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부동산Q&A

전세계약 관련 질문 드려요

25.09.20

 

안녕하세요 저는 작년 6월에 24평 서울에 전세 낀 아파트를 갭투자로 매수 하였습니다.

 

갱신권을 쓰지 않은 세입자였고 올해 12월이 만기입니다. 

 

다행이도(??)  올 12월에 나간다고 합니다. (시세보다 저렴하게 전세 계약이 되어있었습니다)

 

우리 아파트를 알아보니 전세 매물이 없고 귀한상태였고 부동산에 연락해서 내놓았고

 

이틀만에 계약을 원하시는 분이 계셨고 가계약금을 받았습니다. 

 

 

여기서 질문이 있습니다.

 

제가 12월이 전세계약인데 12월은 비수기로 알고 있어서요 

 

너나위님 책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책에서도 겨울은 비수기라 잔금 치르는 수요가 적을 수 있어

 

나중에 애를 먹을수 있다고 읽은게 기억이 나서요 

 

계약서 작성 전인데 혹시 계약할때 24개월이 아닌 27개월로 계약해서 27년 12월 만기가 아닌

 

28년 3월로 만기로 해서 계약을 작성하려고 하는데요 

 

1. 제가 진행하려는 방법 괜찮은 걸까요?

 

2. 이렇게 계약하면 나중에 문제될것이 있을까요?

 

 

제가 처음으로 전세입자를 계약하는 부린입니다. 많이 알려주세요.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우도롱
25. 09. 20. 12:38

안녕하세요 불도저경기님~ 새로 전세입자 구하셨다니 정말 축하드립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계절적 비수기가 있기는 한데요. 전세 손님은 입주일로부터 2달 전에 집을 보러 다닌다는 점 + 연말 연초에 사람들이 가장 없습니다. 따라서 학군지 아파트가 아니라면 전세만기가 1월말 2월초는 피하는 것이 좋으나, 전세가 귀한 시기에는 크게 영향이 없을 수 있습니다. 2년 뒤에 주변지역에 새아파트 입주가 있는지 확인해보시고 그게 아니라면 저라면 2년 계약 후 만기시점에 대응해볼 것 같습니다. 축하드립니다!

드림텔러
25. 09. 20. 23:33

불도저경기님 안녕하세요~ 우도롱님 말씀처럼 연말, 연초에 사람이 많지는 않지만 지금처럼 전세가 귀해지는 시장에서는 불도저경기님이 하신 것처럼 금방 맞출 수도 있습니다. 평범하게 2년 계약하고 2년 뒤 시장에 맞게 대응해나가면 될 것 같습니다. 축하드립니다!

캬라멜마끼
25. 09. 22. 08:31

불도저경기님 안녕하세요~! 우선 전세입자분을 구하신 점은 축하드립니다!! 앞서 좋은 답변을 달아주신 것 같습니다. 계절적 비수기 인 것은 맞지만, 지금은 서울 시장에 입주가 많지 않은 상황으로 전세는 귀한 시기이기 때문에 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보유하고 계신 아파트 주변에 입주가 있다면 입주 기간을 피해서 전세 기간을 잡아볼 것 같습니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