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추천도서후기

[돈독모] 돈의 얼굴 독서후기 [스바루냥]

25.10.09

[돈버는 독서모임] 독서후기
 

✅ 도서 제목

돈의 얼굴

 

 

✅ 가장 인상깊은 구절 1가지는 무엇인가요?

 P216 결국 부실 채권은 한 도시, 나아가 한 국가를 삼켜 버릴 정도로 심각한 부작용을 낳는다.

  • 우리나라의 가계대출 규모가 엄청나게 높아진 것을 그저 개인의 채무로 볼 것이 아니라 나라가 망할지도 모르는 위험한 상황이 초래된 것에 대해 경계해야 되지 않을까 하는 시각으로 바라보게 해 준 구절

 

 

✅ 책을 읽고 알게 된 점 또는 느낀 점

돈의 탄생부터 시작하여 그 기나긴 역사 속 돈의 얼굴들과 투자에 대한 시각까지 다채롭게 보여주는 흥미로운 책이였다.

 

  1. 금처럼 신뢰할 수 있으면서도 총량의 한정성 이라는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화폐가 필요했기에 지폐가 탄생하게 되었다. - 화폐의 신뢰성에 대해 크게 생각해본 적이 없었는데 지금 사용하고 있는 원화(지폐)가 신뢰성을 갖기까지 기나긴 세월과 역사가 필요했음을 알게 되었다.
  2. 달러의 가치가 떨어지자 너도나도 달러를 금으로 바꾸기 시작했고 결국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더 이상 달러를 금으로 바꾸어 주지 않겠다 라는 “금태환 중지 선언”을 했다.
  3. 통화량은 계속 늘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인플레이션(돈의 가치 하락)은 지속될 수밖에 없다.
  4. 명목금리와 실질금리의 차이를 알아야 한다. (명목금리 : 물가상승률과 같은 요인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명시적으로 표시된 금리를 의미한다, 실질금리 : 물가상승률을 고려하여 계산된 금리를 의미한다)
  5.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물건이 고가인지 저가인지 판단하기가 점점 어려워진다. - 근래에 들어 장을 볼 때마다 이게 싼건가 비싼건가 점점 헤깔리기 시작했는데 이게 인플레이션의 영향이었음을 느꼈다.
  6. 임금상승보다 물가상승률이 더 높으면 실질임금은 하락한 것이다. - 몇년 전에 월급을 20만원 올려받아서 신나했는데 실질임금은 하락했을 것을 생각하니 실망스러웠다.
  7. 대출은 자산이 아니라 부채이다. 나의 재정적 한계를 명확히 이해하고, 불확실성에 대비해야 한다. - 1호기를 투자하면서 대출도 일부 받았는데 엄청 큰 돈을 대출하는게 아닌데도 많이 무서웠다. 언제 대출이 내 목을 조여올 지 모르니 자산이 아닌 부채이고 꾸준히 갚아나가야 함을 명확히 인지해야겠다.

 

 

✅ 나에게 적용할 점

 

  1. 대출을 자산으로 생각하지 않고 불확실성에 항상 대비할 것
  2. 실질임금에 초점을 맞출 것

댓글


스바루냥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