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바니1입니다.
1주차 강의에서는 잔쟈니 튜터님께서 현재 지방시장 상황을 짚어주셨고
지방 투자를 통해 어떤 로드맵을 그려나가야 하는지 설명해주셨습니다.
가격, 투자금, 리스크 측면에서 현재 지방에서 투자하기 좋은 지역들이 있고 앞으로도 그러한 지역들이 있다.
따라서 종잣돈이 소액인 경우 지방에 투자하는 것은 매도 후 더 좋은 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마중물이 된다.
투자 의사결정 3단계
싸. 투. 감. => 가치대비 싸고, 투자금 가능하며, 감당가능(리스크) 한가를 순서대로
처음부터 여기는 공급이 많아서 안되고, 이 단지는 외곽이어서 안되고 등등 애매한 리스크로 걸러내면
투자할 물건이 없다. 앞서간 지역을 발로 밟아 보며 투자 범위와 확신을 얻는다.
시세트레킹으로 얻을 수 있는 것
임장을 하고 임보를 쓰면서 후순위 단지에 대한 관심이 떨어져서 시세트레킹을 할 때도 보지 않거나 대충 봤었음.
하지만 후순위 단지를 보면 지역 흐름, 매도타이밍, 목표 전세가 설정에 대한 것을 알 수 있다.
의미 없는 임장은 없다. 어떤 단지가 후순위인지 알고 시세트레킹을 통해 인사이트를 얻어가야 한다.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는 한 가지지만 투자를 못하는 이유는 열가지, 백가지도 될 수 있습니다. ”
-잔쟈니 튜터님-
BM 할 것
목표 매수가, 목표 전세가 설정 방법 실제 적
결론에서 환금성 부분까지 고려하여 단지 뽑기
댓글
바니1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