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0월 돈버는 독서모임 - 돈의 얼굴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책 제목: 몰입
2. 저자 및 출판사: 황농문 / 알에이치코리아
3. 읽은 날짜: 2025. 9. 15
4. 총점 (10점 만점): 10점 / 9점
열심히 일하는 방식에서 열심히 생각하는 방식으로 전환하면 더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다 . 나의 삶의 행로의 확률은 의식의 무대 위에 어떠한 내용이 올려져 있느냐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의식의 무대 위에 내가 원하는, 혹은 필요로 하는 내용을 올리려는 의도적인 몰입이 필요하다.
몰입 상태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유튜브 등 외부 정보가 자신의 뇌에 입력되는 것을 가능하면 차단해야 한다. 몰입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규칙적인 운동을 해야 한다. 신경전달물질을 만들기 위해서는 단백질 뿐 아니라 비타민 B와 비타민 C등이 필요하다. 아무런 진전이 없는 상태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주어진 문제에 대하여 1초도 쉬지않고 생각하기를 50시간 지속하면 시간이 지나면서 몰입도가 올라가는 것을 경험한다. 몰입을 시도할 때에 규칙적인 운동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주어진 문제를 되도록이면 천천히 생각하는 것이다.
장기간 몰입을 해도 우울감 없이 지속적인 쾌감을 경험할 수 있다. 내가 어떤 활동을 하느냐, 그리고 무엇을 생각하느냐에 따라 주어진 일에 대한 시냅스의 형성이 영향을 받고 그 결과 주어진 일에 대한 나의 감정이 변화한다
문제 풀리지 않더라도 가능하면 해답을 보지않고 해결하는 습관을 길러야 하며, 아무리 문제해결력이 뛰어나다고 하더라도 그에 맞는 적절한 도전이 있어야 한다. 몰입적 사고는 아무 진전이 없는 상태에서 주어진 문제에 대해서 1초도 쉬지 않고 연속해서 생각하는 문제해결 방식이다.
몰입 8계명 은 1. 명확한 목표를 세운다 2. 사전 지식을 공부한다. 3. 몰입 시간을 확보한다. 4. 몰입은 이완된 상태에서 하는 것이 좋다. 5. 잠은 꼭 자야한다. 6. 선잠을 활용한다. 7. 규칙적인 운동은 필수다. 8. 답이 보이지 않아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재독하면서 와닿은 글귀는 저자가 몰입을 널리 알리게된 계기가 된 고민 지점이다. 과연 어떻게 살아야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 후회하지 않을까? 지난 열중은 엄마와 마지막을 준비하는 과정이었고, 이번 열중은 엄마를 보내드린 후 하는 시간 속에서 저자가 말한 인생의 마직막 순간 후회하지 않는 삶이라는 주제가 절실하게 와 닿았다. 저자는 은퇴할 때 자신의 연구 결과에 만족하지 못한다면 그 이유는 그때까지 연구에 임한 자세 때문일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다는 부분에서 경각심이 일었다. ‘몰입’ 이라는 과정이 단순히 문제에 집중하고, 성과를 내기 위한 기술을 넘어서, 내게 주어진 삶에 얼마나 충실하게 살아가느냐 에 대한 정도를 말하고 있지 않나 싶다. 나의 목표 곧 사명을 가슴에 품고, 단 1초도 그 사명을 내려놓지않고, 인간만이 가진 특권 ‘의식적인 생각’ 의 과정을 살아가다보면, 그 언제가 나에게도 다가올 죽음 앞에서 후회하지 않은 삶을 살았노라 이야기 할 수 있을 것 같다. 우선은, 결과가 아닌 내가 지금 걷고 있는 투자 과정에 임한 나의 자세에 만족할 수 있는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싶다.
책은 읽은 후 ‘ 생각’ 의 중요성이 크게 와닿았다. 몰입 = 긴장이라고 생각했던 나로선 몰입 = 이완 이라는 개념이 신선했다. 이완된 상태에서 계속 생각함으로써 관련 시냅스를 활성화 시킴으로 문제해결력을 극대화 하는 방법!! 아파트의 가치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몰입의 단계를 적용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전고점이라는 정답지를 보기 전에 충분히 천천히 생각하기!! 생각하다보면 문제를 풀리게 될 것이다. 이론상으로 몰입과정에서 지속적인 쾌감이 이어진다는 부분이 이해는 갔지만, 실전 투자에서도 이를 경험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니면 이것을 경험한 선배 투자자분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실전반, 월부학교, 실전 투자 에서도 “ 오랫동안 한 문제에 몰입하는 게 육체적으로도, 심리적으로도 매우 힘든 일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슬로싱킹을 하면 전혀 힘들지 않다. ” 라는 문구가 적용될 수 있는지 궁금하다. 다음 실전반, 월부학교에서 think hard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과정의 즐거움을 경험하고 싶다.
