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원 아끼는 부동산 지식은?
[사전예약 혜택] 열반스쿨 기초반 - 월급 300 직장인이 부동산으로 부자되는 법
월부멘토, 너바나, 주우이, 자음과모음

야심차게 23년을 시작한 것 같은데
벌써 24년이 다가오고 있네요!
다들 연말은 잘 보내고 계신가요?ㅎㅎ
여전히 바쁘신가요~?
너무 바쁜 하루하루를 보냈다면
올 한 해를 마무리하면서
제대로 가고 있는지,
얼마나 성장했는지,
그래서 앞으로는 어떻게 해야 할지
그동안의 나를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셨으면 좋겠습니다. ^^
그럼 복기와 개선하는 방법 알아보러 갈까요~?
초반에는 어떻게 투자공부를 해야 하는지도
잘 모르기 때문에 그대로 따라해봅니다.
이 때는 내가 어느 부분이 부족한지
정확하게 알 수 없으므로
수치화를 시켜 시각적으로 확인합니다.
예를 들어 한 달의 계획을 짤 때,
독서 4권, 강의 1개, 임보 1개, 임장 20번,
전화임장 30번, 매물임장 30번.
이런 식으로 수치화된 목표를 설정합니다.
그리고 한 달 뒤 복기를 통해
어떤 부분을 몇 프로 달성했는지 확인하며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나가려면
어떤 방법들이 필요한지 생각해보고
다음 달 계획을 세워 봅니다.
내가 독서가 부족하다면
독서에 좀 더 집중해보는 시간을 할애하고
내가 임보가 부족하다면
임보 중에서도 어떤 요소를 보완해야 할지 알고
한꺼번에 다 하기 보단 한 달에 하나씩
꾸준히 매달 보완해나가면 됩니다.
투자 공부에서
독서, 강의, 임장(임보), 실전 투자로
분야를 나누었을 때
무엇이 가장 중요하고 먼저 해야 하나요?
라고 물어보시는 경우가 많은데요....
죄송하지만.. 다 중요합니다. ㅎㅎ
너바나님께서 라면을 맛나게 먹으려면
면만 넣어도, 스프만 넣어도, 물만 넣어도 안 되고
모든 게 다 들어가야 한다고 말씀하십니다.
아래 최소량의 법칙 아시죠?ㅎㅎ
어느 한 부분이 부족하지 않도록
물을 채워나갈 수 있는
그릇을 만들어나가 보아요!
뭐가 부족한지를 알고
부족한 부분을 최소한으로 채워두었다면
이제는 양과 질을 늘릴 시간!
우선은 양적으로 늘리면서
벽을 열심히 깨 봅니다.
저도 처음에는 벽을 왜 깨야 하나
의문이 들고 굳이 그렇게 해야 하나 싶었습니다.
그런데 동료분들과 벽을 하나씩 깨보니
왜 깨야 하는지 알겠더군요.
임보를 300장 써봐야
중요한 것과 중요하지 않은 것을
구분하여 남겨야 할 것들이 보입니다.
임장을 30번 가 봐야
임장 10번은 당연히 할 수 있는
수치가 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벽을 깨나가다보면
나의 멕시멈을 알 수 있고
그 전까지는 할 수 있다는 믿음과
어렵지 않다는 긍정 마인드가 장착됩니다.
양적으로 늘려보았다면
내가 직접 해보았기 때문에
어떤 부분이 중요한지 알게 됩니다.
그럼 이제 양은 줄이고
질적인 부분을 채워나가 봅니다.
예를 들어 임보의 직장에 대해서
엄청 집요하게 파보고
다음 달에는 또 다른 부분을
집요하게 파 보는 것이지요.
젊은우리튜터님께서는 이렇게 항상
양과 질 모두 채우는 것의 중요성을
알려주셨습니다.
중요한 것은 해 봐야 안다!
양적으로 늘려보고 하나하나
질적으로도 채워나가 보세요~!
이렇게 너무 계속 달리다 보면
내가 정말 제대로 가고 있는걸까?
의문이 들고 멈칫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희 열반기초에서 비전보드 다
작성하셨죠~?ㅎㅎ
그때는 호기롭게 다 계신해보면서
나의 목표는 38억!
그걸 이루기 위해 매년 20%수익률 달성!
매년 1채씩 투자!
보통 이렇게 계획을 세우셨을 거에요.
내 현 자산은 어떻게 되고
소득과 지출은 얼마라서
모은 종잣돈과 모을 수 있는 종잣돈은 얼만지
제대로 내 상황을 파악하고
내 상황에 맞는 투자 포지션을 정하고
내가 원하는 나의 비전보드를 바라보며
방향을 제대로 잡고 가야 합니다.
실거주를 먼저 해도 되는지 병행해도 되는지,
소액투자를 해야 하는지 가치성장투자를 해야 하는지,
내가 얼마나 인풋할 수 있는지에 따라서
투자 포지션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내가 원하는 것과 내 상황을 제대로 알고
20년, 10년, 5년, 1년, 분기, 매달, 매주, 매일
계획을 세워나가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매달 복기를 하고 개선하기 위해
계획을 세워 해나가고 있고
3개월 단위로도, 1년 단위로도 하고 있습니다.
열정을 갖고 꾸준히 열심히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매년 비전보드를 업데이트하여
내가 잘 가고 있는지 점검해보면서
방향을 잘 잡고 나아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생각보다 이룬 것들이 많을 거에요~^^)
한가해보이 멘토님께서는
비전보드가 나를 채워주는 에너지와 동기부여
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
구체적인 꿈과 목표를 연속으로 할 수 있도록
비전보드 업데이트 화이팅입니다!
1. 수치화로 시각적 확인
각 분야별 한 달 목표 수치화하고
복기하며 부족한 부분 채워나가기
2. 양과 질 다 채우기
양적으로 늘려보고 하나하나
질적으로 채워나가기
3. 비전보드 업데이트
내 상황과 목표를 명확히 알고
년도별, 분기별, 월별 계획 세우기
벌써 23년 12월 말이 되었네요.
저도 12월을 복기하고 1월 계획을 세우고,
23년을 복기하고 24년 계획을 세워보겠습니다!
요즘 KPT 복기법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요,
Keep, Problem, Try의 줄임말로
아래와 같이 복기하고 개선하는 방법입니다.
Keep : 계속 유지해나가야 할 것
Problem : 어려운 부분, 개선 필요한 부분
Try : 개선을 위해 해야할 것
어떤 방식으로든
복기와 개선을 반복해나가면서
꾸준히 포기하지 않고
목표를 달성해나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월부분들의 목표 달성을 응원합니다.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
튜터님 좋은 글 감사합니다!! 복기와 개선!!! 반복하겠습니다!!
오늘도 원하는 미래를 위해 화이팅하는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당 !❤ 행동은 정체성에서 비롯된다. 먼저 미래의 내가 돼라. 그다음 미래의 나로 행동하라. 그러고 나서 원하는 것을 얻어라.<퓨처셀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