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1월 돈버는 독서모임 - 워런버핏 삶의원칙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책 제목: 몰입
2. 저자 및 출판사: 황농문 / 알에이치코리아
3. 읽은 날짜: 2025. 09. 11
4. 총점 (10점 만점): 9점 / 10점
5. 9점을 준 이유 : 원본을 먼저 읽고 확장판을 발췌해서 읽었는데 짧은시간 몰입을 경험해본 사람으로서 공감이 되면서도 장기적으로 가능한가?하는 의문이 들었다. 자발적이고 순간적으로 몰입상태에 들어가 본 경험이 있지만 스스로를 압박하는 형식의 수동적 몰입만 경험해 봐서 그런 생각이 드는 것 같다. 반례가 없어서 아쉽기도..
[Chapter1. Work Hard에서 Think Hard로 ]
#관성 #의지 #암시
현실에 적응하는데만 인생을 쓰면 필연적으로 후회하게 된다. 저자도 '정말 해결하고 싶은 어려운 문제'를 풀기보다는 '논문 편수 늘리기'에만 집중하던 시기가 있었다. 중요한 점은 저자가 거기에 머무르지 않고 관성을 깨며 '이렇게 살아서는 안된다'는 자신의 의지를 관철한 것이다.(어떻게 했을까) 그 과정에서 스스로 원한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고 타인의 연구주제를 받게 되었지만 꺾이지 않고 암시를 통해 몰입을 실천하였다.
[Chapter3. 능동적인 몰입과 수동적인 몰입]
#수동적 #능동적 #문제해결노력
몰입의 방식에도 차이가 있다. 즐거운 일을 할 때나 연애 초기 시간이 가는줄 모르는 것과 같은 능동적인 몰입과, 부정적인 상황을 회피하기 위해 스트레스를 받으며 몰입에 들어가는 것이다. 충분한 시간을 두고 생각하는 연습을 할 때, 수동적 몰입을 '자율적으로 실행하는' 능동적 몰입으로 전환 할 수 있다.
• 성격이 급한 편은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몰입에서 얘기하는 Slow Thinking을 실행해본 적은 단 한번도 없다.
• 문제 해결을 하거나 취미생활을 할 때 몰입 경험을 하거나, 자발적으로 돌입한 적도 있는데 내 의지만 자발적이지 스스로 스트레스를 줘서 순간적으로 집중도를 끌어올린 형태라 책에서 추천하는 바는 아니구나 싶었다.
• 미라이 공업의 아이디어 훈련법. 어떤 아이디어든 평가하지 않고 일단 제출하면 보상받는 방법, 스스로 어떤 주제의 아이디어를 내고 스스로를 보상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을 해야겠다. 아이디어 저금통을 만들면 좋을듯!
(P. 231) 분명한 것은 걱정이나 스트레스 자체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고 이들이 유도한 몰입 상태가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문제 해결에 필요한 것은 몰입이지 걱정, 스트레스 또는 위기감이 아니다.
(P. 407) 인류가 알고 있는 영역과 미지의 영역 사이의 경계를 지식의 최전선이라고 할 수 있다. 나는 이 지식의 최전선에서 미지의 영역으로 한발 더 나아갈 수 있는 능력이 창의성이라고 생각한다.
> 책에서는 초등학생들에게 덧셈을 가르치는 과정을 예시로 들었지만, 지식의 최전선을 확장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스스로 'Comfort zone' 에서 나갈수 있는 용기? 노력? 근성? 같은 것들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월부에서는 레버리지도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이 활용도 궁극적으로 차이가 있는지?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
댓글
신중한시간2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