몰입적 사고를 위해 지금 내게 가장 필요한 것은 유튜브 시간 줄이기, 이완, 운동인 것 같다. 새로 시작한 도수치료와 하루 한 시간 운동의 습관화를 지속해야겠다.
work hard에서 think hard로 생각을 이동하라
29. 우리가 집중된 상태에서 산만한 상태로 가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30. 전체 엔트로피는 계속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지만, 인간을 포함한 생명체가 생명현상을 유지하는 것은 부분적으로 엔트로피를 낮추는 활동이다.
32. 몰입은 의식의 엔트로피가 높은, 확률적으로 구현하기 쉬운 상태, 즉 산만한 상태를 의도적인 노력으로 엔트로피가 낮은 확률적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상태, 즉 고도로 집중된 상태로 만드는 정신적 활동이고 할 수 있다.
33. 인생에서 가치 있는 것, 당신이 소망하고 이루고 싶은 것, 당신이 누리고자 하는 것은 모두 오르막이다. 문제는 사람들 대부분의 꿈은 오르막인데 습관은 내리막이라는 사실이다.
36. 혼신으로 노력했지만 좋았다!라는 경험을 해야 한다.
38. 몰입을 활용하면 과정을 즐길 수 있기에 인생의 오르막길에서 결과에 상관 없이 항상 성공을 경험할 수 있다.
50.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문제를 풀고, 자기만의 답에 이르기 위해서는 그 하나의 문제에 고도로 집중해야 한다.
56. 언젠가는 풀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포기하지 않은 채 문제에 대해 깊이 생각하는 시간을 이어갔다.
59. 선천적인 재능보다 고도의 집중을 통한 몰입적 사고가 문제해결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65. 나는 몇 달이고, 몇 년이고 생각하고 또 생각한다. 그러다 보면 99번은 틀리고, 100번째가 되어서야 비로소 맞는 답을 얻어낸다.
71. 각자의 상황에서 최적의 페이스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71. 가장 중요한 것은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피로가 누적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77. '이곳에서의 최선'을 고민하기 시작했다.
81. 과연 어떻게 살아야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 후회하지 않을까?
82. 만약 내가 은퇴할 때 나의 연구 결과에 만족하지 못한다면 그 이유는 그때까지 연구에 임한 자세 때문일 것임을 깨닫게 되었다.
83. 작품을 만들 듯 연구를 하고 논문을 쓰리라 결심했다.
83. 현실적인 어려움과 능력의 한계에 부딪히더라도 정말 중요한 문제, 그리고 꼭 해결해야하는 주제를 선택해 최선을 다해 연구하면 후회가 없을 것이다.
85. 자신이 풀 수 없을 것 같은 문제라도 포기하지 않고 그 문제에 대해서 계속 생각하는 것이 자신의 두뇌를 최대로 활용하는 것이고, 이런 방식의 연구야말로 자신의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는 것이라는 결론에 다다랐다.
85. 열심히 일하면 남들보다 2배 이상 잘하기도 힘들지만 열심히 생각하면 남보다 10배, 100배, 아니 1000 배까지도 잘할 수 있는 것이다.
94. 나의 삶의 행로의 확률은 의식의 무대 위에 어떠한 내용이 올려져 있느냐에 영향을 받는다.
95. 의도적인 몰입 이론은 바로 의식의 무대 위에 내가 원하는, 혹은 필요로 하는 내용을 올리려는 의도적인 노력을 하자는 것이다.
101. 자신이 현재 몰두하는 일이 신성하게 여겨지고, 그 일에서 소명을 발견하게 되는 것은 몰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커다란 행복 중 하나다.
본격적인 몰입을 시도하기 위하여
118. 몰입을 시도하는 초기에는 왜라는 형식의 물음으로 문제를 선정한다.
119. 본격적으로 몰입을 시도하려고 하는 사람은 일주일 이상 한 가지 문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주변 상황을 정리해두어야 한다.
