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단 한 번의 투자로 1억 버는 임장∙임장 보고서 노하우
권유디, 자음과모음, 코크드림, 너나위

가장 인상 깊었던 점
“입지는 매매가, 연식은 전세가에 영향을 준다”는 명확한 구분이 특히 와닿았습니다. 막연히 신축이 좋다고만 생각했는데, 투자 목적에 따라 입지와 연식의 우선순위가 달라진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강남과의 거리와 접근성에 대한 기준은 때로는 감정적으로는 납득이 가지 않을 때가 있는데, 튜터님들마다 워낙 강조하셔서 이제는 그냥 기준으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매매가 상승을 원한다면 구축이더라도 입지를 봐야 한다는 원칙이 명확해졌습니다.
체계적인 투자 의사결정 프로세스
강의에서 제시한 4단계 결정 순서가 정말 실용적이었습니다:
이 순서대로만 따라가도 충동적인 투자를 막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현장 임장의 디테일
매물 확인 시 체크리스트가 구체적이어서 좋았습니다. 특히 누수, 샷시, 결로 문제는 나중에 큰 비용이 들 수 있는데, 화재보험 특약으로 누수를 대비할 수 있다는 팁은 바로 실행할 만한 내용이었습니다. 겨울철 창문에 뽁뽁이가 붙어있으면 바닥 보일러가 안 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처럼, 간접적인 신호를 읽는 법을 알려준 점도 실전 경험에서 나온 노하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망하지 않는 투자의 5대 원칙
강의 후반부에 제시된 5가지 체크 기준이 핵심이었습니다:
특히 지역별 적정 전세가율을 구체적인 수치로 제시한 점(강남 50%, 서울 60%, 경기 70%, 지방 80%)이 실무적으로 매우 유용했습니다. 지금은 실거주로 수도권을 접근해야 하니 당장 적용은 어렵겠지만 좋은 기준이라고 생각됩니다.
총평
전반적으로 막연했던 부동산 투자를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얻은 강의였습니다. 특히 마지막에 강조한 "최종 의사결정 시 5가지 항목을 모두 점검하라"는 조언대로, 앞으로는 감정적 판단이 아닌 객관적 기준으로 투자를 결정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투자 결정에 기준을 적용해야하는데 좋은 물건을 보고나니 눈은 자꾸 비싼 물건에만 가서 큰일입니다. 마지막으로 기억에 남는 말씀은 남들과 다른 시간이라는 점이었습니다. 월급쟁이부자들이라는 것이 본업+투자여서 정말 어려운 일인데 남들과 다른 시간을 보내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합니다.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세상고양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