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광역시 구축 투자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세낀물건은 아니고,
집주인이 살고 있는 물건이며, 전세입자를 새로 구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질문1 >
잔금이 어려워서 동시 계약으로 진행하려고 하는데.
부동산 사장님은 매매 가계약금부터 넣으라고 합니다
(부사님께선 주변 전세가 없긴하지만 요즘 전세 구하는 사람이 많진 않다 하십니다)
(지투 울 튜터님께서) 전세 가계약금 넣고 매매 가계약금 넣는게 중요하다고 말씀해주셨는데
부동산 사장님은 어렵다는 식으로ㅠ 말씀하시네요 확정하라며…
좋게 이끌어낼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매매가계약금 넣으면 안되겠죠?
(울 튜터님 이제 또 다른 실전반시작하셔서 바쁘실까봐ㅠ 여기에 처음으로 질문 남겨봅니다)
질문2 >
전세입자가 전세대출 받아서 들어올 경우,
매도자와 전세입자가 계약하고 저에게 전세 승계 되는 형식일것 같은데,
이번 대출 규제 때문에 은행에서 대출을 안해줄까봐 ㅠ 걱정이 됩니다
몇몇 칼럼들을 보니 잔금일을 3개월뒤, 6개월 뒤로 미루면 된다고 하시는데….
(그 기준일이 전세계약후 3개월일까요.. 대출 실행 후 3개월인건가요 ㅠ)
수도권 비규제지역에 한정된 말씀이신지, 지방도 포함인건지 ㅠ 헷갈려서요..
또 연말이라 대출을 잘 안해줄까봐서도 이래저래 걱정이 많이 되네요
경험부자이신 선배님들의 고견 아낌없이 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안녕하세요 상아님 :) 매수 준비를 하고 계시는 군요! 우선 축하드립니다! 제가 아는 한도 내에서 답변 드려볼게요~ 1. 사장님이 말씀하신대로 동시에 진행한다고 하더라도 대부분은 매수를 먼저 진행해야 합니다. 매매 계약서 특약에 “매도인은 매수인의 임대차 계약을 위한 부동산 방문 등에 적극 협조한다. (집 보여주기, 전세계약)”라는 특약을 추가하시면 좋습니다. 또한 부동산 사장님 통해서 매도인분에게 계약서 작성이나 집 보여주는 것 관련해서 협조를 미리 요청하시면 좋습니다. 2. 제가 아는 선에서 아직까지 지방은 대출 규제의 영향에서 벗어나 있기에, 말씀하신 3개월 6개월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만, 은행마다 그리고 세입자 전세 대출 상품마다 전세 계약서를 매도인과 작성해야하는 경우도 있고 / 매수인과 체결해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미리 부동산 사장님께 이 부분도 한번 체크해 보시면 좋고, 직접 사장님에게 은행 별 대출 상담사 분들의 연락처를 받아서 전세입자 컨셉으로 “집주인이 바뀐다는데 어떤 서류가 필요한지” 여쭤보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아무쪼록 무사히 계약 마치시길 기원드립니다 :) 축하드려요!
오상아님 안녕하세요 1. 잔금이 안되는 상황에서 매매/전세를 동시에 진행을 하려는 상황인가 봅니다? 부동산 사장님 이야기처럼 매매 계약을 우선하게 되면 기존과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매매-전세-잔금 프로세스와 동일하게 됩니다. 전세입자를 찾는게 가장 중요할 듯 합니다. 혹시 해당 매물로 전세를 올려 줄 수는 없는지? 전세대기자는 없는지 해당 부동산 사장님, 주변을 부동산 확인을 통해서 전세입자를 구하신 후 매매-전세 동시 진행 또는 매도자가 전세계약을 해서 매수하는 방식으로 매수 하셔야 할 듯 합니다 2. 지방은 수도권과는 다르게 동시진행이 불가능 하지는 않으나, 최근 은행마다 다르게 적용을 하고 있습니다. 은행 상담사를 통해 상담을 한번 받아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계약 무사히 마무리 하셨으면 합니다!! 응원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상아님 투자 준비중이시군요 1. 잔금이 안되는 상황이라면, 주변의 전세 대기자가 있는지 사장님을 통해서 확인해보고, 대기자가 있는 경우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알아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현재 매매 전세 동시 진행 시 대출이 막히는 건 수도권에 적용되어 있고, 지방에서는 원천 차단된 건 아니므로 대출 상담사분을 통해서 은행별로 가능 여부 확인해보시고 진행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잘 마무리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