119. 몰입 상태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tv 시청, 인터넷 서핑, sns, 유튜브, 숏폼 등 외부 정보가 자신의 뇌에 입력되는 것을 가능하면 차단해야 한다.
121. 아무런 문제 없이 몰입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규칙적인 운동을 해야 한다.
122. 도파민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을 만들기 위해서는 단백질 뿐 아니라 비타민 B와 비타민 C등이 필요하므로 이러한 영양제 복용도 추천한다.
125. 이 문제가 세상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도 몰입하는데 도움이 된다.
134. 몰입은 긴장된 상태가 아니고 쉬는 듯이 느긋하게 천천히 생각하는 명상적 사고를 하라는 것이다.
144. 아무런 진전이 없는 상태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주어진 문제에 대하여 1초도 쉬지않고 생각하기를 지속하면 시간이 지나면서 몰입도가 올라가는 것을 경험한다.
146. 미지의 문제를 50시간 연속으로 생각하면 몰입도 100%가 되어 두뇌 가동율이 최대가 된다.
171. 강한 몰입을 시도하는 사람에게는 운동 뿐만 아니라 두뇌에 좋은 영양제인 비타민 D와 오메가 3를 권하기도 한다.
173. 문제 해결에 필요한 것은 몰입이지 걱정, 스트레스 또는 위기감이 아니다.
173. 내가 추천하는 것은 슬로실팅, 즉 천천히 생각하기다. 천천히 생각하기는 명상에 가까운 행위다.
174. 몰입을 시도할 때에 규칙적인 운동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주어진 문제를 되도록이면 천천히 생각하는 것이다.
179. 선잠은 창의성을 위한 최적의 순간이다.
183. 물론 땀을 흘리는 규칙적인 운동을 병행해야 하고 천천히 명상하듯이 생각한다는 전제하에서 가능한 이야기다.
189. 잠이 든 상태에서는 아세틸콜린의 분비가 증가하고 기억의 뇌에 대한 전두엽의 억제가 풀리기 때문에 장기 기억의 인출 능력에 있어서 거의 천재의 뇌가 된다고 할 수 있다.
190. 몰입적 사고를 하면 수면 중에도 문제 해결에 대한 생각을 계속하게 되고 이것이 고도로 활성화된 장기기억에 작용하여 놀라운 문제 해결 능력과 수많은 아이디어를 얻게 된다.
199. 창의성 발현을 위해서는 밤늦게까지 깨어 있기보다 일찍 잠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한다.
203. 아무리 어려운 문제라도 시간의 문제이지 결국은 풀 수 있다.
205. 죽음과 삶에 대한 깊은 통찰과 더불어 진정으로 의미있고 행복한 삶은 자신에게 주어진 일에 몰입함으로써 얻는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것이다.
몰입은 뇌와 인생을 춤추게 한다
226. 몰입은 산만한 상태에서 높은 집중도로 가는 행위다.
227. 몰입에 들어가려면 반드시 목적지향을 이용해야 한다.
227.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면 목표지향 메커니즘에 의하여 시냅스 활성화가 증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227. 어떤 일이건 목적이나 목표를 만들고 강화시키면 그 일의 의미가 생겨난다.
228. 몰입은 특별하게 설정한 목표를 추구하는 활동이 극대화된 신체와 뇌의 비상사태다.
232. 항상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일에 대하여 습관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자신의 일에 대한 성취 동기가 높고 좋은 결과를 얻는다. 몰입을 시도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바로 이 목표 의식과 성취 동기를 분명히 하는 과정이 전제되어야 한다.
245.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하루 평균 68분을 초과하는 사람들은 우울감을 더 심하게 느꼈다.
245. 전두엽이 중요한 이유는 인격과 행동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246. 성공한 사람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2가지 특성, 만족지연 능력과 그릿은 전두엽의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48. 뇌와 집중력을 회복시키는 방법으로는 앞에서 언급한 도파민 디톡스, 독서, 글쓰기, 공부, 운동, 찬물샤워와 같은 고통을 선택하는 방식이 있다.
255. A10신경에서는 자가수용체가 없어 마이너스 피드백이 이루어지지 않아 도파민의 유리가 증가해도 억제가 일어나지 않아 도파민 과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몰입을 해도 우울감 없이 지속적인 쾌감을 경험할 수 있다.
261. 입력은 주위 환경에 영향을 받으므로 나를 좋은 환경에 둘 필요가 있다.
