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Q&A

[월 300만원 포트폴리오 맞춤 강의를 듣고 질문이 생겼습니다.] 1주차 강의

25.09.14

 

안녕하세요.

1주차 강의를 완강하고 복습하는 과정에서 궁금한게 생겨서 여쭤봅니다.

강의에서 광화문금융러 선생님이 

김허세 vs 김성실님의 성과 시뮬레이션을 보여주셨는데요

현재 연금저축 계좌로 해외주식형 국내 ETF에 투자했을 때 15.4% 배당소득세를 이제는 내야한다고 알고 있는데 그러면 강의와 표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거 아닌가요?

 

그치만 연금저축 계좌에서 배당소득세를 내더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나, 건강보험료가 오를 수 있으니

연금저축계좌나 ISA계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알고 있으면 될까요?

또한 강의에서 연금 저축 계좌 사용시 기타소득세 16.5%는 배당소득세 + 건보료 23.4%보다 유리하다라고 나오는데 그럼 이것도

그냥 배당소득세는 똑같이 내야한다고 한다면 건강보험 측면에서 유리한거네요?

 

또 연금저축 계좌로 15.4% 배당소득세를 내고 추후에도 연금을 수령할 때 세금을 또 내야한다고 알고 있는데

그래도 이득인 것인가요? 

또한 연금저축 계좌로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것이 유리하다는 것은 알겠는데

연간 수령액 1500만원 한도를 넘어가면 종합과세가 적용(16.5% 세금 내던가 종합과세 적용)이라고 하는데 그러면 그만큼 안 받을 수 있게 설계를 해야하는건가요?…

매매차익에 대한 15.4%과세가 발생하지 않을 때는 당연히 이익이라고 생각했는데 

공부할수록  참 어렵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연금저축계좌 인출순서에서

연금저축계좌에서 인출하기 시작하면 추가납입 불가능이라는 말이

(연금 저축에서 수령을 하면서)?는 추가 납입이 불가능하니 2개 이상 연금저축 계좌를 개설하라는 것이지요?

공부 안하다가 하려니까 너무 어렵고 헷갈리네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나에게투자란
25. 09. 18. 22:33

안녕하세요 행복다내꼬님

기존 비슷한 질문을 하신 동료분의 질문에 금융러님이 답변하신 것이 있어 링크 공유드립니다.
많은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https://weolbu.com/s/G8dIY9iW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