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추천도서후기

[빙바나나] 회복탄력성 독서후기

14시간 전

 

 

 

 

 

✔️ 책 개요

 

제목 : 회복탄력

저자 및 출판사 : 김주환 / 위즈덤하우스

읽은 날짜 : 25.11.10

 

 

 

✔️ 본 것

 

 

진정한 행복은 외부적 조건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나의 내면으로부터 우러나는 것이다. 진정한 행복은 어떤 조건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것은 내면적 결단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강력한 회복탄력성의 기반이 되는 진정한 행복감은 나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서 오는 것이지 외부적 조건에서 오는 것이 아니다.

 

 

사람을 불행하게 하는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근본적인 것이 타인으로부터의 인정을 받고 싶어 하는 욕망이다.

 

 

사람들은 실패나 역경 자체를 두려워한다기보다는 그것이 가져올지도 모르는 주변 사람들의 무시나 비난을 더 두려워한다.

 

 

세상의 평판이나 다른 사람의 인정에 연연해하지 않고 자기 자신과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는 사람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게 되며 강력한 회복탄력성을 지니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행복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이것은 공동체 일원으로서의 의무다. 내가 행복해야 다른 사람도 행복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행복감을 유지하는 것은 따라서 개인적 권리이기 이전에 공동체적 의무다.

 

 

바닥을 쳐본 사람만이 더욱 높게 날아오를 힘을 갖게 된다. 이것이 바로 회복탄력성의 비밀이다.

 

 

성공을 위해서는 반드시 실패가 필요한 법이다. 별다른 고생 없이 평탄한 삶을 산 사람 중에 커다란 업적이나 성취를 이룬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다.

 

 

위인들은 역경에도 ‘불구하고’ 위인이 된 것이 아니라 사실 역경 ‘덕분에’ 위대한 업적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이다.

 

 

오늘의 아픔을 내일의 기쁨의 원천으로 삼는 셈이다. 이들에게는 역풍이 오히려 반가운 존재다.

 

 

회복탄력성은 꼭 커다란 역경을 이겨내기 위해서만 필요한 힘이 아니다. 자잘한 일상사 속에서 겪는 수많은 스트레스와 인생의 고민과 인간관계에서의 갈등을 자연스럽게 이겨내기 위해서도 필요한 힘이다.

 

 

할 수 없는 일에 매달리고 집착하기보다는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내가 지금 얼마나 가졌느냐보다도 내가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느냐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에 이렇게 웃으며 살 수 있다

 

 

역경을 극복했기 때문에 역경을 긍정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다. 역경을 긍정적으로 봤기 때문에 역경을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더 중요한 것은 기억자아다.

 

 

기억자아가 자신의 고난과 역경에 대해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긍정적으로 스토리텔링하는 능력을 지닌 사람이 바로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이라 할 수 있다.

 

 

회복탄력성의 핵심적인 요인은 결국 인간관계였다

 

 

사랑을 바탕으로 아이는 자기 자신에 대한 사랑과 자아존중심을 길러가며 나아가 타인을 배려하고 사랑하고 제대로 된 인간관계를 맺는 능력을 키우게 된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회복탄력성의 근본임을 카우아이 섬 연구는 알려준 것이다.

 

 

답은 긍정성의 강화다. 긍정성을 강화하면 자기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 긍정성을 습관화하면 누구나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다. 긍정성을 습관화한다는 것은 뇌를 긍정적인 뇌로 바꿔나간다는 뜻이다.

 

 

인지심리학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 개인이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는 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능력은 바로 스스로의 수행에 대해 평가하고 정확하게 답할 수 있는 능력이다. 즉 “내가 지금 잘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제대로 답할 수 있는 능력이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은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으면서도 자신의 실수에 대해서는 스스로 민감하게 알아차리는 뇌를 지닌 사람들이다.

 

 

회복탄력성을 높이려면 내 삶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들을 보다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뇌가 필요하다.

 

 

당신의 인생에 더 이상 실패란 없다. 아니, 실패는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실패 때문에 좌절하거나 무너지거나 주저앉는 일은 없을 것이다. 그 실패를 도약의 디딤돌로 삼아 더 높이 튀어 오르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자기조절능력은 어려운 상황이 닥쳤을 때, 첫째로 스스로의 부정적 감정을 통제하고 긍정적 감정과 건강한 도전의식을 불러일으키며(감정조절력), 둘째로 기분에 휩쓸리는 충동적 반응을 억제하고(충동통제력), 마지막으로 자신이 처한 상황을 객관적이고도 정확하게 파악해서 대처 방안을 찾아낼 수 있는(원인분석력) 능력이다.

 

 

긍정적 정서는 확장된 자아 개념을 유발시킴으로써 다른 사람들과 나 자신을 동일시하게 한다. 그럼으로써 다른 사람들을 보다 더 긍정적으로 보게 해준다.

 

 

회복탄력성을 높이려면 어떤 중요한 일이 발생했을 때 스스로 긍정적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것을 습관화해야 한다.

 

 

행복은 ‘성공의 결과’라기보다는 ‘성공에 이르는 길’이라 할 수 있다. 성공한 사람이 행복하다기보다는 행복한 사람이 성공하는 것이다.

 

 

모든 사회적 가치는 인간관계 속에서 나온다. 명예, 권력, 돈 모두가 인간관계에서 비롯되며 소통능력에 의해서 얻어진다.

 

 

 

 

✔️ 느낀 점

 

회복탄력성에 대해서 처음에는 그저 슬럼프가 왔을 때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책을 읽고 나서는 확실히 긍정적인 마음으로 부정적인 상황에서

좀 더 활동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 많았습니다.

 

특히 감정조절력, 충동통제력, 원인분석력 등에 대해서 설명하면서

자기조절능력을 키우는 방법에 대해서 배울 수 있었습니다.

 

 

꼭 슬럼프가 아니더라도 항상 부정적인 생각이 들 수 있게 마련인데

그럴 때마다 자신의 마음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좋겠다 생각했습니다.

 

거기서 책에서는 긍정적인 마음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야기 합니다.

 

최근에 월부든, 업무든 부정적인 생각이 들 때가 종종 있었는데

그럴 때마다 긍정적인 생각으로 하루하루를 임한다면

좀 더 행복하게 하루하루를 보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무조건적으로 긍정적으로만 살 수는 없을 수 있지만

그럼에도 모든 생활과 활동에서 긍정적인 마음을 갖고

긍정적으로 살아야겠다 다짐했습니다.

 

 

모든 일정과 모든 행동에서 긍정이 몸에 담겨 있고

긍정 그 자체의 삶을 살고 싶었습니다.

 

 

 

✔️ 적용할 점

 

매일 자기 전 감사일기 작성으로 긍정 마인드 탑재

매일매일 메타인지하여 긍정적인 사람되기.

 

 

 

✔️  의논할 점

 

P. 109

 

 

 

 

감사합니다.

 

 

 


댓글


빙바나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