261. 우리가 가장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입력은 나의 생각이다.
262. 내가 어떤 활동을 하느냐, 그리고 무엇을 생각하느냐에 따라 주어진 일에 대한 시냅스의 형성이 영향을 받고 그 결과 주어진 일에 대한 나의 감정이 변화한다.
266. 쫓는 사자의 몰입과 쫓기는 사슴의 몰입은 분명히 다르다.
267. 충분한 시간을 두고 자율적으로 문제에 대한 몰입도를 올리는 방법이 바로 ‘천천히 생각하기’다. 천천히 생각하기는 자율적으로 몰입도를 올리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다.
269. 천재들은 위기 상황 뿐 아니라 평상시에도 무엇인가를 부단히 추구하고 최선을 다한다.
271. 이런 일상이 반복된다면 인생의 마지막 순간, 나는 자신의 삶에 대하여 만족할 수 있겠는가?
몰입으로 학교와 직장에서 핵심 인재가 되다
278. 나는 문제 풀리지 않더라도 가능하면 해답을 보지않고 해결하는 습관을 기르게 되었다.
282. 진짜 천재는 자기 스스로 생각해서 그 방법을 찾아내 사람이다.
283. 생각하다 보면 메타인지가 발달하면서 무엇을 아록 있는지 그리고 무엇을 모르고 있는지가 명확해진다.
286. 아무리 문제해결력이 뛰어나다고 하더라도 그에 맞는 적절한 도전이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 안에 숨어있는 능력을 깨울 수 없다.
310. 몰입적 사고는 아무 진전이 없는 상태에서 주어진 문제에 대해서 1초도 쉬지 않고 연속해서 생각하는 문제해결 방식이다.
312. 천재와 보통 사람 사이의 지적 능력 차이는 질보다는 양의 문제다.
329. 초기의 막막함과 답답한 시간을 견디고 계속해서 하나의 문제에 대한 생각을 이어가다 보면 어느 순간 해결의 실마리가 보인다.
336. 몰입으로 이어지는 think hard의 패러다입에서는 학습이나 일을 하는 과정 자체에서 즐거움을 얻는다.
336. think hard 의 패러다임에서는 보장되지 않은 미래의 행복을 위해 현실을 희생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행복하게 산다.
약하게 혹은 강하게, 몰입에 이르는 여섯 단계
359 약한몰입1단계 슬로싱킹 터득하기
슬로싱킹에 의한 몰입은 이완된 상태에서 집중하고, 생각하는 과정이다.
362. 답이 맞고 트리고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쉬는 듯이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367. 약한몰입2단계 10분에서 10시간까지 도전하기
373. 월요일 아침에 출근 준비를 할 때도, 출근길에도 업무에 관해 생각하는 것이다. 이는 업무와 관련된 시냅스를 의도적인 몰입을 통해 활성화하는 과정이다.
373. 의도적인 몰입으로 선택적으로 장기기억 혹은 시냅스를 활성화한다는 것은 나의 인식을 선택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374. 내가 해결해야 하는 혹은 몰입도를 올리고자 하는 주제를 포스트잇에 적어서 거실이나 주방 등 눈에 잘 보이는 공간에 붙여둔다.
376. 약한 몰입 3단계 10시간 이상 도전하기
380. 내가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이 목표에 자투리 시간이 날 때 마다 의도적인 몰입을 한다.
382. 강한 몰입 1단계 하루 이상 연속해서 생각하기
383. 충분한 잠을 자고 낮에 졸릴 때는 선잠을 자는 대신, 깨어있는 시간 동안에는 1초도 쉬지 않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 몰두하는 것.
386. 강함 몰입 2단계 일주일 이상 연속해서 생각하기
395. 강한 몰입 3단계 한 달 이상 몰입하기.
395. 오랫동안 한 문제에 몰입하는 게 육체적으로도, 심리적으로도 매우 힘든 일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슬로싱킹을 하면 전혀 힘들지 않다.
416. 몰입 8계명
1. 명확한 목표를 세운다
2. 사전 지식을 공부한다.
3. 몰입 시간을 확보한다.
4. 몰입은 이완된 상태에서 하는 것이 좋다.
5. 잠은 꼭 자야한다.
6. 선잠을 활용한다.
7. 규칙적인 운동은 필수다.
8. 답이 보이지 않아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
댓글
살구조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