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1억 만드는 가장 빠른 첫 시작, 재테크 기초반
너나위, 광화문금융러, 김인턴

1억 만드는 가장 빠른 첫 시작, 재테크 기초반
재테기 1주차_너나위님 : 월급쟁이 부자로 가는 첫 단계
<1> 팍팍한 초년생이 부자가 되는 과정
1. 나만의 ‘Dreamlife Project’ 로드맵을 작성하자.
(1) ~1억: 역량자산 + 인내자산(저축,알파)
(2) ~10억: + 투자자산(베타)
(3) 10억~: 경험자산
- 회사에 대해 부정적인 사람들 중 부자가 된 사람은 한 명도 없다. → 1인분은 하자.
- 투자자산에서 ‘수용력’은 대단히 중요하다. → 새로운 분야에선 그 분야 전문가의 말을 수용하자.
- ‘실행력’ 또한 상당히 중요하다.
- 핵심은 내가 각각의 ‘역량자산’을 가지고 있는가 이다.
<2> 나의 인내자산(=돈관리) 점수는?
1. 나의 돈 관리 점수는? A등급(72.6%)
- 초반 꽤 높은 저축률도 있었지만, 사실 환경(=독립하지 않은 것)과 베타투자 성과가 더 큰 영향을 가져왔다.
- 최근 들어, 저축률이 낮아지고 마인드가 흔들리는 느낌이다. 다시 한번 정신 차리자.
2. 강의의 목표는 1억 후, (1) 10년 뒤 10억(+18%) / (2) 20년 뒤 30억(+12%)
→ 나도 이걸 목표로 가보자!
- 초반에는 ‘수익률’보단 ‘종잣돈’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3-1> 티끌 모아 태산을 만드는 돈 관리 방법 (통장 최적화+@) _ 인내 자산
- 저축은 ‘돈을 모으는 것’이 아니라, ‘쓰기로 약속한 만큼만 쓰는 것’ 이다.
- 나만의 ‘급여 흐름도’를 만들자.
- 결혼 후, 기본전제는 무조건 합치는 것이다. / 합치지 않으면 잘되어도 문제다. / 재테크 관점에서도 유리하다.
- 청년도약계좌는 유지하자. (생초주택도 가능하다)
<3-2> 베타 자산
- 저축은 수비수 / 베타(7%)투자는 미드필더 / 알파(18%)투자는 공격수 이다.
- 공부도 저축 → 베타 → 알파 순으로
- always 베타 / sometime 알파 전략
- 알파투자는 전문가의 영역이다
1) 주식이라면 기업에 대한 완벽한 분석이 필요하고,
2) 부동산이라면 해당 물건에 대한 완벽한 분석이 필요하다.
→ 나는 그동안 베타투자를 하면서, 알파투자의 성과를 기대한걸지도…
- 장기투자는 MDD를 0으로 수렴시키는 방법이다.
- 부동산 전문가인 너나위님도 ‘연금저축’은 꾸준히 해왔다. → 조금이라도 유지하자.
<3-3> 알파 자산
- 주식에서도 특정산업(ex.반도체)은 공급-수요 에 의한 사이클을 탄다.
→ 이것은 마치 부동산 지방투자의 공급-수요 사이클과 비슷한 것일까?
→ 그렇다면, 시장지수는 수도권 / 섹터는 지방 이라고 비유해도 될까?
- 베타까지는 그냥 따라하면 된다. 알파부터는 정신 똑바로 차려야 한다.
→ 나는 지금 베타→알파 로 가려는 상황이다.
→ 1억이 넘었음에도 알파의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다. 남들보다 앞선다고 생각했으나 뒤쳐져 있었다.
<4> 필수 재테크 상식 5가지
(1) 연말정산
- (인적공제 + 카드사용공제) + (연금저축 + 보장보험료 + 월세) 활용할 것!
(2) 보험
- 무조건 보장성! (저축성 X)
- 20대(실손) / 30대(+사망(정기:~60세)) / 40대(+질병(암,심장,뇌)
(3) 재정상태의 적 5가지
1) 월급 5배 차량 : 업무상 어쩔 수 없이 차를 구매하였다. 월급 5배 이내 중고차이니 선방은 하였다. 돈을 모으기 위해서는 차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맞다. 주유비,정비비,보험,세금 모든 것이 비용이다.
2) 여행 : 직장을 가지고 해외여행을 한번도 가지 않았다. 칭찬할만한 점이다. 그러나 가끔 부모님 나이드시기 전에 가야하는게 아닌가 싶긴하다. → 실수령액 5%
3) 보험 : 실손보험 단 1개이다.
4) 음료 : 동료들과 식사하면 점심 이후 꼭 한잔씩 사먹게 된다. 동료들과의 식사를 줄이자. → 활동비의 5%
5) 술 : 다행이 술은 좋아하지 않는다.
<5> 갖다 버려야 할 돈에 대한 편견 6가지
(1) 재테크는 알파투자(주식, 코인)만 이다.
- 재테크는 요행이 아닌, ‘역량’이다.
- 진짜 게임은 50대 후반에 끝난다.
(2) 점심값이 너무 오른 건 정부가 관리를 잘 못해서 이다.
(3) 대출은 적이다.
- 대출과 빚을 구분하라.
(4) 중요한 일(투자나 내집마련 등)은 당연히 가족들과 상의해야 한다.
- 나를 사랑하는 사람이 올바른 판단을 한다는 보장은 없다. (마음만 받자)
- 각 분야에 더 많이 아는 사람이 판단하는 것이다.
(5) 투자는 위험하며, 원금보장이 중요하다.
- 투자가 위험한 것이 아니라, ‘실력 없는’&'운이라고 생각하는' 투자가 위험한 것이다.
- 자본주의의 자본은 ‘시간’이 아닌 ‘리스크’ 이다. → 임원의 월급이 높은 이유
(6) PIR이 10이면 헬조선 이다.
- 직관 과 사실 을 구분하자.
주인의식, 책임감, 미래가 아닌 현재
댓글
굔굔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