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부동산 투자시 전세 잘 빼는 방법]
1) 투자자 몰리는 지역, 시기는 피하라
2) 경쟁력 있는 인테리어
3) 경쟁력 있는 가격
[전세가 안나갈 때 대처법]
1) 잔금 D-2개월이 중요함 (잔금 한 달하고도 일주일 전까지 임차인 못구했다면 보증금을 낮춰야한다.)
2) 내 물건이 1등 물건인지 확인이 필요함 (주변 지인들에게 부탁해서 내 물건이 1순위에 소개되는지 문의하기)
3) 혹시 모를 잔금을 위한 마통이나 여유의 시드를 준비해놓기 (전세금에 너무 욕심 내지 않는 것이 베스트)
[역전세가 날 경우에 대처법]
1) 역전세가 날 경우 보증금이 아닌 이자(+a)로 돌려주기 (협의가 중요)
2) 임차인이 현재 매물에 불만족인 부분을 개선해주는 조건으로 보증금 조정하기
[전세 임대차 계약시 특약사항]
1) 동물 반입금지(원상 복구 조항을 넣는다면 ok)
2) 간단한 소모품의 경우에는 임차인이 부담한다.
3) 계약 기간을 모두 채우지 않고 이사할 경우에 임차인이 중개수수료를 부담한기로 한다.
[매도 시점을 파악하는 방법]
1) 무릎에 사서 어개에 팔기 (욕심 줄이기)
2) 더 좋은 투자처를 발견 했을 때
3) 전세가율이 50% 미만으로 떨어졌을 경우 (가치대비 매매가가 고점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
4) 목표 수익 또는 목표 수익률에 도달했을 경우 (목표를 계속 변동 하면 안된다. 이것 또한 욕심)
5) 좋은 물건은 매도 하지 말고 평생 보유하기
[행복한 투자자로써 살기 위해서 명심해야 할 것들]
1) 내가 부자가 되기로 결심한 건 가족을 위한 희생이 아니라 내 스스로의 욕심인 걸 인정해야한다.
(내 욕심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가족과 회사에게 쏟는 에너지를 줄이는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미안해야 할 상황이다.)
2) 안전과 자유는 절대로 공존할 수 없다. 노후 준비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리스크를 지지 않으려 하는 것이 최대의 리스크라는 걸 명심하기)
3) 대한민국에서 안바쁜 시기라는 건 절대로 오지 않는다.
4) 지금까지 투자하기 나쁜 시절은 단 한 번도 없었습니다.
댓글
공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