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투자로 연결 짓는 법
지방 투자의 특징
입지
서울 수도권 : 빈 땅이 없고 사람은 많다 = 땅의 가치가 높다
지방 : 빈땅은 많고 사람은 적다 = 땅의 가치가 떨어진다
상품성
서울 수도권 : 입지 (위치) > 상품성 (연식)
지방 : 입지 (위치) < 상품성 (연식)
선호요소
서울 수도권 : 교통 (3대 업무지구 접근성)
지방 : 학군, 환경, 커뮤니티 (=지역 선호도)
지역 내 선호 / 비선호 단지의 가격차이를 가져오는 것은 무엇인가?
같은평형 / 연식의 단지 (구축 / 준신축 /신축) - 가격 차이를 보고 그 이유를 찾는다
지역 내 비교평가
가치와 가격 비교 평가
절대적 저평가 - 가치 순서대로 가격이 비싸지 않다면 가치가 더 좋은 것을 우선 시
상대적 저평가 - 가치 순서대로 가격이 비쌀 때 가격이 더 싼 것이 저평가
공통 원칙 - 비슷한 가치면 가격이 더 낮은 것이 저평가 / 같은 가격이면 가치가 더 높은것이 저평가
연식은 가변하는 선호요소이다 → 이제 15년차이니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해야겠다 → 과거 15년 넘어간 단지 중에 가격 회복한 단지가 있나? 실제로 검증해볼까? 특올수리 투자된 물건이라면 그래도 수익이 괜찮네!! → 단지 분석 가설 검증 후 투자 검토!!
가치가 비슷한 단지라면, 비슷한 단지 중에 조금이라도 어디가 더 좋은 단지이지? 단지 등수를 매기려고 고민을 하기
보다 비슷한 가치를 가진 단지중, 현재 가격 + 매물조건 + 상황을 고려해서 나에게 더 맞는 단지 선택
투자를 위한 액션 플랜 (심화)
- 모의 계약서 작성해보자!!
2. 가설 검증 (주장 - 근거 - 결론 - 적용)
- 주장 : 투자와 연관된 궁금증과 가설 ‘투자 질문’
Ex) 랜드마크 단지의 흐름과 공급을 통해 시장의 모습과 투자할 단지를 찾는다
- 근거 :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한 ‘데이터’
Ex) 랜드마크의 가격의 변화가 있던 시기 기사와 비슷한 공급을 찾아본다.
- 결론 : 데이터 해석에 대한 ‘결과 확인’
Ex) 지금과 비슷한 시기가 몇 년도이며 그때 투자하기 좋았던 단지를 찾는다.
- 적용 : 결과를 토대로 현재 ‘투자 적용’
Ex) 결과를 보고 선호도를 현재에 적용하여 투자 우선순위를 찾는다.
지방 앞마당 정리에서 꼭 들어갈 것
저평가 단지 → 어떤 단지를 선정해야 하는가?
지역별 선호도를 잘 반영하는 단지 → 생활권 + 선호도
- 랜드마크
- 투자관심 단지
- 구축 대장 단지
* 20평대는 생활권 중상 이상
현장에서 매물을 많이 봐야 좋은 매물을 투자할 수 있다!!!!
적용할점
댓글
멈추지말고달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