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열반스쿨 중급반 30기 25조 둥데이 입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 6개월-1년내에 투자를 하려면 어떤 지역으로 가야하는지
개인상황별, 지역상황별 투자상황을 통해 판단할 수 있도록 해주었던 강의였습니다.
Part1. 나에게 맞는 투자처 찾는 법
우선 나의 상황을 고려할 때
자본금, 자산현황, 개인상황(투자에 투입할 수 있는 시간), 자산목표를 고려하고,
현재 수도권과 지방 부동산 상황에 필요한 투자금과 그 특징이 본인의 상황과 맞는 곳으로 임장을 가야 합니다.
방랑미쉘님이 수도권과 지방의 싸이클 특징을 세분화해서 설명해주셨는데,
각 투자처마다 매도시점을 정하는데 꼭 참고해야할 것 같습니다!
"시장을 이기는 투자자는 없다. 기회를 알고 나에게 맞는 투자를 해야 한다."
강의 중 이 말씀이 제일 와닿았는데요,
강의 전에는 내 자금상황만 고려하였다면,
강의 후에는 현재 부동산 시장도 파악할 수 있는 눈을 길러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BM1) 임장보고서를 쓸 때 ㄹㄷㅁㅋ ㅅㅅ를 통해 시장 상황과 투자 기회를 판단하는 방법을 연습해야겠습니다!
Part2. 지방에서 3개월 내에 첫 투자하는 법
투자지역을 선정하려면 가격과 입지를 판단해야하는데
같은 지방이여도, 그 규모에 따라 고려해야할 "가격 기준과 입지 기준"이 나뉘었습니다.
이 지방 입지가치는 ㅇㄱㅅ로 나뉘고, ㅈㅂㄱㅇㅅ와 ㅈㅅㄷㅅ에 따라 입지 우선순위가 다름을 알고 표로 정리하여 머릿 속에 넣어야겠습니다.
특히 지방을 크게 보는 연습을 하게 해주셨는데,
경남권, 경북권, 충청권, 호남권을 S부터 C등급까지 나누어 같은 권역안에서 지방 등급을 한 눈에 알 수 있었고,
저의 앞마당이 어느 권역에, 어느 등급인지 그 흐름을 알 수 있습니다.
(BM2) 현재 광역시만 앞마당으로 있는 저는 A등급의 중소도시를 다음 앞마당으로 만들어야겠습니다.
(BM3) 임장보고서 적용하고 싶은 부분: 입지분석 파트에서 그 지역의 시장상황을 파악하는 방향으로 작성해야겠습니다.
Part3. 수도권에서 1년 내에 첫 투자하는 법
수도권은 확실히 지방과 가격, 입지 기준이 달랐고,
무엇보다 ㅌㅈㄱ이 많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수도권은 지방보다 그 지역 자체의 입지가치가 매우 중요하고 ㅇㅁㅈㄱㅅ 에 따라 그 등급이 나뉘었습니다.
수도권 역시 등급별 앞마당을 소개해주셔서 같은 등급안에서 비교를 하고 저평가 판단을 통해 Best 투자처를 골라야 됨을 알게되었습니다. (물론 투자금이 비슷하다는 가정하에!)
제일 신기했던 점은
좋은 ㅇㅈ 순서대로 ㅌㅈㄱㅎ가 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는 투자 기회를 잡을 때 제일 명심해야할 부분이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지방&수도권 투자사례를 한 개씩 소개해주시며
" 이 투자를 할 수 있었던 이유" 행동과 마음가짐"
8년차 투자자 방랑미쉘님의 행동과 마음가짐을 본받고,.
부동산 가격과 가치는 우선순위는 바뀔 수 있지만, 언제나 기본(독강임투)을 지키고 앞마당을 많이 만든 투자자가 좋은 투자기회를 만들 수 있음을 마음에 새겨야겠습니다. (오늘의 가장 큰 BM!)
댓글
둥데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