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0월 돈버는 독서모임 - 돈의 얼굴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책 제목: 몰입
2. 저자 및 출판사: 황농문, RHK
3. 읽은 날짜: 9/11-13
4. 총점 (10점 만점): 9 / 10점
[Chapter1. Work Hard에서 Think Hard로 ‘생각’을 이용하라]
p.55 나는 여기에서 인생의 중요한 교훈을 꺠달았다. 살아오는 동안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느냐 못하느냐에 삶의 질이 달려있다는 것이다.
p.56 자나 깨나 실험만 한다고 해서 우수한 연구 업적이 나오는 것은 아니다. 연구의 우수성은 그 문제를 얼마나 오랜 시간 집중해서 생각하느냐에 달려있다. 매일 열심히 일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하던 기존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머리를 쓰지 않으면 아무리 열심히 해도 그저 그런 연구 결과밖에 얻지 못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자 나는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되었다.
p.60 몰입에 들어가기 위해 생각을 한 곳에 집중하려면 명확한 목표가 있어야 한다.
[Chapter2. 본격적인 몰입을 시도하기 위해여]
p.111 해마는 어떤 기준으로 중요한 정보와 그렇지 않은 정보를 구별할가? 그 기준은 정보가 입력될 때의 감정 강도와 정보의 반복 횟수이다. 해마는 정보가 입력될 때 아무런 감정이 없거나 약한 정보는 폐기하고 강한 감정을 가진 정보는 장기기억으로 보내서 저장한다. 또 해마는 감정의 강도는 약하더라도 정보가 반복해서 입력되면 장기기억에 저장한다. 그러니 몰입 기간에는 오로지 주어진 문제만을 반복하여 생각해야 한다. 그러면 해마는 그 문제를 푸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받아들여 장기기억에 저장할 것이다.
p.126 몰입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일에 대한 가치관이 바뀌면 자신이 하는 일이 여타 다른 일에 비해 훨씬 더 중요한 의미가 있으므로 자신의 인생을 송두리째 던질 만한 가치가 있다는 확신이 들게 된다.
[Chapter3. 몰입은 뇌도 춤추게 한다]
p.164 우리 몸에 입력된 정보의 절실성은 입력된 자극의 세기가 클수록 전보의 입력이 반복될수록 증가한다. 예를 들어, 스포츠 경기에 임할 떄 반드시 이겨야 한다는 강한 목표를 가지고 있으면 절실성이 증가하여 실수에 대한 부정적인 보상이 크고 성공에 대한 긍정적인 보상이 커진다. 결과적으로 우리 뇌에서는 이 목표가 대단히 중요하다고 해석한다. 그리고 목표를 이루는데 성공하기 위한 자구책으로 신체와 뇌는 비상사태에 돌입한다. 이 상태에서는 보통 경기에 대한 집중도가 극대화되고 최대의 능력이 발휘된다. 이른바 최적 경험을 얻게 되는데, 이 상태가 바로 모든 것을 읻고 오로지 그 경기에만 열중하는 몰입 상태이다. 몰입은 특별하게 설정한 목표를 추구하는 활동이 국대화된 신체와 뇌의 비상사태이다.
p.170 항상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일에 대하여 습관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자신의 일에 대한 성취 동기가 높고 좋은 결과를 얻는다.
[Chapter4. 교육과 몰입]
p.203 연구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풀리지 않는 문제와 씨름하는 시간이 자신을 가장 효과적으로 발전시키는 순간으로 여겨진다. 포기하지 않고 계속 생각하면 고도의 창의적인 두뇌가 활동을 시작한다.
p.207 창의적인 노력은 처음에는 해결책을 모르는 상태에서 출발하여 해결책을 얻으려고 노력하는 활동이다.
나도 꼭 해결해고 싶은 문제가 있다면, 문제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해결할 때까지 도전해보자.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절실한 것이고, 해결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골몰해 뇌가 이 문제가 최우선 과제임을 인지하도록 각인시켜야 한다.
p.126 몰입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일에 대한 가치관이 바뀌면 자신이 하는 일이 여타 다른 일에 비해 훨씬 더 중요한 의미가 있으므로 자신의 인생을 송두리째 던질 만한 가치가 있다는 확신이 들게 된다.
p.47 프로가 되려면 자신이 연구하는 분야가 세상에서 가장 중요하다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내가 하는 일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믿어야 비로소 자신의 인생을 던져서 그 일을 하게 되고 그래야 일이 재미가 있고 경쟁력도 생긴다는 것이 윤교수님의 가르침이었다.
p.126 몰입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일에 대한 가치관이 바뀌면 자신이 하는 일이 여타 다른 일에 비해 훨씬 더 중요한 의미가 있으므로 자신의 인생을 송두리째 던질 만한 가치가 있다는 확신이 들게 된다.
-> 몰입에 이르려면 해결하고 싶은 과제가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믿어야 하고, 몰입적 사고를 하다보면 몰입하는 문제가 다른 일보다 훨씬 중요하고 가치가 있다는 확신이 들게 된다고 한다. 곧 몰입은 문제 해결방식일뿐 아니라, 삶의 과제를 대하는 태도라는 생각이 드는데, 1) 살아오면서 이런 압축적 몰입의 경험이 있는지, 2)'인생을 던질만한 가치 있는 일'로 삼은 것이 있는지 이야기해보고 싶습니다.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
댓글
솔티카라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