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월부챌린지

[제이씨하] 기사 25.11.04 - 건산연 “내년 전국 집값 0.8% 오를 때…전세는 4% 오른다”[집슐랭]

25.11.04

건산연 “내년 전국 집값 0.8% 오를 때…전세는 4% 오른다”[집슐랭]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551785

 

| 집값 수도권 2% 오르고 지방 0.5% 하락
| "전세가는 올해 1%···내년 4배 증가할 듯"
| "내년 공급 총량 증가 제한적···양극화 심화"

 

 

배경)

부동산 규제로 매물잠김 현상, 월세 거래량 증가 / 전세 매물 감소가 지속되는 상황

 

전세

  • 수요 : 10.15 대책 / 1주택자 전세대출 DSR 제한 / 스트레스DSR 금리 상승 → 한도 감소 /  1주택자는 신규 전세대출 불가능
  • 공급 : 토허제 지정으로 실입주 조건 발생, 전세물량 X → 공급물량 감소. 기존 전세가 상승으로 계약갱신 비율 증가
  • 수요 감소보다 공급 감소의 영향이 더 큰 상황

 

월세는 전세 수요가 감소하다보니 자연스럽게 월세로 수요가 옮겨가며 월세 수요가 상승함

하지만 토허제 지정으로 인해 월세공급도 감소하고 있는 상황  

 

정리하면,

  • 전세는 수요/공급이 모두 감소인제 공급감소가 더 큼 → 전세 가격이 상승
  • 월세는 수요증가/공급감소 → 월세 가격이 상승

 

 

 

5대 은행, 전세대출 잔액 두 달 연속 감소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110285701

 

대출 규제로 인해 대출 잔액이 줄어든 상황인데 이건 내년이 되면 완화될 것이다. 

은행은 기업이다. 수익 창출이 필요함. 금리도 인하세이기 때문에 대출은 다시 증가할 것

 

26년부터는 수도권 공급 없음. 토허제 지정으로 안 그래도 공급이 부족한데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 발생하고 자연스럽게전세 가격이 지금보다 상승하는 상황이 만들어지고 있다. 상대적으로 비규제지역에는 전세 공급이 이루어질 것이지만, 수요가 밀려들면서 가격 상승 흐름이 발생할 수 있음. (투자금 감소 가능성) 

 

어떻게 하면 세입자를 내보낼 수 있을까요? 질문이 과연 얼마나 많이 나올련지…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


댓글


임장조
25.11.04 19:31

현 시장에 대한 분석 감사합니다 쌰부님 :)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