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안녕하세요. 꼭 서울 투자를 하고 싶은 이안리코입니다.
서울 투자를 준비하면서 어떻게 기준을 잡고 준비를 해야할까 임장을 가고 임보를 쓰면서 헷갈리고, 답답할 때가 많았는데요.
이번 양파링님의 강의를 들으면서, 각 급지별 기준과 내가 투자할 수 있는 평균적인 지역을 알 수 있었습니다.
내가 가진 투자금으로 어디를 우선 봐야하는지와 해당 지역에서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봐야하는지를 배울 수 있었습니다.
최근 서울을 임장하면서 가격이 점점 오르는 곳들이 늘어난다고 느꼈습니다.
매물 예약을 했는데 임장 전날 계약이 되버린 경우도 있었고, 보려고 했던 집이 이미 계약이 되버려서 구조만 보고 나온 경우도 있었습니다. 지난 7월 초에 갔던 단지가 8월이 되자 5천만원 이상 오르고, 실거래까지 이루어지는 걸 보면서 지금 시장이 뭔가 움직이고는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막상 제가 살고 있는 지역은 반응이 뜨뜻미지근 하고 서울 전체 거래량도 3천건대로 유지가 되고 있어서 이걸 어떻게 봐야하나 싶었습니다. 상급지의 신축부터 가격이 오르고 있고 아직 하급지와 구축 단지들에는 상승세가 오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번 강의에서 현재 서울 시장의 상황을 진단하고 알려주셔서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양파링님께서 알려주신 급지별 상승비교 그래프를 보니 현재 상황을 좀 더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1,2, 3급지와 4,5급지의 상승세가 다른 모습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전체적인 현재의 시장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어떤 모습을 보일지는 모르겠으나 추세적으로 판단은 어느정도 판단은 가능할 것 같습니다.
강의에서 알려주신 서울 급지별 24평 평균 매매가와 전세가, 32평 매매가와 전세가를 보면 어느정도 해당 지역의 급지를 판단할 수 있는데요. 해당 급지의 평균 매매가는 그 지역 중간 정도 생활권의 평균 가격으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만약 4급지의 한 단지의 현재 매매시세나 실거래가가 3급지 평균과 비슷하다면 그 단지는 4급지이지만 3급지 중간 정도의 생활권들 아파트와 비슷할 수 있겠다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 기준은 앞으로 갈아타기 등 상급지로 이동을 할 때 기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서울 25개구 입지별로 가지는 특장점이 어떤 것인지 알려주셨고, 이 특장점은 해당 지역의 단지를 선정할 때 주요 포인트로 가져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급지별로 평균 매매가, 전세가를 통해 어느 정도에 투자금이 들어갈지 미리 개략적인 기준을 잡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생활권마다 단지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이 기준점을 기준으로 위아래 지역을 앞마당으로 만들고 가능한 지역중에서 가장 좋은 단지를 선택하는 프로세스로 투자를 진행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평균 매매가를 해당 지역의 비슷한 가격대의 특정 단지로 지정해서 보라고 알려주신 꿀팁은 정말 유용할 것 같습니다. 이미 가봤던 단지라면 확실한 기준점이 될 거 같습니다.^^
강의 때마다 항상 들었지만, 실제로는 매번 잘 안 지켜지는 게 있는데요. 무조건 먼저 저평가부터 판단하고, 저평가일 때 투자가 가능한지를 검토해야 하는 것입니다. 먼저 투자금부터 생각하고 투자금으로 투자할 수 있는 갭으로 살 수 있는 단지를 고르고, 그 중에서 저평가를 고르게 되는데 멘토님께서 알려주신 순서는 꼭 잊지 않고 따라해보면서 몸에 익을 때까지 해보겠습니다.
매번 새롭게 강의 준비해주신 양파링님 덕분에 얻어가는게 많은 서기반 첫 강의였던 것 같습니다.
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BM]
댓글