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79.사업에 성공한 사례보다 실패한 사례에서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고 느낄 때가 많습니다. => 실패를 통해서 배우고 성공을 본받아서 성장한다. 하지만 실패가 더 가치 있는 경험을 주기 때문에 실패를 두려워하지말고 실패를 했다면 실패에 대해서 복기해라
✅ 책을 읽고 알게 된 점 또는 느낀 점
P22.저는 학생들에게 이런 질문을 자주 합니다. 같은 반 친구중 한 명에게 투자한다면 누구에게 하겠는가. 이때 나는 가장 실행력이 강한 사람을 선택할 겁니다. => 너무 신중해서 실행을 못하기보다는 우선 실천하고 실행을 해보는게 성공의 중요한 요소이다.
P33.실패한 방법을 굳이 반복할 필요는 없습니다. => 실패는 할수 있지만 다시 반복을 하지 않는게 중요하다
P96.때로는 적은 금액을 쏟아붓는 것이 오히려 실수가 되기도 합니다. 기나긴 인생에서는 때때로 믿기 어려울 만큼 큰 기회가 찾아오기 때문입니다. =>분산투자만 하는건 의미 없는 일로 굳은 확신만 있다면 투자에서도 대담해질 필요도 있다.
P125.그저 그런 기업을 훌륭한 가격에 사는 것보다 훌륭한 기업을 그저 그런 가격에 사는 것이 훨씬 낫습니다. => 적당한 물건을 싼 가격에 사는 것보다 정말 훌륭한 물건을 그렇게 싸지 않은 가격에 사는게 낫다. => 입지가 고만고만한 아파트를 싸게 투자하는것보다는 강남3구에 아파트를 싸지 않은 가격에 사는게 낫다.
P168.업자가 3만 파운드의 하중을 버틸 수 있다고 주장하는 다리가 건설되었다 해도 그다리를 건너는 트럭은 겨우 1만 파운드입니다 => 가격과 가치를 판단 할때 충분한 안전마진을 확보하다면 투자의 리스크를 크게 낮출수 있다.
P177.투자를 할 때 대부분의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내가 얼마나 아느냐가 아니라, 오히려 내가 모른다는 사실을 정확하게 아는 것입니다. => 내가 모르는 범위까지 인지를 하고 내가 아는 것에 포커스를 해서 투자를 해야한다. => 내가 모르는 분야의 회사에 투자하기 보다는 내가 잘아는 분야에 투자를 하는게 성공 확률을 높힐수 있다.
P204.10년 동안 기꺼이 주식을 보유할 마음이 아니라면 단 10분이라도 보유해서는 안 됩니다. => 단기적인 흐름보다는 10년 이상 장기적으로 봤을때도 투자 가치가 있는지
P261.자기 힘으로 고민하지 않으면 투자에 성공할 수 없습니다. => 최종적인 투자 결정은 나의 선택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그래야함 장기적으로 보유를 할 수 있고 문제가 있더라도 추후에 발전할 수 있는 밑거름으로 쓸수 있다.
P279.사업에 성공한 사례보다 실패한 사례에서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고 느낄 때가 많습니다. => 실패를 통해서 배우고 성공을 본받아서 성장한다. 하지만 실패가 더 가치 있는 경험을 주기 때문에 실패를 두려워하지말고 실패를 했다면 실패에 대해서 복기해라
P293.위기가 닥쳤을 때 현금에 용기가 더해지면 무한한 가능성이 생깁니다. => 위기가 왔을떄 기회를 잡기위해서는 both of 현금 & 용기 둘 다 필요하다.
P303.기회는 분야에서 나오지 않습니다. 우리의 두뇌에서 나옵니다. => 대중을 따라서 유행과 최신트랜드를 좇아서는 성공하기 어렵고 남들과는 다른 나만의 방식과 아이디어를 통해서 투자를 해야 한다.
P343.저는 1년에 50주 정도를 ‘생각하는’ 데 씁니다. 일하는 시간은 기껏해야 2주쯤 되지 않을까 싶네요 => 버핏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읽는 것’과 ‘생각하는 것’ => 독서를 많이 하고 스스로 생각을 많이 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