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안녕하세요 등어입니다 :)
어쩌다보니 3주차 강의후기를 먼저쓰고
2주차 강의후기를 남기게 되었네요
아직 임장으로 가보지않은
창원에 대한 내용으로
잔쟈니튜터님의 지방임장 방법부터
지방에서 중요한 것들에 대해
정리해주신 2주차 강의 후기
시작해보겠습니다
인구수로는 울산에 뒤지지 않는 창원인데
공급으로 인한 현재의 가격수준
그리고 울산의 경우와 함께 비교해주시며
소액투자로 충분히 100% 이상의 수익을
낼 수 있는 투자가 가능함을 알려주셨습니다
소액을 가지고 있다면
얼른 창원으로 가야겠다고 생각이 드는데
내가 가기전에 창원이 또 올라버릴까?
하는 걱정도 생기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아무것도 모르고
창원을 가는 것 보다
이렇게 튜터님께서 정리를 해주신 내용을
잘 기억해두고서 가면
훨씬 빠르게 지역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창원의 모양이 어떻게 생겼는지
각 지역별로 어떤 특징을 지녔는지
위치를 보고서 튜터님께서
생각하시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위치를 얘기해주시고 인구까지 얘기해주시며
마지막으로 정리를 하실때마다
선호요소가 무엇인지?
투자의 범위는 어떻게 생각해야할지?
사람들이 좋아하는곳은 어디인지?
투자와 연결된 생각들을 남기는게
인상적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냥 쓰다보면 선호도, 사람들이 그래서
어디를 더 좋아할까? 에 대한 고민을
계속 잊는 것 같은데
단순히 데이터를 나열하는게아니라
그래서 어디가 사람들이 더 좋아하지?
라는 생각으로 데이터를 바라봐야겠습니다
생활권별로 한판에
창원의 가격대에 대해 보여주셨는데
전 지역을 대표 신/구로 나누어서
어떤 흐름을 보이고 있는지
가격대가 어떻게 되는지
한눈에 볼 수 있어서 정리가 잘되었습니다
그리고 상세히 생활권으로 들어가서
구분을 지은다음에 가격대로 묶는 과정이
꼭 따라해야겠다는 점이었습니다
이번 시세지도에서는
전체 지도를 놓고서 정리해보면
도움이 많이될 것 같습니다
매도를 해야하는 지방이다보니
매도관점에서 중요한 것들이
이번 강의에서는 많이 들렸던 것 같습니다
창원을 통해서 어디까지
투자범위로 잡으면 되는지
투자 우선순위를
정리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실거주자가 받아주는’ 이라는 의미를
이제는 좀 이해할 것 같네요
입지와 연식에서 어떤 것을 우선순위로 볼지
그리고 지방에서 입지좋은 구축이
어느정도 수준인지 알려주셨는데
창원을 다녀온다면 훨씬 잘 이해될 것 같긴하네요
본인의 투자해온 과정에 대해서
잘 말씀하시지 않는다고 하셨지만
튜터님도 여러 문제들이 있으셨습니다
정말 공감되었던 것은
어느 시절에나 문제가 있다는 것
시행착오들을 쌓으면서
능숙해지면서
점차 나아진다는 말씀이었습니다
이전에는 이것에 대해 자각하지 못했던 것 같은데
어느새 어렵다고 생각했던 것이
하다보니 시간이 지나며
해결이 되는 순간들이 있던 것 같습니다
How To 가 아니라
What To 를 생각하라는
튜터님의 말씀을 잘 기억해두고
어려움이 발생할때마다
힘듦에 빠져드는게 아니라
해내야하는 이유를 생각하고
해내보도록 하겠습니다
긴 시간 동안 강의해주신
잔쟈니 튜터님 감사합니다!
댓글
등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