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0월 돈버는 독서모임 - 돈의 얼굴
독서멘토, 독서리더

나는 책을 꾸준히 읽는 습관이 없는 사람이다. 늘 바쁘다는 핑계로, 혹은 피곤하다는 이유로 책장을 열기가 쉽지 않았다. 그런데 『몰입』을 읽으면서, “한 가지에 깊이 빠져드는 경험이 삶을 얼마나 풍요롭게 하는가”를 생각하게 되었다.
책을 읽는 습관을 만드는 일은 나에게 작은 전쟁이었다. 몇 장을 읽다가도 휴대폰 알림이 울리면 손이 가고, 잡념이 스멀스멀 올라왔다. 그러나 책에서 말하듯이 몰입은 타고난 능력이 아니라 훈련의 결과였다. 오늘은 10분, 내일은 20분. 이렇게 시간을 조금씩 늘려가며 책 속으로 들어가는 연습을 하다 보니, 어느 순간 이야기에 빨려들어가고,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책장을 넘기는 나를 발견했다.
그 순간 느껴지는 성취감은 말로 다 할 수 없었다. 단순히 ‘책을 다 읽었다’는 기록 때문이 아니라, 나도 몰입의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예전 같았으면 포기했을 일을 이제는 끝까지 붙잡아두고, 몰입의 깊은 물속에서 헤엄치는 기분을 맛보았다.
황농문 교수는 몰입이 곧 성과와 창의성으로 이어진다고 말한다. 하지만 나는 그보다 먼저, 몰입이 나에게 “나도 해낼 수 있다”는 자기 확신을 선물해준다는 사실이 더 크게 다가왔다. 작은 성취가 쌓이고, 그것이 또 다른 도전으로 이어진다.
책을 읽는 습관이 없는 내가 습관을 만들어가는 과정 자체가 몰입 훈련이었다. 그리고 그 몰입의 순간들이 내 삶의 자존감을 조금씩 채워주고 있다.
책 제목: 몰입
저자 및 출판사: 황농문 지음, 랜덤하우스코리아
읽은 날짜: 2025.9.11
총점 (10점 만점): 9.5점 / 10점
위 점수를 준 이유:
몰입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자신의 삶과 연구 경험으로 풀어내어 이해하기 쉬웠다. ‘지식노동’뿐 아니라 삶 전반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 방법까지 제시해 실용성이 컸다.
[몰입의 힘]
#집중 #깊은생각 #성과
짧은 시간에 많은 문제를 해결하려 애쓰는 것보다, 한 가지 주제에 오랜 시간 몰입했을 때 놀라운 성과가 나온다. 몰입은 재능이나 IQ와 무관하게, 누구나 훈련할 수 있는 능력이다.
[몰입을 위한 조건]
#외부자극차단 #시간투자 #몰입습관
몰입은 갑자기 찾아오는 게 아니라, 꾸준한 습관의 결과다. 스마트폰, TV, 인터넷 같은 자극을 최소화하고, 일정 시간을 몰입 상태로 보내는 연습을 반복해야 한다.
[몰입과 창의성]
#깊은사고 #문제해결 #창조적아이디어
연구 문제, 일상의 고민, 미래 계획도 몰입 속에서 새로운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몰입은 단순히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넘어 창조적 사고로 연결된다.
나는 ‘집중’과 ‘몰입’을 같은 말로 여겼다. 하지만 집중은 순간적인 주의이고, 몰입은 의식 전체가 빨려 들어가는 깊은 사고 상태임을 알게 되었다. 내가 업무 중 쉽게 산만해지는 이유는 진짜 몰입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일을 잘하려면 멀티태스킹을 해야 한다고 믿었다. 그러나 오히려 단일 과제에 오랜 시간을 두고 몰입하는 게 더 탁월한 결과를 낸다는 점에 크게 공감했다.
단순한 노력보다 몰입하는 시간의 질이 훨씬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시간 관리가 아니라 ‘몰입 관리’가 진짜 성과를 좌우한다.
매일 오전 2시간, 핸드폰을 끄고 오직 한 가지 주제(업무·공부·독서)에만 몰입하기.
몰입을 방해하는 습관(잡생각, 웹서핑, 카톡 확인)을 줄이기 위해 ‘몰입노트’를 작성해 자기 점검하기.
어려운 문제를 피하지 말고, ‘몰입의 힘’을 믿고 일정 시간 이상 붙잡아 두기.
주말마다 4시간 이상 몰입 세션을 잡아 장기적인 목표(투자 공부, 글쓰기, 프로젝트)에만 사용하기.
(P. 45) “머리가 좋은 사람과 몰입하는 사람 중 누가 더 뛰어난가? 언제나 몰입하는 사람이 더 뛰어나다.”
P. 101 “몰입은 노력의 양이 아니라 질에서 차이가 난다. 같은 10시간을 투자해도 몰입한 10시간과 산만한 10시간은 전혀 다른 결과를 낸다.
”우리는 공부나 업무 시간을 확보하는 데만 신경 쓰고 있진 않은가요? 진짜 ‘몰입의 10시간’을 만들기 위해 어떤 습관을 바꾸면 좋을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