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안녕하세요!
실행하고 결과를 내고자 노력하는
하모니햄입니다.
까도 까도 계속해서
좋은 강의로 깊은 울림을 주시는
'양파링 멘토님'의 소중한 강의로
한파 경보의 추위도 따뜻하게 녹여버린
2주차가 아니였나 생각합니다^^
요즘 서울에서 HOT하다고
소문난 '동대문구'가 있는
서울의 동북권 지역을 요리조리 뜯어 보며
양파링 멘토님과 같이 사전 임보를 작성한
기분까지 들었습니다 😀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잘 모르고 지냈던
동북권에 새롭게 눈을 뜰 기회를
제공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이것만은 기억하자! 동북권 핵심 쏙쏙!!
✅️ 입지가 좋은 곳은 '매매와 전세 상승 시기가 빠르고 상승폭이 크다!'
- 동북권은 현재 매매의 상승은 크지 않고 전세가 상승이 높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동일 지역 안에서도 좋은 곳(단지)은 먼저 올라가 매매와 전세 격차를 벌린다.
=> 생활권/단지 위상에 따라 상승 순서가 다르다!
✅️ 성동구 & 광진구 : 커뮤니티 강점 + 강남 접근성 + 입지요소 특장점으로 '가치성장 투자가 가능하다'
✅️ 동대문구 & 성북구 : 강남 가까운 가성비 지역 + 환경변화 + 뉴타운 특징으로 '소액 투자가 가능하다'
✅️ 광진구는 지역 자체가 확실한 수요를 이끄는 입지 가치를 가진 곳 = 학군 (광남학군 / feat. 양천구_목동)
✅️ 동북권 인구 특징
- 학군지 : 압도적인 10대 인구 수
- 대학교 소재 : 20대 인구가 많다
- 신규 주거지 : 30대 인구가 많다
- 경제력이 필요한 지역 : 40/50대 인구
✅️ 가격,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가치 : 한강 > 대형 공원 > 하천 > 산
강의를 통해 적용할 부분이 있다면?
✅️ 각 지역구의 생활권별 특징 및 선호도를 이해하고, 단지별 특징과 장/단점으로 비교평가가 필요하다.
- 기본적으로는 동북권의 경우 '성동구>광진구>동대문구>성북구' 순서의 선호도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 안에서의 생활권별 단지 특징들이 선호도를 다르게 등급화 할 수 있다. (=> 비교평가)
- 생활권별 '키워드'를 작성해서 특징을 기억해보자 (교재참고)
- 생활권별 '리딩 단지, 투자금 최저단지, 전고점 대비 하락률이 높은 단지' 등을 표기하고 생각 정리 필요
- 단지별 비교평가를 통해 저평가 단지를 찾아 내고, 투자 가능 1순위를 가려내야 한다.
✅️ 금액대별 투자 가능한 단지 찾아내는 연습!
- 동일한 투자금액대를 정하고 투자 기준에 맞춰 의사결정 연습을 하자!
- 시세(매매/전세)와 투자금액 (매전차), 전세가율, 하락율, 단지 기본정보를 정리한 표를 작성해서 트레킹!
(교재참고 해서 테이블을 만들어 보자)
✅️ 투자 의사결정에 필요한 투자 기준을 기억하고 적용하자!
1) 가치 : 중장기로 보유할 만한 가치가 있는가
2) 저평가된 가격 : 현재 가치 대비 가격이 싼가 (상승장 대비 30%이상 하락? 넓게 20-40% 보기)
3) 전세가/전세가율 : 서울 평균 전세가율 60%이상인가
✅️ 투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내 상황에 맞는 투자'임을 잊지마라!
- 상급지가 아니여도 입지요소와 부합하는 수요가 있고, 내 투자금과 맞고 리스크관리가 운영에 있어서 가능한지 판단하고 부합한다면 '투자를 진행한다'
- 매 순간 최선의 투자를 해 나가며 실행하는 것이 다음 투자를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는 것임을 잊지 말자!
긴 시간동안
장표 하나 하나에 열정과 정성을 쏟아 주시고
강의 내내 이해를 돕기 위한 차분히 설명해 주신
양파링 멘토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
댓글
하모니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