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우선 지방도 입지와 선호도에 따라서

 

가격 반등이 반등한다는 불변의 진리를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습니다.

 

단지 수도권과는 달리 지방은 지역마다의 특성과 우선순위가 

 

다른 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 인구 (수요를 뒷받침 한다)

 - 공급 (전세가에 영향을 주고 그 전세가는 매매가에 영향을 준다)

 - 환경 (연식이 교통보다 중요 - 지역내 이동거리와 시간이 길지 않아서 중요도에서 떨어 지기 때문에)

 - 직장 (종사자수 / 대기업수 - 직장의 양과 질)

 - 교통 (지형, 위치 - 지역 선호도 접근, 단절)

 - 학군 (학업성취도

           학원가의 양과질

           부자 커뮤니티

           초등학교 학급당 학생수)      

 

 분류가 제대로 되었는지 모르겠지만 요소를 정리해 봤습니다.

 

지방임장의 특징

 -시간이 제한적이다

 -도시별 개별성이 강하다

 -생활권과 단지의 선호도가 다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도권과는 달리 ‘지방이 가격이 머무르며 기회를 주고 있다’는

 

강의 내용을 듣고서 나의 준비와 대응이 중요할 뿐…

 

앞으로 더욱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다짐을 했습니다


댓글


차가운 열정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