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 서기 4기 22조 다지 ] 1강 서울의 지역의 특징과 나의 투자상황 파악하기

23.09.05



안녕하세요 아들 둘맘 다지 입니다.

미뤄두었던 서울 기초 수강 1강을 들었습니다.


기초 강의라 크게 어렵지 않고 라이트한 여태 월부의 방식과

사람마다 어떤 투자 방식을 가져가야 하는지

각 서울의 25개구의 특징들에 대해 짚고 넘어가셨습니다.




1. 나는 가치 투자자 가 적당한가 소액 투자가 적당한가???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상황 ,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1년 혹은 2년에 한채의 좋은 자산 , 중장기로 가져 갈 수 있는 사람이 있고


시간을 쏟을 수 있고 종잣돈이 부족하고 모을 수 있는 금액이 적은 사람이면 지방 투자로


종잣돈을 불려 수도권으로 옮기는 작업을 하여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나는??? 모을 수 있는 종잣돈이 늘어나고 시간은 더욱 없어진 상황이라

가치 투자, 즉 목돈을 서울에 사는 것이 낫고 지켜보는 것이 나려나 라는 고민을

올해 봄 부터 해왔었는데

결국 욕심이 많은 저는 소액 투자를 하여 빨리 자산과 경험을 쌓을 수 있는 방향을 선택 하기로 하였는데

양파링님의 강의를 들으며 다시한번 정리가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 여러 지역에 대해 딥하고 많은 지역을 알아야 하니 부지런히 앞마당을 늘린 것이 답이다. !





2. 사람들이 이 지역을 선택하는 이유는??



서울이라면 경기도 보다 더 좋은 것 아닌가? 라는 막연한 생각과는 달리

서울의 5급지는 경기도의 어디 보다도 떨어진다.

경기도의 몇몇 군데는 서울의 2~3급지와오 같은 급지로 볼 수있고


서울이면 교통이 어쨋든 최우선 되는 것 아닌가?? 라고 생각을 하였는데


구 마다의 특징이 달라서 사람들이 무엇 때문에 여기를 선택하는지의 특징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지

단지를 고를 때도 입지 요소의 평가를 다르게 줄 수 있어서 적용을 시켜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BM: 지역의 특징을 파악을 하고, 왜 이 구를 선택했는지 어떤 사람들이 선호하는지를 파악하여

-> 그 단지에서의 선호도 높은 곳을 찾기




3. 가장 좋은 시기에 투자하고 싶어요.


하락장의 가격은 돌아오지 않고

매매가 예측은 할 수 없기 때문에 의미 없고 전세가에 집중해서 투자를 해야 한다.


그래서 가장 좋은 시기에 투자하겠다는 것은 의미가 없다 !


각 구에서 어느정도의 투자금을 가지고 투자할 수 있는지를 리스트업을 해서

시세트레킹을 해야 한다고 하셨는데


아직 서울 앞마당이 몇개 없는 저에게

이 과정은 조금 앞마당이 쌓이고 해야되는 과정이라고만 생각을 하였는데


BM :

각 대장 단지들과 평단가의 가격을 눈으로 익히는 연습을 하고

투자금에 대한 감도 익혀 놔야 겠습니다.




후기 끝.


이번에 서울 기초강의로 서울 투자의 전반적인 특징과 가격에 대한 감을 잡자 !






댓글


나무늘보
23. 09. 08. 22:42

다지님 벌써 강의 후기를 작성해주셨네요. 마지막 강의까지 화이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