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사실 지금껏 살아오면서 ‘돈’에 대해 큰 관심도 없었고, ‘부자’에 대해서도 크게 관심이 없었다.
다른 세계의 사람들이라 생각했던 것 같다. 나와는 상관 없는 길이라 생각하고, 열심히 직장 생활을 했었다.
열반 기초 강의를 들으면서,
50대이후는 현금흐름이 중요, 40대까지는 자산을 빨리 불려나가야 함
-부자들의 로드맵을 따라하자.
1단계 : 목표설정, 종자돈모으기, 시간관리, 공부, 부자들 마인드
2단계 : 캐시카우(월급+투자), 매년 1채씩
3단계 : 시스템 확장(10채 이상)
4단계 : 부채 상환, 자산 리모델링
5단계 : 경제적 자유(똘똘한 5채)
고수의 투자원칙
-허리 이하에서 사면 원금 보존됨, 하락장에 매도해서 고점 찍고 빠져도 지난장의 허리이다.
왜냐? 부동산은 물가에 연동되는 부분이 있어서, 주식처럼 80-90% 빠지지 않는다.
-불황일때 매수하고, 호황일 때 매도한다.
-하락장이 온다고 하더라도 저평가, 우량 자산을 지켜낸다. (하락장에서 사람들이 버티질 못한다)
-투자는 농사꾼의 마음으로 농작물을 키우고 재배하듯이 해야한다. (베짱필요)
-자산이 5년, 10년 장기간 응원할 수 있는 곳에 투자한다. (내가 5년 가지고 갈 수 있는가?)
부자가 되려면?
-투자는 장기게임, 지금부터 시작하라. (조급해하지마라, 늦었다고 생각하지마라)
-다른사람과 비교(결과의 비교보다 과정, 노력의 비교가 맞다. 각자 페이스대로)
-투자처보다 투자자의 실력이 성과와 직결된다.
-정보만 쌓고 움직이지 않으면 안된다, 이제는 행동 실천하면서 너바나, 너나위 얘기를 검증해봐야한다. 그들이 말한것이 진짜 사실인가? 가능한 것인가?
부동산의 입지
-수도권(강남 1시간 이내, 왜 강남이냐? 대한민국의 직장인 종사자수가 제일 많다.)
-지방(학군, 환경)
-부동산의 입지를 볼때, 도시기본계획을 살펴봐도 도움이 됨 (서울 같은 경우 GTX, 도시 확장되는것 도움)
-부동산의 입지 (직장: 대한민국 1000대 기업 위치가 서울 및 경기도에 668개가 있음)
-서울은 용적률도 같이 봐야함(빈땅이 거의 없어서 구축은 재건축, 재개발 될 확률이 높다)
-입지 중 학군 : 서울대를 얼마나 많이 보냈느냐가 중요.
-학군이 좋은 아파트가 왜 중요하냐? 임대수요가 잘나감, 학군 좋은 지역이 상승장에서 정말 많이 상승함
-하락장에서 호재를 잘보고 구매해야함(하락장에서는 반응하지 않지만, 상승장에서는 반응한다)
-호재 던지기 2년전에 매도하는 것이 좋다.
-서울은 GTX-a(2028) 노선 중심으로 보는것이 좋다.
11. 저평가 하는 방법? 비교평가 해야함(2-3개), 가치분석(직장, 교통, 학군, 환경)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