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투자할 수 있는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주우이, 양파링, 잔쟈니, 권유디

서울투자 기초반 - 투자할 수 있는 서울 아파트 찾는 법
현재 (25년 11월) 서울 수도권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
- 기다릴까? 말까?를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1) 지금 서울 수도권 시장이 어떤 모습인지 알고
2) 내 상황에서 할 수 있는 방향을 정해
3) 살 수 있는 것 중 가장 가치 있는 것을 선택
왜 A지역 일까?
1) 좋은 곳 (현재가치) : 접근성 압도적인 교통
2) 더 좋아질 곳 (미래가치) : 뉴타운 개발 환경 개선
3) 비싸지 않은 곳 (가격) : 가격 메리트 확실 선호 단지들도 지난 상승장 최고가(전고점)에 못 미침
A지역을 통해 배울 수 있는 것
1) A지역에는 없는 초역세권, 하지만 <대단지>가 있다 !! (A지역의 가격형성요소는 대단지)
2) A지역에서 대단지가 지니는 위상 : 소단지가 2호선 더 가까움에도 대단지 가격이 더 높게 형성
└ 왜 좋아할까?
노후 시 미래가치 : 노후 시 재건축 가능성 높아짐 (용적율 여유가 있다면 추가세대 증가, 분담금 감소)
실거주 매수(10.15 토허제 이후) 후 벌어질 일
1) 편익 : 주거 안정, 전월세 비용 절감
2) 비용 : 원리금 상환, 저축액 감소, 전세상승분 회수불가
실거주 입주 후 자산 활용전략 (2년 후 전세 셋팅 프로세스)
* STEP 1~6
* 고려사항 생각흐름 예시) 연 3,000만원 저축하는 김대리, 2년 뒤 자산재배치가 가능하려면?
① 전세를 줄 때까지 난 얼마를 모을 수 있지? (6,000만원)
② 전세가를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실거주가치, 공급물량, 연식)
③ 예상전세가(+저축액)로 주담대를 상환할 수 있을까?
④ 이사 갈 집 보증금은? 월세는? 예산에 맞는 지역과 단지는?
※ 유의사항 : 전세가율 너무 낮은 곳 들어가면 2년 뒤 주담대 전세로 전환 못해서 자산재배치 불가할 수 있음
ex. 상승장 B지역 주담대 6억 끌었는데, 전세가 3억인 경우 / 저축 6천 한다해도 2억 4천 모자라서 못 나옴
막연하게 느껴지겠지만, 목표가 현실이 되는 과정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부동산 시장 안에 머무르며
내가 할 수 있는 것과 해야 하는 것들을 하며 점을 찍고 나아가는 것이다.
그냥 공부가 아니라, “투자를 위한 행동”을 해야 한다.
그리고, 기회가 왔을 때 관망하지 말고, 투자해 나가야 한다!
부동산 공부 외의 개인적인 온갖 일들이 쏟아져나오는 시기라,
감정적으로도 물리적으로도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
투자공부에 시간을 할애하는 게 부담스럽게 느껴짐과 동시에 투자공부의 중요성을 알기에,
정체되고 뒷걸음질만 하고 있는 것 같아 보이는 내 모습에 조급함이 느껴지기도 한다.
갑작스러운 이사로 인해 할 수 있는 선택지가 줄어든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지금 이 모든 상황은 나에게 이미 주어진 것이고,
이 상황 속에서도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분명히 존재한다.
못하는 것에 속상해하며 주저앉기 보다는
내가 할 수 있는 일들을 집중해 하나씩 해나가면서 버텨야겠다.
지금은 제로베이스로 회귀하지 않는 것만으로도 잘하고 있는 거다!
서투기 마지막까지 파이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