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
추천도서후기

[열중47기 2젠 0원한 투자자의 길로 고고!_돌콩] 2주차 독서후기

25.09.17

* 독서후기 제목은 닉네임과 책 제목을 포함하여, 자유롭게 작성해주세요! :) 

 

(책 이미지 삽입)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 몰입

2. 저자 및 출판사 : 황농문 / 알에이치코리아

3. 읽은 날짜 : ’25. 9. 10. ~ 17.

4. 총점 (10점 만점): /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1. 몰입이란 무엇인가?

    몰입은 주변의 모든 것을 잊고 오직 한 가지 일에 깊이 빠져드는 의식 상태를 의미한다. 저자는 이를 의식의 명료한 집중상태’ 또는 ‘깊은 생각에 빠진 상태’라고 표현하며, 이 상태에서 우리의 뇌는 최고조의 능력을 발휘한다고 한다.

    단순히 재미있는 일에 빠지는 것 이상의, 스스로 문제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극도의 집중력을 강조한다.

  2. 몰입의 효과와 중요성

    문제해결능력 향상 : 몰입 상태에서 뇌는 잠재적인 능력까지 끌어올려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도 해결할 실마리를 찾게 됩니다.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순간들도 바로 몰입 상태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생산성 및 효율성 증대 : 몰입하면 시간이 빠르게 지나가고, 적은 노력으로도 더 큰 성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피로감은 줄어들고 작업 효율은 극대화 됩니다.

    행복감과 마족감 증진 : 몰입은 인간이 느낄 수 있는 가장 행복한 상태 중 하나라고 이야기한다. 성취감과 더불어 삶의 의미와 활력을 느끼게 해 준다.

    뇌 기능의 변화 및 성장 : 몰입은 뇌를 끊임없이 자극하고 성장시켜, 장기적으로 뇌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3. 몰입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

    장시간 깊이 생각하기 : 저자가 가장 강조하는 방법. 짧게 여러번 생각하기보다, 한 문제를 가지고 장시간 집중해서 생각하는 훈련이 중요함. 뇌가 특정 문제에 충분히 집중할 시간을 주어 잠재의식까지 활성화시키려는 목적임.

    문제에 대한 집착과 끈기 : 해결되지 않는 문제라도 포기하지 않고 끈기있게 계속 생각하는 태도가 필요함. 뇌는 계속해서 그 문제를 풀기 위해 작동한다.

    쉬운 문제로 시작하기 : 처음부터 너무 어려운 문제에 도전하기보다는 쉽게 몰입할 수 있는 문제부터 시작하여 몰입경험을 쌓아가는 것이 효과적이다.

    방해받지 않는 환경 조성 : 몰입을 위해서는 외부의 방해요소를 최소화하고, 온전히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반복적인 훈련 : 몰입은 재능이 아니라 훈려능ㄹ 통해 길러질 수 있는 능력임을 강조하며, 꾸준한 연습을 통해 몰입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한다.

  4. 몰입과 휴식의 균형

    무작정 장시간 생각하는 것만이 아니라 몰입과 적절한 휴식의 균형 또한 중요함. 집중 후에 찾아오는 휴식 시간에도 뇌는 활발하게 정보를 처리하며 문제 해결에 기여하기도 한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책을 읽고 난 후 느낀 점 또는 깨닫게 된 점을 적어보세요

단순히 열심히 하라는 조언을 넘어 뇌과학적인 원리를 바탕으로 인간의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구체적인 방법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책 내용 중 내 삶에 적용하고 싶은 점을 작성해보세요. 적용할 점은 구체적일수록 좋아요!

  • 몰입하기 좋은 환경 갖추기
  • 운동 빠트리지 않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책을 읽으며 기억하고 싶은 ‘책 속 문구’가 있다면 페이지수와 함께 적어보세요

p.64

이제 우리도 본격적인 몰입을 시도해볼텐데, 그렇다고 긴장할 건 없다. 누구나 만만히 여기는 ‘생각에 잠기기’가 몰입의 본질이니까. 칙센트미하이는 운동선수가 말하는 ‘물아일체의 상태’, 신비주의자가 말하는 ‘무아경’, 화가와 음악가가 말하는 ‘미적 황홀경’이 몰입이라고 했다. 이 순간을 가리켜 무용수들은 “마음이 방황하지 않고 하고 있는 일에 완전히 몰입하는 것”이라고 하고, 암벽등반가는 “나 자신과 등반이라는 행위가 하나가 된다”고 말한다. 또 체스 선수는 “시합에 집중하는 것은 마치 숨쉬는 것과 같아서 지붕이 무너지더라도 벽돌에 맞지만 않는다면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모를 것”이라고 표현한다.

(행동) 몰입을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말자. 누구나 한번씩은 경험한 것이다. 그것을 내가 잘 핸들링 할 수 있으면 된다. 몰입 그 자체가 마치 선택받은 자만이 할 수 있는 무언가는 아닌 것이다.

 

STEP6. 논의할 점 (조모임 하시는 분들만!)

몰입을 읽으며 내가 과거 혹은 현재에 몰입했었기에 이룰 수 있었던 경험에 대해 공유 해 주세요.

 

 

 


댓글


챈쓰
25. 09. 18. 04:52N

돌콩님, 일을 게임처럼 몰입한 경험담 얘기하셨던 거 생각나네요. 후기작성 수고 많으셨습니다~ ^^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