고 빠져도 지난장의 허리이다. 

    왜냐? 부동산은 물가에 연동되는 부분이 있어서, 주식처럼 80-90% 빠지지 않는다. 

    -불황일때 매수하고, 호황일 때 매도한다. 

    -하락장이 온다고 하더라도 저평가, 우량 자산을 지켜낸다. (하락장에서 사람들이 버티질 못한다)

    -투자는 농사꾼의 마음으로 농작물을 키우고 재배하듯이 해야한다. (베짱필요)

    -자산이 5년, 10년 장기간 응원할 수 있는 곳에 투자한다. (내가 5년 가지고 갈 수 있는가?)

  9. 부자가 되려면? 

    -투자는 장기게임, 지금부터 시작하라. (조급해하지마라, 늦었다고 생각하지마라) 

    -다른사람과 비교(결과의 비교보다 과정, 노력의 비교가 맞다. 각자 페이스대로) 

    -투자처보다 투자자의 실력이 성과와 직결된다.

    -정보만 쌓고 움직이지 않으면 안된다, 이제는 행동 실천하면서 너바나, 너나위 얘기를 검증해봐야한다. 그들이 말한것이 진짜 사실인가? 가능한 것인가?

  10. 부동산의 입지 

    -수도권(강남 1시간 이내, 왜 강남이냐? 대한민국의 직장인 종사자수가 제일 많다.)

    -지방(학군, 환경) 

    -부동산의 입지를 볼때, 도시기본계획을 살펴봐도 도움이 됨 (서울 같은 경우 GTX, 도시 확장되는것 도움) 

    -부동산의 입지 (직장: 대한민국 1000대 기업 위치가 서울 및 경기도에 668개가 있음) 

    -서울은 용적률도 같이 봐야함(빈땅이 거의 없어서 구축은 재건축, 재개발 될 확률이 높다)

    -입지 중 학군 : 서울대를 얼마나 많이 보냈느냐가 중요. 

    -학군이 좋은 아파트가 왜 중요하냐? 임대수요가 잘나감, 학군 좋은 지역이 상승장에서 정말 많이 상승함  

    -하락장에서 호재를 잘보고 구매해야함(하락장에서는 반응하지 않지만, 상승장에서는 반응한다) 

    -호재 던지기 2년전에 매도하는 것이 좋다. 

    -서울은 GTX-a(2028) 노선 중심으로 보는것이 좋다. 

11. 저평가 하는 방법? 비교평가 해야함(2-3개), 가치분석(직장, 교통, 학군, 환경) 


댓글


MZ
25. 09. 18. 00:58

와우 열심히 정리하셨군요~~ 최고최고~~ 나에게 적용해야 할 점 3가지도 함께 적어보시면 더더 좋겠어용!! 👍👍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