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0월 돈버는 독서모임 - 돈의 얼굴
독서멘토, 독서리더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부의 전략수업
🍀저자 및 출판사 :폴 포돌스키 & 필름
🍀읽은 날짜 : 25.9.10-9.17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전략 #행복 #소비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7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돈은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설계하는 것이다.”
헤지펀드의 대부 레이 달리오가 주목한 자수성가의 아이콘 폴 포돌스키
누구나 지속가능한 부를 만들 수 있는 실전적이고 명쾌한 돈의 구조, 심리, 전략의 수업
2. 내용 및 줄거리
: “인생을 바꾸는 것은 돈이 아니라, 돈에 대한 시선이다” 중산층의 삶을 살아가며 돈에 대한 걱정이 크게 없었던 작가가 독립 후, 돈이 없을 때 경험할 수 있는 힘듦을 통해, 돈에 대한 시선을 바꿔나가고 성장하는 이야기를 그렸다.
돈을 다루는 법, 돈에 대한 시선 등에 대해 경험담을 잘 풀어 놓은 책!
소비 습관과 투자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책이다. (부동산 보다는 주식, 채권 등의 이야기가 더 반영된 느낌)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솔직히 처음 작가의 문체와 내용이 크게 호감을 불러일으키진 않았다. 그러나 삶의 경험을 보여주면서, 돈에 대한 시선, 그리고 행복과 인생의 가치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과정에서 삶의 기준을 잡아가는 것에 대한 중요성과
내 삶에서의 중요한 가치를 지키기 위해서 ‘돈’에 대한 전략을 세워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해준 책이다.
월부에서 과제로 내 주셨던 ‘비전보드’ 작성하기처럼, 내가 남은 생의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얼마만큼의 돈을 벌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계산 방법을 제시해주고, ‘충분한 돈’의 기준을 설명하며, 돈도 중요하지만 가장 희소한 자원은 돈이 아니라 ‘시간’이라는 말을 통해, 인생의 중요한 가치를 바로 세우는 것도 중요하다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또한, 부자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일을 하는 작가를 통해 ‘일’에 대한 가치를 ‘돈’을 뛰어넘는 무언가!가 있음을, 생각해볼 수 있었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p.22 "돈의 진실을 정확히 이해한다는 것은, 곧 삶에서 자신의 위치를 찾는 일이다.
→ 돈은 버는 것보다 적게 쓰면 재산이 늘어난다는 것. 당연한 원리지만, 나는 버는 것보다 적게 쓰는 것에 실은 익숙하지 않았던 것 같다. 현재의 생활과 행복에 초점을 맞추며 살아갔기에, 그리고 내가 좋아하는 것을 경험하거나, 타인, 가족들을 위해 소비를 많이 해왔기 때문에, 마음이 풍족하면 되지?! 라는 생각에 자금 모으기가 어려웠던 것 같다.
그러나! 돈은 절대적으로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하며, 지금 적금, 예금으로는 절대적으로 노후를 준비하기에 어렵다는 것을 알기에 우리는 자신의 자산에 대한 객관적인 시선을 가지고 현재 위치를 찾아 부를 늘리기 위한 전략을 세워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소한의 생활비를 계산하여 현재 얼마나 여유가 있는지 확인하고, 지출뿐만 아니라 자산과 부채도 함께 관리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는 것!
-변화에 적응하는 법을 알아야 한다는 것 : 변화가 이미 ‘가격’에 반영이 되었는지 확인이 중요하다!
-개인의 생활방식과 습관의 중요성
-자산 포트폴리오를 작성하여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함.
-자신을 이끌어줄 신념과 투자 원칙을 세워야 한다. → 월부 안에서는 ‘저환수원리’
p.231-232 돈의 목적은 더 나은 삶을 위한 것이다. 어떤 삶의 방식을 선택할지, 어디에 돈을 쓸지, 나만의 균형을 찾아야 한다.
→ 경제적으로 넉넉하게 살았을 땐, 돈에 대해 전략을 세우며 준비가 꼭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지 못했었다. 먹고 싶은 것을 먹고, 하고 싶은 것을 하면서, 많이 부유하진 않지만 현재 삶을 만족하며 즐기면서 살아왔던 과거 동안에는 그게 나의 나은 삶이고 행복이었다. 그러나 집안에 경제적인 문제가 생기고 나서, 돈은 없으면 삶이 피폐해지고, 내가 정말 원하는 선택에 대한 자유가 사라질 수 있음을 깨달았다. ‘돈’은 삶에서 최우선의 가치는 아니지만, 그래도 상위 가치로 가져가야 한다는 것! 내가 더 많은 선택을 하기 위해, 더 많은 자율성을 얻기 위해서 ‘돈’이 필요하다고 돈에 대한 시선이 나는 이 경험을 통해 바뀌었다.
그러나, 작가의 말처럼 너무 일방적으로 돈 만을 추구하면 삶의 균형이 깨질 수 있기에, 내가 어떤 삶의 방식을 선택할지, 그리고 그 균형을 어떻게 맞출 지에 대해 고민을 해봐야겠다.
우선, 지금은 아직 젊고 일을 할 수 있는 나이기 때문에, 근로 소득을 통해 돈을 모으고 지출의 통제가 필요하다!
V 1년에 2.5천만원 모으기 → 월급의 50%이상 저축하기
V 미래를 위한 투자 : 월부 강의를 들으며, 앞마당 만들고 임보 쓰기 (독강임투)
V 조급한 마음을 내려놓고,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찾아서 실천하기.
→ 작가가 소개해준 다양한 주식의 형태를 알아보고 포트폴리오 작성하기 → 행동으로 옮기기!!
V 해당 책을 몇개월 뒤에 다시 읽어보기! 좀 더 투자 공부를 한 뒤에 다시 읽으면, 또 다르게 와닿을 것 같다!!
5. 연관 지어 읽어 볼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돈의 얼굴’ -10월 월부 독서 모임 책이다!! 읽어봐야지!!
🧡 성장함 블로그 🧡
https://blog.naver.com/growtham/22401238396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