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0월 돈버는 독서모임 - 돈의 얼굴
독서멘토, 독서리더

부의 전략수업
돈의본질
돈이가진 근본적 속성 중 하나는 결코 안정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돈과 삶의 불안정성
모든것은 불안정하다. 혼란에 휩쓸리지 않으려면 우리는 시스템의 작동 방식을 이해해야한다.
좋은 사고, 프레임 워크의 필요성
돈과 관련된 대부분의 문제는 프레임 워크로 단순화할수있다는 점
예를 들어 인플레이션을 이해하기 위해 인플레이션을 구성하는 요소를 먼저 알아야한다.
인플레이션을 최소화 할수도 있고, 타격을 받을수도 있는것은 나의 선택이다.
인플레이션을 사례를 공부하는법, 보호하는 방법,
통제할수 있는 마인드셋과, 통제할수 없는 끊임없는 혼란과 변화를 분리 하는 것이다.
부채는 동시에 두가지를 만들어낸다. 하나는 “현재의 소비” 그리고 다른 하나는 “미래의 현금 창출 의무”다.
대부분의 경제 시스템에서는 부채 규모가 소득이나 현금보다 훨씬 크다.
모든 경제 주체가 집단적으로 부채를 상환하려 하면 소비는 급감하고,
현금 흐름이 마르며 경제활동이 둔화된다.
경제가 과열될때( 대게 부채가 급격히 증가하는 시점), 소비가 늘어나고 인플레이션이 상승한다.
사실 책을 읽으면서 뚝뚝 흐름이 끊겨서,집중이 100% 되지않고, 번역에 크게 와닿지 않은 부분들이
있어 어려웟던적도 있었지만, 최선을 다해 읽었습니다.
부동산 공부와 자본에 대한 관심을 가지면서, 나는 군중의 심리에 있었던것같습니다.
6.27 대책 때, 군중에 휩쓸리며 최고 신고가를 찍는 사람들을 보면서, 내가 흔들리는 시장속에서
스스로의 투자원칙을 세우는것이 얼마나 중요한것인지를 깨닫게 되었는데,
소로스의 “반사성” 에 대하여, 인간의 심리는 정반대로 작동한다는것에 크게 동의하였다. 라는 구절을 읽으면서,
이전의 학습을 통해서 현재 9.7일 대책에 나오더라도 침착하게 내가 할수있는것에 집중하게 되는것같아,
더욱 더 이성적인 판단을 가져야겠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주식시장에서 올라가는 주식에 더 투자를 하는것,
논리적으로 본다면 주가가 오를수록 투자의 매력도가 줄어들어야하지만, 사람들은 정반대로 작동한다. 따라서 투자자로서의 돈을 벌기 위해서는 군중심리에 휩쓸리지 않고, 시장의 감정 변화를 읽어야 한다.
변동성은 피할수 없기에, 변화가 닥쳤을때 침착함을 유지하는것이 중요하다.
부자들의 공통점은 사람들이 반드시 필요로 하는 자산을 소유하고 있다는 것이였는데,
돈을 받는 사람이 되는 방법을 찾는것이 중요라고 하였기에,
저또한 안정적인 삶을 위해 필요한 최소 비용이 얼마인지 계산하고,
그리고 그 비용이 얼마인지, 정확한 숫자로 파악하는것을 다시 해보아야겠다고 절실히 느꼇습니다.
나에대해서 다시한번 깊게 고민해보아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직업과 급여는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변화하는가?
틀을 가지면 사고의 깊이가 달라진다.
부의 현금 창출을 만들수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깊게 고민하고, 장기적으로 현장의 흐름에 속하고
“경제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라는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는 사람이 되어야하겠습니다.
댓글
소울풀리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