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정석대로 배우고, 행동하는 행복한 노후 준비를 돕는 마그온 입니다 ~!
매매, 전세, 매도 등.. 투자 활동을 이어가다보면 선택을 하게 되는데요~
선택을 할 때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게 나을까?
저게 나을까?
그렇게 생각만 하다가 행동을 안할 때도 많고, 뒤로 미룰 때도 있었을 겁니다.
제가 그렇습니다ㅎㅎ
생각만 무지 하게 많고, 행동이 잘 나서지 않아서 고민될때가 많은데요
최근 강의와 월급쟁이 부자들 유튜브를 보면서,
너나위님 께서 이야기 해주신 부분에서 해답을 찾게 되었습니다.
'덜 후회 하는 선택을 해보세요'
-너나위님-
무슨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후회는 남기 마련이라는것을 알고 있지만,
선택 하기 전에는 최고의 선택이 있지 않을까? 라고 착각 하게 되는것 같습니다.
저 처럼 선택에 어려움이 있으신분들에게
선택을 좀 더 유연하게 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드려보려고 합니다
1. 여러 선택지 생각 해보기.
저는 선택 할 때 최고의 선택만을 생각 했습니다.
투자르 할 때에도 최고의 물건, 최고의 선택이 있다고 믿었는데
그럴 수록 저만 힘들도 물건도 잡을 수 없었습니다.
강의에서 '후보 물건은 여러개 두고 선택해보세요' 라고 이야기 해주시 잖아요
투자와 마찬가지로 어떤 선택을 할 때에도 여러 선택지를 고민 해보면
선택 할 때 어려움이 줄어 들더라구요~
전세를 빼는 과정에서도
1. 전세가 빠지지 않는 시장에서의 전세가 A억
2. 전세가 잘 빠지는 시장에서는 전세가 B억
3. 전세가 잘 빠지는 시장이 지속 된다면 전세가는 C억
...
여러가지 선택지를 만들어 두고 생각 한다면,
하나의 선택지로 할까? 말까? 의 선택 보다는 조금 더 수월한 선택을 할 수 있었습니다.
2. 선택지에 따른 후에 일어날 일 생각 해보기.
선택지는 많지만, 막상 또 선택이 어려운건
선택이후의 일에 대해 막연함이 있기 때문인데요~
선택지에 따른 이후 일어 날 일을 미리 생각 해본다면
선택에 있어 고민이 줄어 들때가 많았습니다.
미래에 어떤 일이 있을지 모르지만, 그럼에도 미리 시뮬레이션을 해보고
내가 감당 가능한 일들인가에 대해 생각 해본다면 선택의 막연함을 줄여 볼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전세빼는 과정에 있어
1. 3억에 전세를 빼면 투자금이 줄어든다.
2. 2.8억에 전세를 빼면 생각한 투자금 만큼 든다.
3. 2.6억에 전세를 빼면 생각한 투자금 보다 +2000만원이 더 든다.
어떤 시나리오로 방향이 정해 질지 모를때는 나에게 어떤 상황이 올지 정리 해보고
내가 감당이 가능한지 알게 되면 막연한 선택이 아닌,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3. 덜 후회 하는 선택 하기.
모두 다 감당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모든 선택지가 나에게 어려운 선택지 일때가 오히려 더 많았던 것 같습니다 ㅎㅎ
이럴 경우에 너나위님이 말씀 해주신 '덜 후회하는 선택'을 생각 하고
스스로 결정 해 나가는게 중요 합니다.
막연하고 답답할 때 누군가에게 기대여 선택을 해줬으면 할 때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마지막 선택과 선택에 따른 책임은 '본인' 에게 달려 있습니다.
그렇기에 누군가에서 선택을 바라기 보단,
스스로 덜 후회 하는 선택을 하고, 그에 따른 책임 또한 스스로 질 수 있습니다.
저도 선택 하는 부분에 있어 선택을 미루고 누군가가 선택 해줬으면 하는 삶을
살아 왔었습니다. 하지만 쉬운 선택 뒷면에는 무거운 책임감이 있었고, 반복되면서 스스로 선택을 하지 못하고
끌려 다니는 삶을 살게 되더라구요~
끌려다니는 삶을 살지 않기 위해서는 계속된 덜 후회 하는 선택 연습이 필요 합니다.
주도적으로 살아 보기 위해서 저는 투자를 시작했고, 투자 과정에서 매번 선택의 연속이었습니다.
선택을 피하기 보단 마주하고, 조금 더 나은 선택과 최선의 선택을 하기 위해 공부를 이어 나가고 있는것 같습니다 :)
선택하는 것이 답답하고 어려운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긴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