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사린입니다
3주차는
오렌지하늘 튜터님께서 진행해주셨습니다
10억 달성으로 가는
투자결정방법
에 대해서 강의해주셨는데
지역별 단지비교와
지역에 대한 설명
시장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 지를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강의를 들으며 느꼈던 점은
“비규제지역”이라고 명칭이 바뀌었을 뿐
보는 방법의 본질은 같다는 점이었습니다
우리가 배웠던
교통, 물리적위치, 환경, 학군과 같은
입지요소를 바탕으로 비교하는 것!
오렌지하늘 튜터님께서는
각 비규제지역의 단지들을 실제사례로
비교를 해주셨는데
비슷한 듯 다른 지역의 단지들을 비교하며
각 지역의 위상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제가 가진 앞마당 중에서는
현재 비규제지역으로 지정된
수도권 외곽의 앞마당이 조금 있는데
각 지역을 생활권 별로 나누고
생활권 별 특징과 지역의 선호도를
알려주셨기에
제가 알고 있는 부분에서
어느 부분이 부족한 지,
잘못 생각한 부분은 없었는지,
비교하며 선호도를 더욱 뾰족하게
만들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단지 비교시
가격에 선호도를 끼워 맞추거나
전고점부터 확인하려는
경향 때문에 단지간 비교가
어려웠었는데
가치-금액-투자금
순으로 비교해야 한다는
말씀을 듣고
올바른 비교 순서를
상기시킬 수 있었습니다
- 투자는 본인의 선택 + 감당할 뿐
- 자신의 상황을 체크해서 선택하기
저처럼 소액 투자자인분들의
영원한 난제인
지방 vs 수도권 투자
이에 대해서도 오렌지하늘 튜터님께서
방법을 알려주셨습니다
어렴풋이 수도권 투자의 장/단점과
지방 투자의 장/단점에 대해서는
열반스쿨 중급반 때
양파링 멘토님께서 설명해주셨기에
어렴풋이 알고 있었지만
다시 들으며
사례를 통해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지방투자는
스테이지를 바꾸면 된다는 특징이 있다는 점이
매력적으로 들렸습니다
첫 번째 투자는 자산 쌓기 측면에서
안정성을 추구했기에 수도권을 선택했고
수도권을 선택하면서 들었던 생각.
“지금 못 사면 놓치는 것 아닐까?”
에 대한 불안감이 있었는데
지방 투자는 스테이지가 여러개이기 때문에
“놓친다”에 대한 불안감이
상대적으로 적을 것같습니다
(앞마당의 갯수가 많아야하겠지만요)
그리고 부천에 대한 생각을
다르게 할 수 있었습니다
부천에 대해서
“수도권 외곽이며 지방의 특성을 가진 곳”
이라는 문장 중
“지방”에 꽂혀서 좋게 보지 않았는데
(지방의 특성을 가지면서
수도권의사이클을 지녔다고 생각했습니다)
대부분의 vs지방 사례에서
부천을 선택하시는 것을 듣고
(안정성 측면에서 부천을 선택하셨지만)
아직도 부천이란 지역에 대해서
편협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 저글링을 멈추지 말기
직장, 가족, 건강, 투자
4가지의 공을 저글링하는 우리는
(4공 저글링은 실제로도 엄청난 묘기입니다)
편안함&평온함 보다는
거의 대부분 대응해나가는 느낌입니다
1호기 투자 직후 잠시 쉬어본 적도 있고
월부학교 가을학기가 끝나고나면
잠시 투자를 내려놓고 더 급한 것(연애 등)을 해야되지 않나
라는 생각을 한 적도 있습니다
튜터님과의 1:1 튜터링에서
“필요하다면 전부 하는 것”
이라는 솔루션을 받았고
강의를 통해서도
공의 크기가 바뀔 수는 있지만
공의 갯수를 바꾸지는 말라는
말씀을 통해서
계속 해나가며 해결해야 함을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의지로 직접 통제할 수 있는 행동을 조절한다면
의지에 통제되지 않는 감정도 조절할 수 있다
는 문구가 와닿았습니다
새벽 3시가 넘어가는 시점에서
내일 회사는 어떻게 버티지
싶은 걱정부터 떠오르지만
걱정하기보다 행동하면서
대응해나갈 수 있을 것같습니다
댓글
사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