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직장인이 10억 달성하는 법, 열반스쿨 중급반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 나에게 특히 인상 깊었던 점
1. 전세 셋팅 5가지 유형
구분 | 내용 | 주의사항 |
전세대출안받는 경우 | ① 현금전세: 대출없이 임차인 자금으로 입주 | 시장분위기에 따른 전세가 변동 체크 |
② 세낀 물건: 세낀 상태로 소유권 이전 | 매매계약시 임대조건이 기록되어있는 전세계약서 반드시 확인! | |
③ 주인전세: 매도자와 전세계약 후 소유권이전 | 만기시점공급-공급물량확인 | |
전세대출 있는 경우 | ④ 매도자 전세계약 후 승계: 전세대출 실행된 후 소유권 이전 | |
⑤ 잔금치고 전세 셋팅: 매수자가 소유권 가져오고 임차인 구하기 | 이자/수수료/ 관리비 등 비용 발생 |
2. 적정 전세가 설정 3단계:
2.1 단지내비교: 단지내에서 적절한 가격인지?
2.2생활권 : 생활권 내 가격흐름을 같이 하는 단지들과 비교해도 적절한 가격인지?
2.3공급: 공급되는 신축단지와 비교해도 적절한 가격인지?
3. 임대기간 설정 시 고려해야 할 3가지
3.1 공급 : 공급물량은 없나? 재계약 시점 고려하여 임대기간 설정.
3.2 수요: 본인이 투자하는 지역, 단지, 평형의 특징을 아는 것이 중요!
3.3 포트폴리오: 주택 수가 늘어날수록 임대 포트폴리오를 통한 재계약 시기분산
# 느낀 점
1. 적정 전세가는 단순히 해당 단지의 전세 호가에 맞춰 설정하면 되는 줄 알았다. 그런데 실제로는 ‘적정 전세가를 찾는 로직’이 따로 있다는 점이 인상 깊었다. 이번에는 강의를 듣기 전에 이미 내놓고 계약이 진행되어 적용하지 못했지만, 다음번 전세를 놓을 때는 꼭 이 방법을 활용해 전세 세팅을 해보고자 한다.
2. 재계약 시점까지 고려하여 공급 물량을 확인하는 부분은 그동안 전혀 신경 쓰지 못한 부분이었다. 내 경우 2027년이 재계약 시점이므로, 그 시기에 예정된 공급 물량을 반드시 확인해 보아야겠다고 느꼈다.
댓글
이또한이루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