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열반스쿨 기초반 3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기초반 69기 100조 어스틴좌]

  • 23.12.20

근래 고민하던 부분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는 강의였고, 역시 배움은 깨달음을 얻는데 가장 빠른 지름길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는 강의 였다.


1.현장사진을 찍으며 지역이미지를 저장(양파링님)

근래 임장활동중 많은 사진을 찍으면서 들은 고민은 "어떻게 이것들을 내 거로 할수 있을까"였다. 답은 사진의 이미지화, 즉 머리에 집어 넣는 것이었다. 임장을 하고 사진을 찍어보니 "이후에는 내가 무엇을 해야 하지" 라고 무엇인가 막힌듯한 느낌을 받았었다. 양파링님의 강의에 그에 대한 답이 있었다.


앞으로 내가 할일 : 현장사진-지도-로드뷰-내용정리"를 비교 하면서,임장지역에 대한 모든 것을 내머속에 이미지화 시키겠다.


2.앞마당(주우이님)

현재 대구 지역을 내 생애 최초의 앞마당을 만들기 위해 임장 중이다.

이후 계획(주말) : →대전→세종→청주→천안→아산→충주→춘천

이후 계획(수도권) : 경기 동탄1→기흥구→영통구→수지구→죽전구→광교


3. 임장시간배분(주우이님)

As of : 의욕만 앞서, 매일 임장만 다닐계획을 세웠었음 → 현실 : 임장 후, 기록&복기 없이는 공부의 효과가 높지 않음

주우이님의 “임장 시간 배분 (수,토 임장 /나머지 임장 복기)”에 대한 가르침을 듣고, 새삼 시간 배분의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었다.

To be : 월화 수도권 임장 → 수 수도권 임장 정리/강의 → 목 강의/지방임장계획 → 금 강의/KB시계열UPDATE/지방임장계획 → 토일 지방임장 및 정리


4.성장하는 3가지 방법_관계①배우자와의 관계

As of :다소 반대하는 아내를 보고 “나 혼자만 잘되자고 하는게 아닌데”라고 잠깐,정말 잠깐 생각했다. → 반대를 하는 것도 지지 하는 것 이상으로 중요하다.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제어를 하는 것도 필요하다.

Thanks :임장 갈때마다 걱정해주고, 챙겨주는 아내에게 감사하다.

To do : 설득안하기/ 결과로 보여주기

~Ing : 아내 대신 큰아이 공부 봐주기(현재 실천하고 있다. 영어는 가능한데.... 수학은..... 와 너무 어려워) / 근래 아내의 가장 큰 관심사인 아이들 공부 관련 상의 같이 하기(당연한 건가??)


5.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기 /다른 사람에게 피해주지 않기

Now : 투자공부 시간 확보를 위해 근무시간에 이전보다 몇배 집중하여 업무 처리 / 내 일을 소홀히 하여 다른 사람에게 넘겨 피해 입히는 행위는 내가 가장 혐오하는 행위 (있을 수 없음)

 / 회의 주관,client대응, 성과품 및 검토,엄부 지시(요거는 약간 약함), 업무 계획 완벽하지 않지만 good임.

To do : Junior 키우기 /그런데 인력이 너무 부족하다. … 고민이다.


6. 어디서나 인정받을수 있는 사람~도와주기/착한 선후배 동기 되기

As of : 착한 선후배 동기 되기가 되고 싶은 생각을 한적이 한번도 없다. 앞으로도 마찬가지

è 너무 일에 중요성을 두고 사는 직장 생활을 한듯 하다.

To be :의식적으로 직장 동료를 대하지 않고,진심으로 level up을 하게 도와 주겠다는 맘으로 후배들을 가르치겠다.


7. 강의중 생긴 질문들 (아직 공부가 덜되어 질문이 다듬어 지지 않음)


1) 질문1 (입지평가_직장)

입지평가(직장) 시,최소로 확인해야 하는 단위가 “구단위”까지 하면 적정한지요?


2) 질문2 (입지평가_직장)

자영업자의 수가 평가지역의 상당수를 차지할 경우, 평가시 어떤식으로 반영 하면 될지요?


3) 질문3 (입지평가_교통)

평가시 “Door to Door”의 시간은 어떻게 반영을 하여야 할지요?

예)  A아파트 : 지하철역 바로 옆의 아파트라 강남역까지 30분 소요, B아파트는 지하철역까지 마을 버스로

약 +10분이 더 소요 됩니다. 즉, 총 door to door 약 40분 소요.

A, B를 똑같이 S로 보아야 할지? 아니면 A는 S, B는 A로 평가 해야 할지?


4) 질문4 (입지평가_교통)

대구, 부산의 경우 지하철이 타 지방도시에 비해 발달 되어 있습니다. 이 경우 교통에 대한 입지평가를 어떤 기준

으로 가져 가야 하는 지요?


5) 질문5 (입지평가_학군)

2017년 이후 개교 된 중학교는 어떤기준으로 입지평가를 해야 하는지요?

*17년이후 개교한 중학교는 학업성취도 자료 가 없읍니다. 이때는 어떤기준으로 등급을 매겨야 할까요?

“특목고 진학 몇 명 이상 진학시 S등급, 과학고 몇 명 이상 진학시 A등급” 처럼 구체적인 기준이 있는지요?

6) 질문6 (입지평가_학군)

아파트 인접 유치원, 영어유치원도 학군 평가 요소에 포함이 되는지요? 아니면 환경 평가에 포함되는지요?

만약 그렇다면 어느 기준으로 등급을 평가 해야 하는지요?

마찬가지로 초등학교는 어떻게 기준을 가져 가야 할지요?


7) 질문7 (입지평가_학군)

중계동 학원가 근처의 아파트 경우 입지평가에 상당히 높은 점수를 받는것으로 알고 있읍니다.

하지만 중계동 학원 근처의 아파트 거주 학생들의 경우, 서울대 진학률은 높지 않은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입지평가 점수가 높은 이유가 무엇인지요?


8) 질문8 (입지평가)

역세권의 동수가 많지 않은 (3개 이하) 주상복합 아파트 (고급형) vs 12개동정도의 아파트중 평가등급은 어느것

을 더 높게 주어야 할까요?

그리고, 상기와 같은 조건 하에서, 지방 vs 서울,수도권 에서 평가 등급이 달라지는지요


9)질문 9 (수익률 보고서)

수익률 분석시, 최저점에 대한 기준이 “(1)지금으로부터 10년 이내 최저점 or (2) 현시점 기준 최근의 저점” 중 무

엇인가요


10) 질문 10 (수익률 보고서)

매도 전에는 사실 수익이 난 게 아니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를 기준으로 수익률 평가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요?


-이상 끝-


댓글


어스틴좌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